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 탱리고도선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5px;" | 흉노(묵돌 이전) | ||||
불명 | |||||
□□선우 | |||||
흉노 · 동흉노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두만선우 | 묵돌선우 | 노상선우 | 군신선우 | 이치사선우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오유선우 | 오사려선우 | 구려호선우 | 저제후선우 | 호록고선우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호연제선우 | 허려권거선우 | 악연구제선우 | 호한야선우 | 복주루약제선우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수해약제선우 | 거아약제선우 | 오주류약제선우 | 오루약제선우 | 호도이시도고약제선우 | |
제21대 | |||||
오달제후선우 | |||||
북흉노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포노선우 | 우유선우 | 북선우 | 어제건선우 | 북선우 | |
남흉노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혜락시축제선우 | 구부우제선우 | 이벌어려제선우 | 혜동시축후제선우 | 구제차림제선우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호야시축후제선우 | 이도어려제선우 | 휴란시축후제선우 | 안국선우 | 정독시축후제선우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만씨시축후제선우 | 오계후시축제선우 | 거특약시축취선우 | 호란약시축취선우 | 이릉시축취선우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도특약시축취선우 | 호징선우 | 강거선우 | 특지시축후선우 | 호주천선우 | |
비정통 | |||||
좌곡여왕선우 | 좌대장선우 | 도기선우 | 호걸선우 | 거리선우 | |
오자선우 | 윤진선우 | 이리목선우 | 효선우 | 순선우 조 | |
순선우 등 | 수복선우 | 욱건좌현왕 | 차뉴선우 | 하뇌두선우 | |
조홍선우 | 봉후선우 |
3대 흉노 선우 노상선우 老上單于 | ||
성 | 난제(攣鞮) | |
휘 | 계죽(稽粥) | |
아버지 | 묵돌선우(冒頓單于) 난제묵돌(攣鞮冒頓)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161년 |
재위 기간 |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
1. 개요
흉노의 제3대 선우. 묵돌의 아들로 원래 이름은 계죽(稽粥)[1]이다. 선우가 되자 스스로 노상선우라 칭하였기 때문에 노상계죽선우라고도 한다.2. 행적
기원전 176년 아버지인 묵돌이 공격한 월지의 주력부대가 천산산맥 북쪽으로 도망가자, 이들을 토벌했다. 한 때 흉노와 하서지역에서 대등하게 맞서던 월지는 주력군을 잃고, 이리를 거쳐 대완지역까지 쫓겨갔고, 노상선우는 월지의 왕을 사로잡아 죽이고 그 두개골을 술잔으로 삼았다.기원전 174년에 전한의 문제가 종실의 여자인 옹주를 공주라고 속여 보낼 때 중항열을 얻게 되자 이 중항열을 총애하였으며, 처음에는 한나라의 비단, 무명, 음식 등을 좋아하였지만 중항열이 흉노가 강한 이유가 한나라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점을 들어 진언하자 그의 말에 따라 실천했고, 또한 중항열이 기록하는 방법을 가르치자 흉노의 인구와 가축의 통계를 조사하여 기록하는 제도를 시작했다.
중항열의 진언에 따라 한나라에 편지를 쓰는 방법을 고쳤고, 그의 진언으로 침공하는 지점을 살펴 기원전 166년에 기병 14만명을 이끌고 조나, 소관으로 쳐들어가서 북지 도위인 손앙을 죽이고, 다수의 주민과 가축을 가져갔으며 팽양까지 진출하여 회중궁[2]을 불태웠다.
감천궁[3]에 이르러 문제가 군사를 보내자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고 한 달 간 있다가 가버렸다. 이후에도 해마다 변경으로 쳐들어가 다수의 주민과 가축들을 살상하고 약탈하다가 기원전 162년에 한나라와 화친하였다. 기원전 161년에 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