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21:03:14

봉후

파일:흉노 문장.svg
흉노 탱리고도선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5px;"
흉노(묵돌 이전)
불명
□□선우
흉노 · 동흉노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두만선우 묵돌선우 노상선우 군신선우 이치사선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오유선우 오사려선우 구려호선우 저제후선우 호록고선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호연제선우 허려권거선우 악연구제선우 호한야선우 복주루약제선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수해약제선우 거아약제선우 오주류약제선우 오루약제선우 호도이시도고약제선우
제21대
오달제후선우
북흉노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포노선우 우유선우 북선우 어제건선우 북선우
남흉노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혜락시축제선우 구부우제선우 이벌어려제선우 혜동시축후제선우 구제차림제선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호야시축후제선우 이도어려제선우 휴란시축후제선우 안국선우 정독시축후제선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만씨시축후제선우 오계후시축제선우 거특약시축취선우 호란약시축취선우 이릉시축취선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도특약시축취선우 호징선우 강거선우 특지시축후선우 호주천선우
비정통
좌곡여왕선우 좌대장선우 도기선우 호걸선우 거리선우
오자선우 윤진선우 이리목선우 효선우 순선우 조
순선우 등 수복선우 욱건좌현왕 차뉴선우 하뇌두선우
조홍선우 봉후선우
}}}}}} ||
비정통 북흉노 선우
봉후선우
逢侯單于
난제(攣鞮)
봉후(逢侯)
아버지 휴란시축후제선우(休蘭尸逐侯鞮) 난제둔도하(攣鞮屯屠何)
생몰 ?년 ~ ?년
재위 94년 ~ 118년

1. 개요2. 생애

1. 개요

북흉노의 비정통 선우. 남흉노의 초대 선우 혜락시축제의 손자이자 남흉노 8대 선우인 휴란시축후제의 아들.

2. 생애

94년 난제사자가 정독시축후제선우로 즉위하자 남흉노로 망명한 북흉노인 500~600명이 정독시축후제선우를 암살하려 시도했는데, 안집연사(安集掾史) 왕념(王恬)이 난제사자를 호위하는 군사들과 함께 북흉노인들을 격파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남흉노로 투항했던 북흉노 15부 20만여명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휴란시축후제선우의 아들인 욱건일축왕(薁鞬日逐王) 난제봉후를 협박해 선우로 옹립하였다.

난제봉후를 선우로 옹립한 북흉노인들은 관리와 사람들을 죽이고 우정(郵亭)과 여장(廬帳)을 파괴한 후 막북으로 넘어가려고 했다. 이에 후한은 행거기장군(行車騎將軍) 등홍(鄧鴻), 월기교위(越騎校尉) 풍주(馮柱), 행도료장군(行度遼將軍) 주휘(朱徽)에게 좌·우우림(左·右羽林), 북군(北軍) 오교사(五校士), 군국(郡國)의 적사(積射) 및 변경지대의 병사들과 오환교위(烏桓校尉)임상(任尙)에게 선비족오환족 병사들을 동원하게 하면서 4만 대군을 거느리고 봉후와 북흉노를 토벌하게 했다.

봉후는 군사 1만을 이끌고 정독시축후제와 사흉노중랑장 두숭이 주둔하고 있던 목사성(牧師城)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 94년 겨울, 등홍(鄧鴻) 등이 미직현(美稷縣)에 도착하자 봉후는 강에 얼음이 언 것을 이용하여 험하고 좁은 곳을 건너서 만이곡(滿夷谷)을 향하여 나아갔다. 정독시축후제선우는 아들에게 1만여 명의 기병과 두숭(杜崇)이 관할하던 4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게 하여 등홍(鄧鴻) 등과 [함께] 대성새(大城塞)에서 봉후를 추격해 3천여 명의 목을 베고 포로와 투항자 수만 명을 얻었다.

풍주(馮柱)는 다시 군대를 나누어서 그 별부(別部)를 추격하여 수천여 명의 목을 베었다. 임상(任尙)은 선비(鮮卑) 대도호(大都護)인 소발외(蘇拔廆) 및 오환(烏桓)의 대인(大人) 물가(勿柯)[의 기병] 8천 명을 거느리고 만이곡(滿夷谷)에서 봉후를 기다리고 있다가 습격해서 다시 그를 크게 격파하였다. 전후하여 무릇 1만 7천여 명의 목을 베었다. [그러나] 봉후가 마침내 그 무리를 거느리고 새외(塞外)로 탈출해버렸고, 후한군은 추격을 포기하고 95년 1월에 귀환하였다.

봉후(逢侯)는 새외에서 두 부로 나누어서 자신은 탁야산(涿邪山) 아래에서 우부(右部)를 다스렸고, 좌부(左部)는 삭방군(朔方郡) 서북부에서 주둔하였는데, 서로 수백 리가 떨어져 있었다.

96년 봉후가 다스리는 우부(좌부)와 좌부(동부) 흉노 간 서로 이반을 의심하다가 좌부가 봉후선우에게 등을 돌려 후한에 투항해버렸다. 이들은 삭방군의 관내로 들어가버렸고, 방분(龐奮)은 투항한 흉노인들을 환영하면서 위무했다.[1]

한편 봉후의 무리는 기근에다 선비족의 공격에 시달리면서 북흉노에서 후한으로 도망오는 자들이 끊이지 않았다. 게다가 남흉노까지 매년 북흉노를 공격하면서 무리 대부분이 남흉노 측에 포로로 잡혀 끌려가면서 북흉노는 형편이 어렵게 되었다.

104년, 봉후는 사신을 보내 과거 호한야선우가 맺었던 화약을 다시 맺고싶다며 후한에 제안했으나, 후한은 거부했다. 105년에도 사신을 보내 자신의 나라가 가난해서 아직 예물을 갖추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대사(大使) 파견요청과 아들을 보내 내조하겠다고 요청했으나 역시 거부당했다.

117년, 봉후는 선비족에게 격파당해 부중이 분산되어 대부분의 무리가 선비족에게 투항했다.

118년, 봉후는 기병 백여 명을 이끌고 후한으로 투항했다. 봉후가 삭방군 관새로 오자 등준(鄧遵)은 봉후를 영천군(潁川郡)으로 보내야 한다고 상주(上奏)했다.


[1] 이때 후한에 투항한 우온우독왕(右溫禺犢王) 오거전(烏居戰)은 안국(흉노)의 부하였기 때문에 정독시축후제 선우는 그를 고문하려하자 오거전은 수 천명의 무리를 이끌고 다시 새외로 탈출해 후한 변경을 노략질하다 96년 가을 후한의 공격을 받아 다시 후한에 투항했다. 후한은 오거전의 무리 2만명을 안정군, 북지군에 나누어 사민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