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8:29:18

남산역(부산)

부산남산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역과 한자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있는 역명을 가진 역에 대한 내용은 남산정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남산역(대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남산역
파일:Busan1.svg
역명 표기
1호선 남산
Namsan
南山 / 南山 / [ruby(南山, ruby=ナムサン)]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지하2019-1 (남산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노포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1985년 7월 19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0.02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 사고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32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지하2019-1 (남산동) 소재.

원래 남산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으로 끝나는 역들의 이 삭제되어 남산역으로 개명하였다. 부산외국어대학교가 우암동에서 남산동으로 이전하여 2014년 1월부터 부역명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가 추가되었으나 계약 만료로 삭제되었다.

2. 역 정보

파일:남산역 1호선.jpg
대합실
파일:attachment/Namsan1.jpg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건축상의 특징으로는 80년대에 지어진 역사답지 않게 벽면이 패널로 마감되어 있으며, 그것도 주홍색과 노란색의 2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12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부산 도시철도의 지하 2층 승강장 역 중 가장 심도가 낮다.

3. 역 주변 정보

전 역인 두실역과 마찬가지로 역 주변은 뚜렷한 특징이 없는 주거단지로, 7번 출구에서 범어천로 방면으로 남산동 새벽시장이 있다. 전교생 약 8천 명에 달하는 부산외대가 남구 우암동에서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해오면서 대학생들이 유입되어 이 역의 승하차량이 소폭 증가하였다. 남산역에서 부산외국어대학교까지 운행하는 셔틀버스가 이 역을 경유하지만 부산외국어대학교 셔틀버스의 주정류장은 범어사역이다.

동래베네스트골프클럽이라는 골프장으로 갈 수 있는 길목이 있어서인지 골프를 즐기러 가는 사람들이 자주 보인다.

범어사역에서 구서동 쪽으로 내려올 때 남산역을 앞두고 네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상현마을 쪽으로 갈 수 있다. 하지만 금정3-1번은 1시간에 카운티 1대만 운행하기 때문에 시간표를 확인하고 이용하자.

남산역과 범어사역 구간 사이에는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이 없다. 다만 해당 구간은 주거지역이 많이 없고 거의 다 위쪽의 금샘로금강로 연선에 몰려 있어서 버스 정류장이 없더라도 이용 불편함은 없다.

더불어 남산역 주변에는 횡단보도가 없는데 남산역 맞이방을 이용하여 건너가라는 의도에서 횡단보도를 만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횡단보도를 이용하려면 두실역 방면으로 약 170m, 범어사역 방면으로 약 250m 정도를 걸어가야 한다. 무리하게 횡단하려고 했다가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분리대를 넘어가야 하는 데다 차들이 쌩쌩 달리는 중앙대로 연선이라 매우 위험하다.[1]

4. 일평균 이용객

남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16,735명 비고
2003년 15,873명
2004년 15,179명
2005년 13,917명
2006년 13,178명
2007년 13,476명
2008년 13,278명
2009년 12,398명 }}}}}}}}}
2010년 12,649명
2011년 13,095명
2012년 13,021명
2013년 13,013명
2014년 14,376명
2015년 13,864명
2016년 13,976명
2017년 13,182명
2018년 12,658명
2019년 12,594명
2020년 8,899명
2021년 9,178명
2022년 10,288명
2023년 10,557명
2024년 10,559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이용객은 12,594명(2019년 기준)으로 부산 1호선 안에선 저조한 편에 속한다. 주된 이용객은 남산동 주민들, 그리고 부산외국어대학교 통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산의 인구가 지난 30여년 간 꾸준히 인구가 감소하는 바람에 남산역의 수요도 그에 비례해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다. 심지어 유가 급상승으로 철도 이용률이 증가했던 2010년~2014년에도 증가하지 못하고 정체를 보였다.

그리하여 2017년 통계에선 15년 전에 비해 3,600여 명이 감소했고, 퍼센테이지로 따지면 78% 수준에 불과하다. 이 지역을 포함한 금정구 전체가 산줄기 사이에 끼인 계곡 지형이어서 더이상 개발할 땅도 없기 때문에, 재개발 이슈가 없는 이상 이용객의 감소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파일:20241211 132 남산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20241211 132 남산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1321.gif
역 안내도
두실
범어사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산·서면·하단·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범어사·노포 방면

6. 연계 교통

7. 사건 사고

1990년 9월 2일 오후 7시 21분 경 노포차량사업소에서 정비를 마치고 입환 중이던 116편성 전동차가 제동장치 불량으로 범어사역 본선으로 진입하여, 이 역까지의 내리막을 시속 20~30㎞로 이동하여, 두실역 방향으로 출발 대기중이던 117편성(1263호) 전동차의 뒷부분을 들이 받은 추돌 사고가 있었다. 전동차 2개 편성 중 Tc차 2량과 M카 4량을 포함한 총 6량이 파손되었고, 117편성의 기관사와 승객 7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액은 19억 원.

원인은 사고열차의 기관사가 제동장치의 에어밸브 개폐 작동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에어밸브가 고장나서 잠겨버린 상태에서 열차를 운행하다 본선으로 진입해서 이 역까지 미끄러져 내려와서 사고가 난 것인데, 당시 기관사는 비상제동장치를 작동하였으나, 먹히질 않자, 전동차에서 뛰어내려 철로변에 있던 나무토막을 열차바퀴와 선로 사이에 끼워서 전동차를 정지시키려고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한다. 충돌 직후 117편성 전동차의 출입문이 제대로 열리지 않는 바람에 객실 내의 승객들은 깨진 유리창과 찌그러진 문으로 빠져 나왔다고 한다.

이 사고로 인해서, 장전역~노포역 사이의 6개 역 구간 상/하행선이 다음날 오후까지 전면 중단 되어버렸고, 9월 5일에 116편성 기관사와 116편성의 정비를 맡은 차량기지 직원 3명을 구속하고, 차량기지 검수 1계장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한다.

이 때 파손된 116편성의 Tc차 1량은 117편성에서 충당했고, 118편성은 Tc차 1량, M카 4량을 117편성에서 충당했다고 한다. 116편성의 중간차는 1993년에 새로 제작되었고 106~109, 113편성도 116편성과 동일하게 중간차가 모두 1993년산 객차로 교체되었으며 기존 객차는 초기 편성의 8량 증결에 쓰였다.

이렇게 되자 기존의 117편성은 졸지에 없어지고 1991년에 사고 당시에 남아 있던 부품으로 복구시켜 사고복구차로 새로 제작되어 운행 중이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애초에 무단횡단을 하지 마라고 중앙분리대를 설치해 놓았다. 이는 양옆에 있는 두실역과 범어사역도 모두 마찬가지다.[심야] 심야포함[심야] 심야포함[심야]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