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9년: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0년: 1월 · 2월 ·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11~12월 2021년: 2021년 이후 관련 법률 홍콩 내부 대응 · 대한민국 반응 · 인터넷 반응 주요 정치인 (당시 직책 기준)  {{{#!wiki style="margin: -11px -10px -6px" | }}} {{{#!wiki style="margin: -34px -10px -6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 }}} 주요 언론 · 단체 관련 웹사이트 · SNS · 집결지  웹사이트: LIHKG · Band in China 사용 SNS: 텔레그램 · 트위터 · 페이스북 · Signal Private Messenger 집결지: 빅토리아 공원 · 타마르 공원 · 차터 가든 주요 사건 지점  홍콩 입법회(시위대 점거) · 홍콩 국제공항(공항 점거 시위) · 윈롱역(친중파의 백색테러) 정관오역(홍콩과기대학 학생 사망) · 프린스에드워드역(경찰 과잉진압) · 경마장역(친중파 의원 경마사건) 사이완호역(홍콩 경찰의 시위대 가슴 조준 실탄 발포) 홍콩중문대학 · 홍콩이공대학(경찰과 시위대 대치) · 홍콩대학(수치의 기둥) 시위 상징 연관 선거  홍콩 입법회 선거: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 홍콩 구의회 선거: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 연관 사건 · 정보 정보: 홍콩/정치 ·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독립운동}}} 연관 사건: 하스스톤 홍콩 시위 지지 프로게이머 징계 사건 · 중국과 NBA 간 갈등 사태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  | |
| 本土民主前綫 | |
| 영문 명칭 | Hong Kong Indigenous | 
| 한문 번역 명칭 | 본토민주전선 | 
| 약칭 | |
| 슬로건 | 광복홍콩 시대혁명 | 
| 창당일 | 2015년 1월 | 
| 당사 주소 | |
| 회원수 | 50명(2015년) | 
| 대표 | (공석) | 
| 입법회 | 0석 / 90석 | 
| 구의회 | 0석 / 479석 | 
| 선거인단 | 0석 / 1,500석 | 
| 당 색 | 남색 (#2A3687, Navy) | 
| 이념 | 홍콩본토주의 홍콩민족주의 홍콩 독립운동 문화적 보수주의 자유주의 토착민주의 반공주의 | 
| 공식 사이트 | 사이트 도메인 만료됨 | 
| SNS | |
1. 개요
홍콩의 본토파, 홍콩 독립운동 성향의 정당이다.에드워드 렁이 여기 소속이었다.
2. 성향
이들은 찐본토파 정당이다. 다른 민주파 정당들과는 달리 확실하게 홍콩 독립을 목표로 하였다.3. 역대 선거
| 선거명 | 확보한 의석 수 | 비고 | 
|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 | 0석 / 70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