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3:07:13

WC(동음이의어)



1. 화장실 (Water Closet)2. World Cup3. 탄화텅스텐
3.1. 제조3.2. 화학적 성질3.3. 물리적 성질 및 구조3.4. 용도
4. Wild Card

1. 화장실 (Water Closet)

화장실 문서 참고.

2. World Cup

FIFA 월드컵 문서 참고. 아울러, 축구 이외의 월드컵은 월드컵(동음이의어) 문서 참고.

3. 탄화텅스텐[1]

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넣어 만드는 화합물. 보라존과 비슷한 경도를 띠며 소결탄화물의 주재료이다.

3.1. 제조

탄화텅스텐은 일반적으로 탄소 분말과 텅스텐 분말을 1400~1600℃에서 반응시켜 분말상태로 얻어낸다. 다른 방법으로는 삼산화텅스텐을 900~1200℃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기체와 반응시켜 얻어내는 것과 육염화텅스텐을 670℃에서 수소와 메탄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얻어내는 방법과, 그리고 육플루오르화텅스텐을 350℃에서 수소와 메탄올의 혼합기체와 반응시키는 것이 있다.

3.2. 화학적 성질

탄화텅스텐은 고급 귀금속으로도 쓰는 백금이나 보다는 못하지만 화학적으로 대단히 안정된 구조로 물과 수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내산성도 뛰어나 대부분의 산과 반응하지 않지만 플루오르화수소산에는 침식된다. 플루오르와는 상온에서 반응하고 염소와 400℃이상에서 반응한다.

3.3. 물리적 성질 및 구조

탄화텅스텐의 녹는점은 2870℃로 순수한 텅스텐보다 녹는 점이 낮지만 그럼에도 산업현장에서 주로 쓰는 금속들보다 높아 내열성이 뛰어나다. 내마모성과 압축강도가 높고 경도 또한 커서, 모스 경도는 9~9.5정도에 해당하며 비커스 경도는 1700~2400정도의 수치를 나타내고 로크웰 경도계로는 90정도의 수치를 기록한다. 영의 계수는 550Gpa이고, 부피탄성계수는 439Gpa, 전단탄성계수는 270Gpa이다.[2]

일반적인 탄화텅스텐은 상온에서 육방정계의 구조를 가지고, 고온에서는 입방정계가 된다.

3.4. 용도

얻어낸 탄화텅스텐 분말은 대개 코발트 분말과 혼합하여 1400℃에서 압축 성형한 후 소결시켜 초경합금을 만든다. 초경합금은 경도와 내열성이 고속도강보다 월등히 뛰어나 산업현장용 절삭공구, 연마제나 각종 나이프 샤프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내산성이 커서 볼펜볼로 만들기도 한다.

비교적 최근에는 안정적인 화학적 성질 및 강도와 더불어 일상적인 생활용도에서는 특유의 높은 경도로 흠집조차 거의 나지 않기에 반지나 목걸이 등 장신구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4. Wild Card

문서 참고.
[1] 텅스텐의 원소기호가 W이다.[2] 다만 이러한 성질에 반비례해 연성이 매우 떨어지고 취성이 그만큼 높아져 산업현장에서 주로 쓰는 강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지기 쉬워서 보통은 부품 수준의 작은 크기위주로 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