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시즌 구단별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코소바레 아슬라니 | 제니스 카이만 | 그레이스 피스크 | 알렉스 그린우드 |
메이저 르티지어 | 메이지 시먼즈 | 킴 리틀 | 레이첼 데일리 | |
메건 피니건 | 카트리나 고리 | 밀리 브라이트 | 베서니 잉글랜드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5-26 시즌 스쿼드 |
1 코프 · 2 그랜트 · 3 모리스 · 4 제임스-터너 · 5 바트립 · 6 닐덴 7 나즈 · [[베서니 잉글랜드|9 잉글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10 오로스 · 11 홀트 · 12 뤼브링크 · 13 빈베리 · 15 헌트 16 그레이엄 · 17 토마스 · 18 거닝-윌리엄스 · 19 탄베르그 · 20 아흐티넨 21 뷜러 · 24 스펜스 · 25 숨마넨 · 27 힙스 · 29 네빌 · 30 데니스 · 32 코가 |
감독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bgcolor=#fff><colcolor=#0b1c56>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No.9 C | ||
베서니 잉글랜드 Bethany England | ||
출생 | 1994년 6월 3일 ([age(1994-06-03)]세) | |
잉글랜드 사우스요크셔 반즐리 | ||
국적 |
| |
신체 | 키 166cm / 체중 59kg | |
포지션 | 중앙 공격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ffffff><colcolor=#0b1c56> 유스 | 셰필드 유나이티드 WFC |
프로 | 동커스터 로버스 벨스 LFC (2011~2015) → 셰필드 웬즈데이 LFC (2011 / 임대) 첼시 FC 위민 (2016~2023) → 리버풀 FC 위민 (2017~2018 / 임대)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3~ ) | |
국가대표 | 26경기 11골 (잉글랜드 / 2019~ ) | |
SNS |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중앙 공격수.2. 클럽 경력
2011년 7월 동커스터 로버스 벨스 LFC에서 성인 무대 데뷔 후, 같은 해 10월 셰필드 웬즈데이 LFC로 단기 임대를 다녀왔다.2.1. 첼시 FC 위민
|
2016년 1월 첼시 FC 위민으로 이적했다. 19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넣었으며, 이 중 7경기는 윙백으로 출전하였다.
2017년 4월 첼시 FC 위민과 2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9월 리버풀 FC 위민으로 임대되어 16경기에서 10골을 넣었다.
2018-19 시즌을 앞두고 첼시로 복귀했다. 18경기에서 12골을 넣으며 득점 순위로 리그 3위, 첼시 선수단 중 1위를 차지했다.
2019-20 시즌 리그에서 15경기에 출전했다. 컨티넨탈 컵 결승전에서 두 골을 넣어 첼시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리그와 컵 경기 합산 21골(리그 14골)을 넣었고, 여자 슈퍼 리그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20년 7월 첼시 FC 위민과 4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2.2.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2023년 1월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과 2026년까지 계약했다. 이적료는 당시 FA 여자 슈퍼 리그 최고 이적료 기록을 갱신한 25만 파운드였다.
2023년 9월 2023-24 시즌을 앞두고 팀의 주장으로 지명되었다. 그리고 같은 달에 둔부 부상으로 수술을 받으며 시즌을 조금 늦게 시작하게 되었지만, 2점차로 지고 있던 셰필드 유나이티드 WFC와의 경기에서 11분만에 2골을 몰아 넣거나, 맨체스터 시티 WFC를 상대로 라스트 미닛골을 넣는 등 여자 FA컵 경기에서 대활약하며 팀을 사상 첫 메이저 컵 대회 결승으로 이끌었다.
3. 국가대표 경력
|
2019년 8월 벨기에와 노르웨이와의 친선경기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2019년 10월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교체로 들어가 첫 골을 넣었다.
2022년 6월 UEFA 여자 유로 2022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2023년 5월 2023 FIFA 여자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4. 플레이 스타일
4.1.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이적 이후
활동 범위를 넓게 가져가며 부지런히 상대 수비라인을 압박하고, 중원으로 내려와 빌드업과 공격 전개에 도움을 주는 컴플리트 포워드 타입 중앙 공격수이다. 다만, 30대 초반이 되면서 점프력과 순발력 등 신체 능력이 저하된 탓에 과거 두드러지지 않았던 평범한 체격 조건이 약점이 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이제는 공중볼을 받아주거나 수비수 사이에서 버텨주는 등의 타겟맨 역할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대신 풍부한 경기 경험이 쌓여서 플레이메이킹과 연계 능력은 발전했기 때문에 포스트 플레이와 득점을 해 줄 수 있는 또 다른 공격수와 분담할 경우 좋은 경기력을 보이지만,[1] 이는 곧 '빅 앤 스몰' 투 톱 시스템을 쓰거나 베서니 잉글랜드를 공격형 미드필더 위치에 기용해야 한다는 뜻이 되는데 이렇게 할 경우 중원의 전문 미드필더 숫자가 한 명 부족해지므로 오히려 팀의 중원이 약화되어 일정 수준 이상 팀과의 허리 싸움에서 밀리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2]
대체로 지금까지의 모습은 시간이 흘러 점점 공격형 미드필더처럼 변모했던 과거 토트넘 홋스퍼 FC 시절 헤리 케인과 비슷한 경로를 밟고 있는데, 케인은 주력과 순발력 등 신체 능력이 저하되었음에도 체격 조건 자체는 여전히 준수했기 때문에 헤더 득점과 포스트 플레이가 가능했고, 공격형 미드필더 역할도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는 중거리 슈팅과 시야 롱패스 툴을 갖추고 있어서 중원의 낮은 위치에서도 충분히 상대에게 위협이 되는 선수였지만, 그것들을 갖고 있지 않은 베서니 잉글랜드가 과연 활동량과 연계 압박 득점 능력만으로 박스 밖에서 제몫을 할 수 있을지 현재로써는 미지수이다.[3]
활동 범위를 좁혀 주고 박스 안 침투 득점과 기회 포착에만 집중하는 포처 역할을 맡기거나 비교적 경합이 약한 윙포워드로 자리를 옮기는 것이 사실 가장 좋지만,[4] 팀 사정상 후방에서 기회를 만들어 주거나 빌드업을 풀어 줄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한 관계로 당분간은 지금처럼 팀과 선수 본인 모두에게 애매한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첼시 FC 위민 (2016~2023)
- FA 여자 슈퍼 리그 스프링 시리즈 : 2017
- FA 여자 슈퍼 리그: 2017-18, 2019-20, 2020-21, 2021-22
- 여자 FA컵 : 2017-18, 2021-22
- FA 여자 커뮤니티 실드: 2020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3~ )
- 여자 FA컵 준우승: 2023-24
-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19~ )
- UEFA 여자 유로: 2022
- FIFA 여자 월드컵 준우승: 2023
5.2. 개인 수상
- PFA 올해의 선수 (여자 선수): 2019-20
- PFA 올해의 팀 (여자 팀): 2019-20
- FA 여자 슈퍼 리그 올해의 선수: 2019-20
- FA 여자 슈퍼 리그 이달의 선수: 2020년 1월, 2020년 2월
6. 여담
- 웨일스의 여자 축구선수인 스테파니 윌리엄스와 연인관계였으며, 2025년 6월 정식으로 결혼했다.
- 어린 시절 잉글랜드란 성으로 놀림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5]
7.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포지션 | 국적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1 | 리즈 코프 | Lize Kop | GK | | 1998. 3. 17 ([age(1998-03-17)]세) | 173cm | ||
2 | 샬럿 그랜트 | Charlotte Grant | DF | | 2001. 9. 20 ([age(2001-09-20)]세) | 168cm | ||
3 | 엘라 모리스 | Ella Morris | DF | | 2002. 9. 23 ([age(2002-09-23)]세) | |||
4 | 에이미 제임스터너 | Amy James-Turner | DF | | 1991. 7. 4 ([age(1991-07-04)]세) | 165cm | ||
5 | 몰리 바트립 | Molly Bartrip | DF | | 1996. 6. 1 ([age(1996-06-01)]세) | |||
6 | 아만다 닐덴 | Amanda Nildén | DF | | 1998. 8. 7 ([age(1998-08-07)]세) | 168cm | ||
7 | 제시카 나즈 | Jessica Naz | FW | | 2000. 9. 24 ([age(2000-09-24)]세) | 165cm | ||
8 | 헤일리 라소 | Hayley Raso | FW | | 1994. 9. 5 ([age(1994-09-05)]세) | 161cm | ||
9 | 베서니 잉글랜드 | Bethany England | FW | | 1994. 6. 3 ([age(1994-06-03)]세) | 164cm | ||
10 | 마이테 오로스 | Maite Oroz | MF | | 1998. 3. 25 ([age(1998-03-25)]세) | 155cm | ||
11 | 올리비아 홀트 | Olivia Holdt | MF | | 2001. 6. 7 ([age(2001-06-07)]세) | |||
12 | 요세피네 뤼브링크 | Josefine Rybrink | DF | | 1998. 1. 19 ([age(1998-01-19)]세) | |||
13 | 마틸다 빈베리 | Matilda Vinberg | MF | | 2003. 3. 16 ([age(2003-03-16)]세) | |||
14 | 안나 치키 | Anna Csiki | MF | | 1999. 11. 14 ([age(1999-11-14)]세) | |||
15 | 클레어 헌트 | Clare Hunt | DF | | 1995. 3. 25 ([age(1995-03-25)]세) | 176cm | ||
16 | 킷 그레이엄 | Kit Graham | FW | | 1995. 11. 11 ([age(1995-11-11)]세) | 160cm | ||
20 | 올가 아흐티넨 | Olga Ahtinen | MF | | 1997. 8. 15 ([age(1997-08-15)]세) | |||
21 | 루아나 뷜러 | Luana Bühler | DF | | 1996. 4. 28 ([age(1996-04-28)]세) | 171cm | ||
23 | 로젤라 아야네 | Rosella Ayane | FW | | 1996. 3. 16 ([age(1996-03-16)]세) | 180cm | ||
24 | 드루 스펜스 | Drew Spence | MF | | 1992. 10. 23 ([age(1992-10-23)]세) | 164cm | ||
25 | 에벨리이나 숨마넨 | Eveliina Summanen | MF | | 1998. 5. 29 ([age(1998-05-29)]세) | 172cm | ||
27 | 엘러너 힙스 | Eleanor Heeps | GK | | 2003. 8. 4 ([age(2003-08-04)]세) | |||
29 | 애슐리 네빌 | Ashleigh Neville | DF | | 1993. 4. 29 ([age(1993-04-29)]세) | 171cm | ||
31 | 레나 거닝윌리엄스 | Lenna Gunning-Williams | FW | | 2005. 2. 5 ([age(2005-02-05)]세) |
[1] 토트넘은 이를 위해 2023-24 시즌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 출신의 마사 토마스를, 2025-26 시즌 앞두고서는 노르웨이의 젊은 타겟형 스트라이커 카팅카 탄베르그를 영입했다.[2] 아무리 잉글랜드가 중원에서 수비와 공격 전개를 도와줄 수 있는 만능형 공격수라고 해도 해당 역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미드필더만큼 잘 해내기는 어렵다. 2024-25 시즌 기준으로 카디자 쇼(타겟형 스트라이커)-비비아너 미데마(공격형 미드필더 위치에서 뛰는 프리롤 공격수) 라인으로 비슷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맨체스터 시티 WFC의 경우, 중원 숫자가 한 명 부족하더라도 이를 기존 미드필더와 수비수의 역량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토트넘에는 그 정도 역량을 가진 후방지역 자원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3] 요컨대, 박스 안에서의 베서니 잉글랜드는 '팀 내 유일무이한 센세이셔널 골게터'이지만, 중원으로 내려오면 그냥 활동량 많고 압박 잘 해주고 패스도 곧잘 하지만 공격수 출신이라 턴오버가 잦은 '투박한 미드필더1'이 된다.[4] 이는 아스날 WFC의 베스 미드라는 좋은 예시가 있다.[5] 한 팟캐스트에서 "그땐 애들이 절 보고 비웃었죠. 근데 지금은 누가 웃고 있을까요?"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