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6:50:00

텅스텐

볼프람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주기율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colbgcolor=#f5f5f5,#2d2f34>
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H He
2Li Be B C N O F Ne
3Na Mg Al Si P S Cl Ar
4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Cs Ba (란)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Fr Ra (악)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란)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악)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wiki style="margin:-15px -10px; font-size:calc(10em/9); word-break: keep-all"범례
{{{#!wiki style="margin:-15px -10px"}}}
• 배경색: 위와 같은 원소 종류 분류
•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관련 문서: 틀:확장 주기율표}}}}}}}}}}}}

74W
텅스텐
 | 
Tungsten
분류 전이 원소 상태 고체
원자량 183.84 밀도 19.25 g/cm3
녹는점 3422 °C 끓는점 5930 °C
용융열 35.3 kJ/mol 증발열 774 kJ/mol
원자가 6 이온화에너지 770, 1700 kJ/mol
전기음성도 2.36 전자친화도 78.6 kJ/mol
발견 C. W. Scheele (1781)
CAS 등록번호 7440-33-7
이전 원소 탄탈럼(Ta) 다음 원소 레늄(R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Wolfram_evaporated_crystals_and_1cm3_cube.jpg
텅스텐 입방체와 덩어리
파일:tungstan.jpg
전구 필라멘트

파일:attachment/W-usage.jpg
1. 개요2. 명칭3. 특징4. 용도
4.1. 고경도 공구4.2. 무기4.3. 방사선 차폐4.4. 기타
5. 한반도와 텅스텐
5.1. 일제강점기~현대5.2. 대한중석5.3. 2020년대 이후 재개발 추진
6. 사건사고7. 기타

[clearfix]

1. 개요

주기율표 6족에 속하는 굳고 단단한 백색 또는 회백색의 금속원소이다.

2. 명칭

텅스텐이라는 이름은 1755년 혹은 1751년[1] A. 크론슈테트가 이 원소로 이루어진 광석인 회중석(灰重石)을 'tungsten'이라고 명명한 데에서 기원한다. 여기서 'tungsten'은 스웨덴어로 '무거운 돌'이라는 뜻이며, 이를 한자로 옮겨 중석(重石)이라고도 한다.

후술하는 대로 주석과 합쳐져 슬래그화되는 현상 때문에 이 광석을 탐욕스러운 늑대(Wolf)에 빗대어 'Wolframite'라 불렀고, 거기서 유래하여 구성원소인 텅스텐을 'Wolfram(볼프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소기호 W는 Wolfram에서 나온 것이다.

중국어에서 텅스텐을 의미하는 글자는 Wolfram을 따라 鎢(Wu)라고 한다.

3. 특징

4. 용도

산업, 군사 활용도가 아주 높아 손꼽히는 전략 광물이다. 실제 2차대전 당시 유럽내 주요 텅스텐의 산지였던 포르투갈[5]스페인은 연합국과 추축국 양쪽에게 텅스텐을 공급하고 이득을 취했으며, 영국 같은 경우에는 아예 포르투갈산 텅스텐을 먼저 선점, 싸그리 수입하여 독일이 수입할 몫이 없도록 만들었다. 현재도 중요한 전략물자인 건 여전해서 다수의 국가들이 전략 예비 물자로 적어도 60일에서 180일분의 국내 소비량을 확보하고 있다.

4.1. 고경도 공구

4.2. 무기

4.3. 방사선 차폐

4.4. 기타

5. 한반도와 텅스텐

한반도에 많이 매장되어 있는 정말 몇 안 되는 광물 중의 하나다. 한반도의 광물들은 다양하긴 하지만 양이 적을 때가 많은데[6] 텅스텐처럼 매장량도 많고 품질까지 좋은 광물은 정말 흔치 않다. 이외엔 기껏해야 석회석이나 시멘트, 흑연 정도이고, 단가가 높은 귀금속의 대표격인 이나 역시 세계적 경쟁력을 따질 수준까지는 아니라도 근대에 들어서까지도 상업적인 채굴이 가능했었으나 이쪽은 채굴의 역사 역시 긴 탓에 충분한 잔여 매장량을 기대하기 어렵지 않으냐는 관측이 많다. 종합해서 보면 일정 수준 이상의 부가가치나 전략적 가치가 있는 광물자원으로써 손꼽을만한 것은 텅스텐 정도 뿐이라 할 수 있다.

5.1. 일제강점기~현대

한국의 텅스텐 산출 역시 일제강점기와 떼어놓을 수 없다. 한반도에서 텅스텐이 채굴된 때는 1900년대 초이며, 철망간중석과 회중석 둘 다 풍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텅스텐 수요량이 급증하자, 일본은 한반도에 780개소에 달하는 광산을 세워 텅스텐을 채굴했었다. 이후 1920년대엔 상황이 반전되어, 산출량이 0을 향해 곤두박칠치는데 전쟁이 끝나 수요도 없거니와 중국대륙에서 텅스텐이 대량으로 채굴되어 굳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한반도에서 채굴할 가치가 없었고, 일본 역시 중국산 텅스텐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일제는 한반도에서 텅스텐 채굴을 중지하는듯 했으나, 중일전쟁의 발발로 인하여 일본은 중국에서 텅스텐을 수입해올 수 없자 한반도로 눈을 돌려 다시금 텅스텐을 채굴하기 시작하였으며 1943년엔 7,000톤에 달하는 텅스텐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16년 4월 노두(露頭)가 발견된 뒤 1923년 일본인에 의해 개광된 강원도 영월군 상동광산에선 일본 전체의 점유율을 놓고 보면 1943년엔 19%, 44년엔 31%, 45년 패전까지 71%에 달하는 점유율을 자랑했다. 그러다보니 전시에 조선인들이 텅스텐 광산에도 강제동원이 되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다. 일례로 부산의 닛코(日光)광산 같은 경우가 그렇다. #

한반도 내에서 제일 유명한 텅스텐 광산은 위에서 언급한 영월 상동광산이 바로 그 곳으로[7] 단일 광산으로는 세계최대 규모이며, 남은 매장량도 5,800만 톤 정도라 연간 100만 톤씩 60년 가량 캘 수 있는 양이다. 광석 품질도 매우 높아 텅스텐 0.48% 로 평균 0.19% 인 중국 등 세계 광산에 비해 2.5배나 되는 고품질이다. 텅스텐 광석 외에도 비스무트몰리브덴 광석도 부산물로 산출된다. 1917년에 발견되어 그 동안 계속 파내고 있다가 1950~60년대에는 70%로 정제된 텅스텐 정광으로 연간 4천톤 가량 생산해 세계 생산량의 약 17%를 차지하고 몰리브덴/비스무트도 연간 1000톤 씩 생산했다. 1950년대 당시에는 거의 유일한 한국의 외화 획득 수단이어서 한국 수출액의 60%를 혼자 감당한 적도 있다.

5.2. 대한중석

원래 1952년 국영기업 '대한중석'[8][9]으로 설립되어 상동광산과 달성광산을 운영하다가 1994년 문민정부의 국영기업 민영화 정책[10]에 의해 부동산과 건설업으로 재벌그룹이 된 거평그룹에 매각되었다. 당시 대한중석은 상기한 대로 알짜기업이었는데 특히 명동의 금싸라기 땅과 1백만주의 포항제철 주식, 500만 평의 상동광산과 15만 평의 대구 공장부지를 가지고 있어 거평그룹이 회장의 동향출신 대한중석 임원을 지냈던 염동석을 영입하고 입찰가를 예상보다 100억원을 더 쓰는 등 인수에 노력을 기해 인수에 성공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1998년 거평그룹의 부도로 결국 현재는 워렌 버핏이 소유하고 있는 이스라엘계 IMC그룹에 전량 인수되어 대구텍으로 개명되어 운영하고 있다. 한편 광업권은 대구텍에 가지 않고 캐나다 회사에 재부여한 상태이나 # 기한이 있어서 개발하지 못한 채로 기한이 지나면 다시 대한민국 정부에 회수될 예정이다.

5.3. 2020년대 이후 재개발 추진

이렇듯 활발하게 채굴됐지만 중국산 텅스텐 때문에 텅스텐 가격이 떨어지면서 채산성이 맞지 않아 1992년 문을 닫았다. 이 때문에 한때 2만 명이 넘는 이가 거주했던 영월 상동읍은 현재는 인구가 1천 명 수준으로 격감해 한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읍이 되었다.

그렇게 폐광되긴 했지만 상동광산에는 여전히 5,800만 톤의 텅스텐이 매장되어 있고 텅스텐 가격의 상승과 전략광물로 주목을 받으면서 2020년대에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텅스텐 광산에서는 몰리브덴이나 레늄 등 다른 산업적으로 중요한 금속이 같이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 매년 정광으로 2,500 톤 정도 생산해 세계 생산량의 10% 정도를 차지할 예상이다. 인허가 절차가 순조롭다면 2023년[11] 하반기부터 채굴이 개시될 것이라고. # 채굴이 개시된다면 주요 전략광물의 대중국 의존도를 줄이는데 한몫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2020년 들어 재개발 작업에 들어갔다. 재개발을 추진하는 알몬티대한중석은 2015년 알몬티 인더스트리즈가 인수 후 독일 국영은행 KfW-IPEX의 PF 대출을 받아 설립된 대한민국의 외국계 투자 중소기업이며, 기술력과 자본력으로 뒷받침되어 최근 텅스텐 가격 변동에도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동광산 재개발 이후 현재 알몬티대한중석은 선광공장 및 주운반갱도 건설을 진행 중이다.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고 안정화가 되면 사업 개발 2단계에 들어서 총생산량의 55%는 오직 한국에만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영월군과 협의하에 영월군 내에 산화텅스텐 제련공장을 세워 더이상 미국으로 수출 후 재수입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연간 6~7천톤가량의 텅스텐을 수입하는 한국으로서는 희소식이다.

상동광산이 폐광되면서 국내의 텅스텐 관련 생산 생태계는 초경합금 공장을 제외하고는 거의 무너져버렸다. 광업권 인수당시부터 알몬티대한중석의 사업목표는 국내에 모든 텅스텐 제련 정련 시설을 다시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었다. 따라서 상동광산 내에 건설하는 선광장에서 정광이 생산되면 그 생산물을 다시 처리하는 텅스텐 옥사이드(산화 텅스텐) 제련 공장을 영월에 건설할 계획이다. 물론 이런 일련의 계획은 순차적으로 이뤄지는 데, 최근 언론에 보도된 알몬티대한중석의 계획으로는 내년 하반기에 텅스텐의 정광이 다시 생산되기 시작하고, 영월에 들어설 산화 텅스텐 제련 시설은 2027년까지 건립을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한 부지 선정과 건설에 영월군이 전폭적인 지원을 하기로 했고, 독일 국책은행 KfW-IPEX의 5천만 달러 추가 투자 의향서도 작년 9월에 공시되었다. 2027년이 되면 중국 의존도가 90%가 넘는 국내 반도체 공장이나 2차 전지 제조 회사의 텅스텐 관련 제품은 거의 다 상동광산이 안정적으로 대체 공급하게 되며 이것이 알몬티대한중석의 사업계획이다.

6. 사건사고

7. 기타


[1] 두산백과는 1755년으로 되어 있고, 영어 위키백과에선 1751년으로 되어 있다. 1755년 A. F. Cronstedt의 논문에서는 텅스텐 혹은 유사어가 존재하지 않는다.[2] 금속 원소 중에서 가장 높은 것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녹는점이 높은 원소는 탄소(3,550°C). 대신 끓는점은 텅스텐이 더 높다.[3] 애초에 홑원소 상태의 금속 원소들은 대체로 주기율표의 아래로 갈수록 물러지는 경향이 있다. 원자의 크기가 커져서 구조가 약해지기 때문이다.[4] '창X방패'에서 내로라 하는 드릴 회사들이 이걸 뚫어보려 했다가 고배를 마신 바 있다. 7번째에 들어서야 뚫어내는 데에 성공했다.[5] 파나스케이라(Panasqueira) 광산[6] 사실 일반인들의 인식과는 다르게 대한민국/한반도에 매장된 광물 자원 자체는 생각외로 풍부하다. 우라늄도 있고, 도 있고, 도 있고, 희토류 계열도 있으며, 심지어는 해저에서 채굴하는 것이지만 일단 석유도 있다. 다만 종류만 풍부하고 매장량이 저조하거나 품질이 낮아 채산성이 안맞는 게 문제다. 이를 풍자하여 종종 나오는 표현이 "한반도는 지하자원의 지질학적 박물관이다" 인데, 말 그대로 딱 온갖 광물자원의 표본만 갖추고 있는 박물관 같다는 뜻이다.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자원 문서를 참조.[7] 일제강점기 텅스텐 총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한 황해도 곡산군의 백년광산(百年鑛山)도 있지만, 휴전선 너머에 갇혀버렸으며 1958년 만년광산(...)으로 개칭한 북한 치하에서의 생산량 또한 격감하였다.[8] 5.16 쿠데타 이후 한동안은 군 출신인 박태준이 사장으로 경영하였다.[9] 여담으로 대한중석 시절에는 산하에 실업축구팀을 운영한 적이 있는데, 이 팀이 업무시간 외에만 축구를 하라는 회사 측의 결정에 선수들이 반발하는 바람에 해체된 후 역시 대한중석에서 포항제철로 옮겨간 박태준 회장이 해체된 대한중석 축구단에 소속됐던 선수들을 받아들여 포항제철 축구단을 창단했고, 이 팀이 오늘날 K리그를 대표하는 명문구단 중 하나인 포항 스틸러스의 모태가 된다.[10] 이때 대한중석, 한국비료 등 수십여개의 국영기업, 공기업을 국내외 사기업에 매각하였다.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금융과 철도, 전력, 통신 등의 사회인프라를 제외하면 정부가 직접 운영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11] 개광 100주년이 되는 해다.[12] 이는 현 우주의 나이(약 138억년)보다도 훨씬 긴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