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colbgcolor=#fff,#191919>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토트넘 홋스퍼 FC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ddd | <colbgcolor=#fff,#fff><colcolor=#11204B> 산하 구단 |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홋스퍼 FC 위민|토트넘 홋스퍼 아카데미 | |
선수단 | 스쿼드간략|리저브간략 | ||
스태프 | 보드진 및 스태프 | ||
역사 | 역사|유니폼|응원가|역대 주장 | ||
역대 시즌 | 2011-12 시즌 이전|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리그|2015-16 /리그|2016-17 /리그|2017-18 /리그|2018-19 /리그|2019-20 /리그|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2025-26 /리그 | ||
더비 매치 | |||
구단 시설 | <colbgcolor=#fff,#fff><colcolor=#11204B> 경기장 |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화이트 하트 레인구 홈구장 | |
훈련 시설 | 홋스퍼 웨이훈련 시설 | ||
주요 인물 | 역대 감독|역대 회장|임원진|올해의 선수 | ||
스폰서 | AIA메인 스폰서|나이키키트 스폰서 | ||
기타 | 다니엘 레비회장|토마스 프랑크감독|DESK|손케 듀오|레거시 넘버|토트넘 핫스퍼 마이너 갤러리 |
| |
<colbgcolor=#fff>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Tottenham Hotspur F.C. Women | |
<colcolor=#0b1c56> 정식 명칭 | Tottenham Hotspur Football Club Women |
애칭 | 스퍼스 (Spurs) 릴리화이츠 (The Lilywhites) |
창단 | 1985년([age(1985-09-08)]주년)[1] |
소속 리그 | Barclays 여자 슈퍼 리그 (Barclays Women's Super League) |
연고지 | 잉글랜드 런던 에지웨어 (Edgware) |
구단명 변천 | 브록스번 레이디스 FC (1985~1991) 토트넘 홋스퍼 레이디스 FC (1991~2019)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19~) |
홈 구장 | 브리즈번 로드 (Brisbane Road / 9,271명 수용) |
모기업 | 에닉 그룹 (ENIC International Ltd.) |
CEO | 비나이 벤카테샴 (Vinai Venkatesham) |
총괄 | 앤디 로저스 (Andy Rogers)[2] |
감독 | 마틴 호 (Martin Ho) |
주장 | 베서니 잉글랜드 (Bethany England) |
역대 한국인 선수 | 조소현 (2020~2023) |
공식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
1. 개요2. 역사
2.1. 역대 시즌2.2. 역대 성적2.3. 2025-26 시즌
3. 스쿼드4. 스태프5. 홈 구장6. 여담2.3.1. Barclays 여자 슈퍼 리그
2.3.1.1. 4R vs 레스터 시티 WFC (원정, -:- 미정)
2.3.2. Subway® 여자 리그컵2.3.2.1. vs 아스톤 빌라 WFC (홈, -:- 미정)
1. 개요
토트넘 홋스퍼 FC의 여자 축구 구단으로 잉글랜드 에지웨어에 연고를 두고 있다.2. 역사
창단 당시 이름은 브록스번 레이디스 FC (Broxbourne Ladies FC)였으나, 1991년 토트넘 홋스퍼 레이디스 FC (Tottenham Hotspur Ladies FC)로 이름을 바꿨고, 2019년에 1부리그 승격과 함께 현재의 이름으로 바꿨다.2.1. 역대 시즌
- 2019-20 시즌
창단 34년 만에 잉글랜드 여자 축구 최상위 리그[3]로 승격한 첫 시즌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의 영향으로 15라운드 이후 경기가 중단되었고 그대로 2020년 5월 25일에 리그가 종료되고 말았다. 최종 순위는 그때까지 얻은 승점을 경기당 승점으로 환산하여 결정했는데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은 한 경기 덜 치른 에버튼 FC 위민의 1.64점 보다 낮은 1.33점을 얻어 7위로 1부 잔류에 성공했다.[4] 여담으로 아마추어부터 세미프로 단계까지 클럽을 이끌었던 준 클라크와 발레리 위버가 회장직을 사임한 뒤 이사회 자문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5]
- 2020-21 시즌
2009년부터 클럽에 헌신했던 주장 제나 스킬라치가 은퇴하고, 10여 년간 팀을 공동으로 감독했던 카렌 힐스 / 후안 아모로스 또한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는 등 과거의 유산들이 해체되며 흔들리기 시작했지만, 미국 여자축구계의 간판스타 알렉스 모건을 임대해 선수단의 사기를 북돋는 한편,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에서 좋은 기량을 보여주고 있던 조소현을 데려오면서 전력 누수를 최소화했다. 더불어 시즌 도중 소방수로 투입된 리한 스키너 감독이 흔들리던 팀을 잘 수습하면서 다시 한 번 리그 8위로 1부 잔류에 성공했다.[6] 요컨대, 풀뿌리 (Grassroots) 아마추어 축구에 기반을 둔 세미프로 클럽에서 진지한 프로축구 클럽으로 이행하는 와중에 성장통이 찾아왔던 시기였다.
- 2021-22 시즌
지난 시즌 중도 부임한 리한 스키너 감독이 프리시즌 동안 팀의 내실을 다져 1부 승격 이후 최고 성적인 리그 5위[7]와 리그컵 4강 진출을 달성했던 시즌[8]이면서, 클럽의 과거와 현재를 조명한 자체 제작 다큐멘터리 브록스번 앤 비욘드 (Broxbourne and Beyond) 1편의 배경이 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즌에는 25-26 시즌 현재까지 팀에서 주축으로 활약하고 있는 에벨리나 수마넨과 몰리 바트립이 영입되었으며, 아스날 WFC와의 여자팀 북런던 더비를 처음으로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에서 진행하는 등 사실상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의 전성기였다.
- 2022-23 시즌
1부 승격 이후로도 줄곧 상승세를 이어가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이 WSL 빅4[9]의 천장에 가로막혀 내리막을 걷기 시작한 시즌. 해당 팀들에게 종종 무승부를 거뒀던 기존 시즌과 달리 이 시즌에는 모조리 패하여 승점을 헌납했으며,[10] 리그 성적 역시 1부 승격 이후 가장 저조한 9위를 기록하면서 2년 넘게 팀을 꾸려 왔던 리한 스키너가 중도 경질되고 수석코치 비키 젭슨이 감독을 대행하여 잔여 시즌을 마무리 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1부 리그 승격 후 첫 경기에서 패배[11]를 안겨줬던 첼시 FC 위민의 베서니 잉글랜드와 드류 스펜스가 이 시즌부터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의 선수가 되었다.
- 2023-24 시즌
스웨덴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로버트 빌라햄을 신임 감독으로 선임한 뒤 아스날 WFC와의 북런던 더비에서 1:0 신승을 거두며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을 매진시켰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에서 데려온 스트라이커 마사 토마스가 시즌 두 자리 골을 기록하는 등 돌풍을 일으키며 팀 창단 이후 처음으로 여자 FA컵 결승에까지 진출했으나, 결승전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를 만나 0:4로 대패 하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12] 리그 최종 순위는 역대 팀 성적 중 두 번째로 높은 6위.
- 2024-25 시즌
지난 시즌 완전 영입을 노리고 데려왔던 임대생 그레이스 클린턴이 원소속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로 복귀하고, 본래 주전 우측 윙포워드였던 셀린 비제 마저 자유계약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로 이적하자, 토트넘은 레알 마드리드 페메니노 출신의 헤일리 라소와 마이테 오로즈를 영입하는 등 주축과 유망주 선수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공격적인 이적 시장 행보를 보였으나, 결국 영입 선수들의 부진과 부상, 국내 컵 경기 탈락 후 선수단 의욕 저하, 결정적으로 로버트 빌라햄 2년차에 파훼된 전술 등의 원인이 겹치고 겹친 끝에 후반기 11경기 연속 무승 및 12개 팀 중 11위라는 몹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간신히 1부에 잔류했다. 이로 인해 지난 2시즌간 팀을 이끌었던 로버트 빌라햄 감독은 6월 중 경질되었다.
2.2. 역대 성적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역대 시즌 성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디비전 | 리그 | 순위 | 리그컵 | FA컵 | 유럽대항전 |
2010-11 | 4부 | 남부 동부 조합 리그 | 1 | - | 2라운드[13] | - | |
2011-12 | 3부 | 여자 프리미어 리그 남부 지역 | 6 | - | 3라운드[14] | - | |
2012-13 | 8 | - | 3라운드 | - | |||
2013-14 | 8 | - | 2라운드 | - | |||
2014-15 | 5 | - | 5라운드[15] | - | |||
2015-16 | 6 | - | 4라운드[16] | - | |||
2016-17 | 1 | - | 5라운드 | - | |||
2017-18 | 2부 | 여자 슈퍼 리그2 | 7 | 조별 리그 | 4라운드 | - | |
2018-19 | 여자 챔피언쉽[17] | 2 | 조별 리그 | 5라운드 | - | ||
2019-20 | 1부 | 여자 슈퍼 리그 | 7 | 조별 리그 | 8강 | - | |
2020-21 | 8 | 조별 리그 | 8강 | - | |||
2021-22 | 5 | 4강 | 4라운드 | - | |||
2022-23 | 9 | 8강 | 5라운드 | - | |||
2023-24 | 6 | 8강 | 준우승[18] | - | |||
2024-25 | 11 | 8강 | 4라운드 | - |
2.3. 2025-26 시즌
<colcolor=#0b1c56> Subway® 여자 리그컵 E조 1경기 D-Day 매치데이 포스터 |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9월 | |||||||||||
1 | 2 | 3 | 4 | 5 | 6 | |||||||
WSL 1R 홈: 승 | 8 | 9 | 10 | 11 | 12 | 13 | ||||||
WSL 2R 원정: 승 | 15 | 16 | 17 | 18 | WSL 3R 홈: 패 | 20 | ||||||
21 | 22 | 23 | 리그컵 1경기 홈 | 25 | 26 | 27 | ||||||
WSL 4R 원정 | 29 | 3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0월 | |||||||||||
1 | 2 | 3 | 4 | |||||||||
WSL 5R 홈 | 6 | 7 | 8 | 9 | 10 | 11 | ||||||
WSL 6R 원정 | 13 | 14 | 15 | 16 | 17 | 18 | ||||||
리그컵 2경기 홈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 |
====# 프리시즌 #====
* 주요 변동사항
[감독 선임]
6월 8일, 구단은 성명을 통해 23-24시즌부터 팀을 이끌었던 로버트 빌라햄이 팀을 떠난다고 발표했다.
[선수 영입]
[선수 방출]
6월 27일, 구단은 로셀라 아야네가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난다는 소식을 알렸다.
[계약 연장]
4월 15일, 엘러노어 힙스와 2028년까지 재계약 소식이 발표됐다.
5월 19일, 레나 거닝-윌리엄스와 2028년까지 재계약 소식이 발표됐다.
5월 29일, 마사 토마스와 2028년까지 재계약 소식이 발표됐다.
6월 23일, 몰리 바트립과 2028년까지 재계약 소식이 발표됐다.
7월 24일, 루아나 뷜러의 1년 연장 옵션 행사 사실이 전해졌다.
[기타]
5월 28일, 여자 유로 2025 잉글랜드 대표팀에 차출되었던 엘라 모리스가 대표팀 훈련 중 ACL 부상을 입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6월 30일, 여자 유로 2025 스위스 대표팀에 차출되었던 루아나 뷜러가 무릎 부상 재발로 대표팀에서 하차했다는 소식이 발표됐다.
8월 11일, 구단은 스페인 남부로 전지훈련을 떠난다는 소식과 리가F의 세비야 FC 페메니노와의 친선경기 일정(8월 15일)을 전했다.
8월 14일, 지난 시즌 31번이었던 레나 거닝-윌리엄스의 등번호가 18번으로 바뀌었다는 소식이 발표됐다.
8월 19일, 구단은 WSL2의 사우스햄튼 FC 위민과의 프리시즌 친선경기 일정(8월 31일)을 발표했다.
8월 20일, 구단은 WSL의 아스날 WFC와의 프리시즌 친선경기 일정(8월 23일)을 발표했다.
2025 프리시즌 친선경기 #1 2025년 8월 15일 금요일 20:00(UTC+2) / 8월 16일 토요일 03:00(KST) | ||
장소: 에스타디오 헤수스 나바스 (스페인, 세비야) | ||
주심: 미상 / 관중: 미상 / 중계방송: SPURSPLAY | ||
| 0 : 0 | |
세비야 FC 페메니노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2-3-1 | |||||||
<rowcolor=#000> ST 17 마사 토마스 9 베서니 잉글랜드 C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 LW 13 마틸다 빈베리 | CAM 24 드류 스펜스 | RW 7 제시카 나즈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 }}} | |||
<rowcolor=#000> LCM 25 에벨리나 수마넨 | RCM 20 올가 아흐티넨 | ||||||
<rowcolor=#000> LB 6 아만다 닐덴 | LCB 32 코가 토코 | RCB 5 몰리 바트립 C 15 클레어 헌트 | RB 2 찰리 그랜트 30 아라야 데니스 | ||||
<rowcolor=#000> GK 1 리즈 코프 | |||||||
SUB | <rowcolor=#000> 27 엘러노어 힙스, 56 소피 잭슨, 12 조세핀 뤼브링크, 15 클레어 헌트, 30 아라야 데니스, 44 자라 베일리, 14 안나 치키,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37 자나이 피에르, 9 베서니 잉글랜드 |
=====# vs 아스날 WFC (원정, 3:4 승) #=====
2025 프리시즌 친선경기 #2 2025년 8월 23일 토요일 15:00(BST) / 23:00(KST) | ||
장소: 메도우 파크 (영국, 보어럼우드) | ||
주심: 매튜 노튼 / 관중: 미상 / 중계방송: 없음 | ||
| 3 : 4 | |
아스날 WFC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6' 빅토리아 펠로바 31' 찰리 그랜트 (OG) 74' 케이틀린 포드 | | 14' 베서니 잉글랜드 59' 베서니 잉글랜드 (PK) 63' 마틸다 빈베리 77' 에벨리나 수마넨 (FK)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2-3-1 | |||||||
<rowcolor=#000,#fff> ST 9 베서니 잉글랜드 C 14 안나 치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fff> LW 13 마틸다 빈베리 16 킷 그레이엄 | CAM 11 올리비아 홀트 17 마사 토마스 | RW 7 제시카 나즈 | }}} | |||
<rowcolor=#000,#fff> LCM 24 드류 스펜스 C | RCM 25 에벨리나 수마넨 | ||||||
<rowcolor=#000,#fff> LB 2 찰리 그랜트 30 아라야 데니스 | LCB 15 클레어 헌트 | RCB 32 코가 토코 | RB 12 조세핀 뤼브링크 | ||||
<rowcolor=#000,#fff> GK 1 리즈 코프 | |||||||
SUB | <rowcolor=#000,#fff> 27 엘러노어 힙스, 56 소피 잭슨, 30 아라야 데니스, 10 마이테 오로즈, 47 루비 메이스, 14 안나 치키, 16 킷 그레이엄, 37 자나이 피에르, 43 미아 엔다콧, 17 마사 토마스 |
=====# vs 사우스햄튼 FC 위민 (원정, 1:3 승) #=====
2025 프리시즌 친선경기 #3 2025년 8월 31일 일요일 14:00(BST) / 22:00(KST) | ||
장소: 스노우 스타디움 (영국, 토튼) | ||
주심: 조앤 호우드 / 관중: 미상 / 중계방송: SPURSPLAY, 공식 유튜브 채널 | ||
| 1 : 3 | |
사우스햄튼 FC 위민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54' 애틀란타 프리머스 | | 30' 마사 토마스 62' 제시카 나즈 73' 올리비아 홀트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2-3-1 | |||||||
<rowcolor=#000,#fff> ST 17 마사 토마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fff> LW 16 킷 그레이엄 11 올리비아 홀트 | CAM 9 베서니 잉글랜드 C | RW 7 제시카 나즈 | }}} | |||
<rowcolor=#000,#fff> LCM 10 마이테 오로즈 25 에벨리나 수마넨 | RCM 24 드류 스펜스 | ||||||
<rowcolor=#000,#fff> LB 30 아라야 데니스 6 아만다 닐덴 | LCB 15 클레어 헌트 2 찰리 그랜트 14 안나 치키 | RCB 32 코가 토코 | RB 12 조세핀 뤼브링크 | ||||
<rowcolor=#000,#fff> GK 1 리즈 코프 | |||||||
SUB | <rowcolor=#000> 27 엘러노어 힙스, 56 소피 잭슨, 2 찰리 그랜트, 6 아만다 닐덴, 14 안나 치키, 25 에벨리나 수마넨, 11 올리비아 홀트 |
====# 선수 이적 #====
* 여름 (2025년 7월 1일 ~ 9월 4일, 23:00)
2025-26 시즌 영입 / 방출 선수 (여름) | |||||||||
<rowcolor=#FFF> 영입 | 방출 | ||||||||
<rowcolor=#FFF> 이전 소속 | 이름 | 포지션 | 국적 | 비고 | 이후 소속 | 이름 | 포지션 | 국적 | 비고 |
| 아라야 데니스 (Araya Dennis) | DF | | 임대 복귀 | | 로셀라 아야네 (Rosella Ayane) | FW | | FA |
| 코가 토코 (Koga Tōko) | DF | | 비공개 이적료 | | 베키 스펜서 (Becky Spencer) | GK | | 비공개 이적료 |
| 카팅카 탄베르그 (Cathinka Tandberg) | FW | | | 헤일리 라소 (Hayley Raso) | FW | | ||
| 안나 치키 (Anna Csiki) | MF | | 임대 | |||||
| 자라 베일리 (Zara Bailey) | DF | | U-19 스쿼드 |
2.3.1. Barclays 여자 슈퍼 리그
2025-26 여자 슈퍼 리그 |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Tottenham Hotspur F.C. Women | |||||||||
<rowcolor=#ffffff>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변동 | ||
<rowcolor=#180633> 5 | 3 | 2 | 0 | 1 | 4 | 5 | -1 | 6 | | ||
<rowcolor=#ffffff> 다음 시즌 | 미정[19] |
<colbgcolor=#180633><colcolor=#fff> 전반기 | |||||||||||||||||||
R | 1R | 2R | 3R | 4R | 5R | 6R | 7R | 8R | 9R | 10R | 11R | ||||||||
상대팀 | | | | | | | | | | | | ||||||||
홈 / 원정 | H | A | H | A | H | A | H | A | H | H | A | ||||||||
득 점 | 1 | 2 | 1 | ||||||||||||||||
실 점 | 0 | 0 | 5 | ||||||||||||||||
승 / 패 | 2연승 | 패 | |||||||||||||||||
후반기 | |||||||||||||||||||
R | 12R | 13R | 14R | 15R | 16R | 17R | 18R | 19R | 20R | 21R | 22R | ||||||||
상대팀 | | | | | | | | | | | | ||||||||
홈 / 원정 | H | A | A | H | A | H | A | A | H | H | A | ||||||||
득 점 | |||||||||||||||||||
실 점 | |||||||||||||||||||
승 / 패 |
=====# 1R vs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 (홈, 1:0 승) #=====
2025-26 여자 슈퍼 리그 1라운드 2026년 9월 7일 일요일 12:00 (BST) / 20:00 (KST) | ||
장소: 브리즈번 로드 (영국, 레이턴) | ||
주심: 피비 크로스 | ||
관중: 1,735명 | ||
| 1 : 0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 | |
86' 베서니 잉글랜드 (PK)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베서니 잉글랜드[20]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3-3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 LW 7 제시카 나즈 6.8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6.0 | ST 9 베서니 잉글랜드 C 7.9 2 찰리 그랜트 N/A | RW 30 아라야 데니스 5.9 19 카팅카 탄베르그 6.1 | |||
<rowcolor=#000> LCM 24 드류 스펜스 6.9 20 올가 아흐티넨 6.0 | CDM 25 에벨리나 수마넨 C 7.4 | RCM 11 올리비아 홀트 6.5 16 킷 그레이엄 6.7 | }}} | |||
<rowcolor=#000> LB 6 아만다 닐덴 8.0 | LCB 15 클레어 헌트 7.9 | RCB 32 코가 토코 7.8 | RB 12 조세핀 뤼브링크 6.9 | |||
<rowcolor=#000> GK 1 리즈 코프 7.8 | ||||||
SUB | <rowcolor=#000> 27 엘러노어 힙스, 56 소피 잭슨, 2 찰리 그랜트, 10 마이테 오로즈, 20 올가 아흐티넨, 16 킷 그레이엄,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19 카팅카 탄베르그 |
* 경기 평가
지난 시즌부터 이어졌던 컵 경기 포함 11경기 연속 무승(리그 한정 10경기 연속 무승)의 부진을 끊어내는 승리였다.
전체적인 인상은 2024-25 시즌 남자팀이 맨유와 치렀던 유로파 리그 결승전과 유사한 경기였으며, 공격 작업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와의 중원 싸움을 피하고 사이드 혹은 롱볼로 공을 던져놓은 뒤 전방 압박을 통해 상대팀 수비지역에서 문제를 일으키고자 시도했다.
수비수를 제외한 토트넘 선수들의 패스 성공률은 시종일관 80% 이상을 넘지 못했으며(아이러니하게도 점유율은 57대43으로 토트넘의 우위), 후반 66분 이후 발밑이 준수한 미드필더를 투입하여 활력이 떨어진 웨스트햄의 중원과 파이널 서드를 공략해 보려 했으나 90분 통틀어 유효슈팅 단 1개에 그친 점은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경기력이나 경기 내용과는 별개로 새 시즌을 맞이한 클럽의 분위기 반전을 위해 홈 개막전(이자 동시에 신임 감독의 공식 경기 데뷔전)에서 무조건 승점 3점을 얻고자 하는 강한 의도가 내비치는 경기였고, 이를 위해 막판까지 상대를 투지 있게 밀어붙인 끝에 결국 승리를 따내며 산뜻한 시즌 출발을 알릴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경기장 밖에서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비나이 벤카테샴 CEO가 본 경기를 직관 했다고 한다.[21][2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평점}}} 출처: FotMob전체적인 인상은 2024-25 시즌 남자팀이 맨유와 치렀던 유로파 리그 결승전과 유사한 경기였으며, 공격 작업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와의 중원 싸움을 피하고 사이드 혹은 롱볼로 공을 던져놓은 뒤 전방 압박을 통해 상대팀 수비지역에서 문제를 일으키고자 시도했다.
수비수를 제외한 토트넘 선수들의 패스 성공률은 시종일관 80% 이상을 넘지 못했으며(아이러니하게도 점유율은 57대43으로 토트넘의 우위), 후반 66분 이후 발밑이 준수한 미드필더를 투입하여 활력이 떨어진 웨스트햄의 중원과 파이널 서드를 공략해 보려 했으나 90분 통틀어 유효슈팅 단 1개에 그친 점은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경기력이나 경기 내용과는 별개로 새 시즌을 맞이한 클럽의 분위기 반전을 위해 홈 개막전(이자 동시에 신임 감독의 공식 경기 데뷔전)에서 무조건 승점 3점을 얻고자 하는 강한 의도가 내비치는 경기였고, 이를 위해 막판까지 상대를 투지 있게 밀어붙인 끝에 결국 승리를 따내며 산뜻한 시즌 출발을 알릴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경기장 밖에서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비나이 벤카테샴 CEO가 본 경기를 직관 했다고 한다.[21][2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 2R vs 에버튼 FC 위민 (원정, 0:2 승) #=====
2025-26 여자 슈퍼 리그 2라운드 2026년 9월 14일 일요일 14:30 (BST) / 22:30 (KST) | ||
장소: 구디슨 파크 (영국, 리버풀) | ||
주심: 커스티 다우[23] | ||
관중: 6,473명 | ||
| 0 : 2 | |
에버튼 FC 위민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 | | 27' 올가 아흐티넨 (A. 카팅카 탄베르그) 49' 카팅카 탄베르그 (A. 베서니 잉글랜드)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카팅카 탄베르그[24]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3-3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 LW 19 카팅카 탄베르그 9.0 16 킷 그레이엄 N/A | ST 9 베서니 잉글랜드 C 7.5 | RW 7 제시카 나즈 7.1 | |||
<rowcolor=#000> LCM 20 올가 아흐티넨 7.9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6.6 | CDM 25 에벨리나 수마넨 7.6 | RCM 24 드류 스펜스 6.8 | }}} | |||
<rowcolor=#000> LB 6 아만다 닐덴 8.1 | LCB 15 클레어 헌트 7.1 | RCB 32 코가 토코 6.8 | RB 12 조세핀 뤼브링크 7.0 2 찰리 그랜트 6.0 | |||
<rowcolor=#000> GK 1 리즈 코프 7.2 | ||||||
SUB | <rowcolor=#000> 27 엘러노어 힙스, 56 소피 잭슨, 2 찰리 그랜트, 10 마이테 오로즈, 16 킷 그레이엄, 11 올리비아 홀트,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30 아라야 데니스 |
* 경기 평가
높은 지역 압박으로 상대에게서 볼을 탈취한 뒤, 공격수들간의 빠르고 간결한 연계로 득점을 노렸던 경기였다.
지난 경기와 다른 점은, 비교적 발밑이 준수한 올가 아흐티넨을 중원 미드필더 겸 하프 스페이스 윙어로 기용하여 전방 압박 인원의 숫자를 늘려주는 동시에 우리팀 공격수를 향해 적절한 키 패스와 전환 패스를 시도한 부분이었다.[25]
수비 면에서는, 에버튼 FC 위민의 선수비 후역습을 대비해 중원 볼 줄기 역할을 담당하는 루비 메이스와 카챠 스노이스 2명의 상대 미드필더를 철저히 틀어 막았으며, 기회를 포착하고 사이드에서 쇄도하던 상대 공격수 오르넬라 비뇰라를 우리 수비수 2명이 에워싸는 등 상대 전술에 대한 대비책도 잘 준비해 온 모습이었다.
이번 경기를 통해 신임 감독 마틴 호가 원하는 팀의 청사진이 어느 정도 드러났는데, 같은 역삼각형 4-3-3(포메이션)일지라도 중원에서 지속적으로 볼 점유를 유지하며 잘게잘게 상대 지역을 파고들거나 세밀하게 기회를 만들어가는 방식(전술)이 아닌, 보다 촘촘한 압박 및 세컨볼 경합(전술)을 위해 전방 지역 인원의 숫자를 늘려주는 목적으로 역삼각형 4-3-3을 채용하고 있으며, 공격수의 활동량과 압박 능력 외에도 2선 ~ 2.5선 미드필더의 마무리 능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동일하게 높은 지역 압박을 주 전술로 채용한 팀들의 경우 리그 후반기 부상 다발이라는 약점을 공유하고 있고, 또 한편으로 조직적 / 개인적 탈압박에 숙달된 강팀을 만났을 때 크게 고전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는데, 때문에 맨체스터 시티 WFC를 불러들이는 다음 라운드 홈 경기를 어떻게 치뤄내느냐에 따라 이번 시즌 향방이 조금 더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평점}}} 출처: FotMob지난 경기와 다른 점은, 비교적 발밑이 준수한 올가 아흐티넨을 중원 미드필더 겸 하프 스페이스 윙어로 기용하여 전방 압박 인원의 숫자를 늘려주는 동시에 우리팀 공격수를 향해 적절한 키 패스와 전환 패스를 시도한 부분이었다.[25]
수비 면에서는, 에버튼 FC 위민의 선수비 후역습을 대비해 중원 볼 줄기 역할을 담당하는 루비 메이스와 카챠 스노이스 2명의 상대 미드필더를 철저히 틀어 막았으며, 기회를 포착하고 사이드에서 쇄도하던 상대 공격수 오르넬라 비뇰라를 우리 수비수 2명이 에워싸는 등 상대 전술에 대한 대비책도 잘 준비해 온 모습이었다.
이번 경기를 통해 신임 감독 마틴 호가 원하는 팀의 청사진이 어느 정도 드러났는데, 같은 역삼각형 4-3-3(포메이션)일지라도 중원에서 지속적으로 볼 점유를 유지하며 잘게잘게 상대 지역을 파고들거나 세밀하게 기회를 만들어가는 방식(전술)이 아닌, 보다 촘촘한 압박 및 세컨볼 경합(전술)을 위해 전방 지역 인원의 숫자를 늘려주는 목적으로 역삼각형 4-3-3을 채용하고 있으며, 공격수의 활동량과 압박 능력 외에도 2선 ~ 2.5선 미드필더의 마무리 능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동일하게 높은 지역 압박을 주 전술로 채용한 팀들의 경우 리그 후반기 부상 다발이라는 약점을 공유하고 있고, 또 한편으로 조직적 / 개인적 탈압박에 숙달된 강팀을 만났을 때 크게 고전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는데, 때문에 맨체스터 시티 WFC를 불러들이는 다음 라운드 홈 경기를 어떻게 치뤄내느냐에 따라 이번 시즌 향방이 조금 더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 3R vs 맨체스터 시티 WFC (홈, 1:5 패) #=====
2025-26 여자 슈퍼 리그 3라운드 2026년 9월 19일 금요일 19:30 (BST) / 9월 20일 토요일 03:30 (KST) | ||
장소: 브리즈번 로드 (영국, 레이턴) | ||
주심: 스테이시 풀릭스 | ||
관중: 1,631명 | ||
| 1 : 5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맨체스터 시티 WFC | |
87' 올리비아 홀트 | | 23' 후지노 아오바 (A. 카디자 쇼) 39' 비비아너 미데마 (A. 알렉스 그린우드) 43' 커스틴 카스파리 80' 그레이스 클린턴 (A. 케롤린 니콜리) 90+5' 로라 쿰스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케롤린 니콜리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라인업 4-2-3-1 | |||||||
<rowcolor=#000,#fff> ST 19 카팅카 탄베르그 6.4 17 마사 토마스 C 6.1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000> LW 7 제시카 나즈 5.3 | CAM 9 베서니 잉글랜드 C 6.3 11 올리비아 홀트 7.5 | RW 20 올가 아흐티넨 6.0 13 마틸다 빈베리 6.1 | }}} | |||
<rowcolor=#000,#fff> LCM 24 드류 스펜스 5.5 10 마이테 오로즈 6.6 | RCM 25 에벨리나 수마넨 4.9 | ||||||
<rowcolor=#000> LB 6 아만다 닐덴 4.7 | LCB 15 클레어 헌트 4.2 | RCB 32 코가 토코 5.0 | RB 2 찰리 그랜트 5.5 12 조세핀 뤼브링크 6.0 | ||||
<rowcolor=#000> GK 1 리즈 코프 6.1 | |||||||
SUB | <rowcolor=#000> 27 엘러노어 힙스, 12 조세핀 뤼브링크, 30 아라야 데니스, 13 마틸다 빈베리, 10 마이테 오로즈, 11 올리비아 홀트, 16 킷 그레이엄, 18 레나 거닝-윌리엄스, 17 마사 토마스 |
* 경기 평가
압박 전술로 공을 빈번하게 되찾아와도 그것을 적절히 소유하지 못하고 찬스를 만들지 못하면 아무 소용없다는 것을 보여준 경기였다.
전반 초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은 이전 경기들과 마찬가지로 상대의 높은 지역에서 강한 압박을 가했고 이러한 시도가 제법 먹혀들어 소유권을 빈번하게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관건은 볼 소유 빈도가 아니라 볼 소유 시간이었는데,[26] 강한 압박을 통해 상대에게서 볼을 빼앗아왔지만 공 간수에 실패하여 뭔가를 하려다가 상대에게 내주는 일이 반복되었고, 공수를 오가는 트랜지션까지는 아니더라도 한정된 공간에서 계속 공을 뺏고 뺏기고 뺏고 뺏기는 볼 다툼이 전반 내내 벌어졌다.
그에 반해 소유권 관리에 능한 맨체스터 시티 WFC는 중원과 후방지역 볼 다툼을 하는 와중에도 본인들이 의도한 순간에는 최대한 공을 간수하면서 기회 창출 횟수와 득점을 점진적으로 쌓아나갔고,[27] 토트넘이 2실점 한 뒤로 압박 강도와 기세가 꺾이자 그때부터 볼을 마음 놓고 점유하며 박스 근처에서 위험한 찬스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로 토트넘의 수비수와 키퍼 입장에서는 바로 조금 전에 실점 위기를 막아냈는데 중원에서 금세 또 공을 빼앗겨 숨 돌릴 틈 없이 다시 위기가 찾아오는 상황의 연속이었고, 결국 집중력이 저하된 채로 후반전 막판 교체 선수들이 투입되기 전까지 쉴새없이 두들겨 맞는 양상으로 흘렀다.[28]
물론 공을 원하는만큼 소유하지 못해도 지난 리그 경기에서처럼 빠르고 간결한 연계 마무리를 했다면 충분히 위협을 가하며 상대를 위축되게 만들 수 있었겠지만, 맨체스터 시티 WFC는 지난 상대팀들처럼 비교적 헐거운 구조를 가진 팀이 아니었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공격 작업이 필요했으나 아쉽게도 이번 경기 토트넘의 선발 11명 중에서는 그것을 수행할 수 있는 선수가 없었다. 에버튼 FC 위민을 상대로 준수한 활약을 보였던 올가 아흐티넨이 이번에도 좌우 위치만 바꿔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려 했지만 맨체스터 시티 WFC의 수비 구조와 압박 템포를 이겨내며 기회를 창출하기에는 한참 역부족이었다.[29]
그나마 긍정적인 부분을 찾는다면 양 팀 선수들의 퀄리티 차이가 생각 보다 크지 않았다는 것이고, 부분적이기는 했지만 압박 전술이 먹혀들어 잠시나마 상대를 동요시키는 데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는 전술의 방향성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상대에게 위협을 가하는 디테일에서 차이가 발생했다는 뜻이고,[30] 이 부분이 적절히 조율 된다면 재차 만났을 때 충분히 승점 1점 이상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일방적이었던 점수차는 두 팀 간의 '압도적인 실력 차이'라기 보다 치열한 샅바 싸움 중 벌어진 작은 마진이 끝내 양 팀의 균형을 일순간에 무너뜨리면서 발생한 결과였다.
개막 후 2연승을 거두며 산뜻하게 출발했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은 리그 세번째 경기에서 대참사를 겪으며 졸지에 찬물을 뒤집어 쓴 꼴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왕 이렇게 찬물을 뒤집어 쓴 김에 정신을 제대로 차린다면 부끄러운 이번 패배가 향후 더 좋은 경기력을 위한 예방 주사가 될 수도 있다.
이후 공식 SNS를 통해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이날 경기 하프타임에 클럽 창단 40주년 기념행사가 있었다고 한다.[3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평점}}} 출처: FotMob전반 초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은 이전 경기들과 마찬가지로 상대의 높은 지역에서 강한 압박을 가했고 이러한 시도가 제법 먹혀들어 소유권을 빈번하게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관건은 볼 소유 빈도가 아니라 볼 소유 시간이었는데,[26] 강한 압박을 통해 상대에게서 볼을 빼앗아왔지만 공 간수에 실패하여 뭔가를 하려다가 상대에게 내주는 일이 반복되었고, 공수를 오가는 트랜지션까지는 아니더라도 한정된 공간에서 계속 공을 뺏고 뺏기고 뺏고 뺏기는 볼 다툼이 전반 내내 벌어졌다.
그에 반해 소유권 관리에 능한 맨체스터 시티 WFC는 중원과 후방지역 볼 다툼을 하는 와중에도 본인들이 의도한 순간에는 최대한 공을 간수하면서 기회 창출 횟수와 득점을 점진적으로 쌓아나갔고,[27] 토트넘이 2실점 한 뒤로 압박 강도와 기세가 꺾이자 그때부터 볼을 마음 놓고 점유하며 박스 근처에서 위험한 찬스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로 토트넘의 수비수와 키퍼 입장에서는 바로 조금 전에 실점 위기를 막아냈는데 중원에서 금세 또 공을 빼앗겨 숨 돌릴 틈 없이 다시 위기가 찾아오는 상황의 연속이었고, 결국 집중력이 저하된 채로 후반전 막판 교체 선수들이 투입되기 전까지 쉴새없이 두들겨 맞는 양상으로 흘렀다.[28]
물론 공을 원하는만큼 소유하지 못해도 지난 리그 경기에서처럼 빠르고 간결한 연계 마무리를 했다면 충분히 위협을 가하며 상대를 위축되게 만들 수 있었겠지만, 맨체스터 시티 WFC는 지난 상대팀들처럼 비교적 헐거운 구조를 가진 팀이 아니었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공격 작업이 필요했으나 아쉽게도 이번 경기 토트넘의 선발 11명 중에서는 그것을 수행할 수 있는 선수가 없었다. 에버튼 FC 위민을 상대로 준수한 활약을 보였던 올가 아흐티넨이 이번에도 좌우 위치만 바꿔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려 했지만 맨체스터 시티 WFC의 수비 구조와 압박 템포를 이겨내며 기회를 창출하기에는 한참 역부족이었다.[29]
그나마 긍정적인 부분을 찾는다면 양 팀 선수들의 퀄리티 차이가 생각 보다 크지 않았다는 것이고, 부분적이기는 했지만 압박 전술이 먹혀들어 잠시나마 상대를 동요시키는 데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는 전술의 방향성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상대에게 위협을 가하는 디테일에서 차이가 발생했다는 뜻이고,[30] 이 부분이 적절히 조율 된다면 재차 만났을 때 충분히 승점 1점 이상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일방적이었던 점수차는 두 팀 간의 '압도적인 실력 차이'라기 보다 치열한 샅바 싸움 중 벌어진 작은 마진이 끝내 양 팀의 균형을 일순간에 무너뜨리면서 발생한 결과였다.
개막 후 2연승을 거두며 산뜻하게 출발했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은 리그 세번째 경기에서 대참사를 겪으며 졸지에 찬물을 뒤집어 쓴 꼴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왕 이렇게 찬물을 뒤집어 쓴 김에 정신을 제대로 차린다면 부끄러운 이번 패배가 향후 더 좋은 경기력을 위한 예방 주사가 될 수도 있다.
이후 공식 SNS를 통해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이날 경기 하프타임에 클럽 창단 40주년 기념행사가 있었다고 한다.[3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c674; font-size: 1em"dark-style="background: #fff"
2.3.1.1. 4R vs 레스터 시티 WFC (원정, -:- 미정)
2025-26 여자 슈퍼 리그 4라운드 2026년 9월 28일 일요일 12:00 (BST) / 20:00 (KST) | ||
장소: 킹 파워 스타디움 (영국, 레스터) | ||
주심: 해리슨 블레어 | ||
관중: N/A명 | ||
| - : - | |
레스터 시티 WFC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 5R vs 브라이튼 & 호브 알비온 WFC (홈, -:- 미정) #=====
2025-26 여자 슈퍼 리그 5라운드 2026년 10월 5일 일요일 11:55 (BST) / 19:55 (KST) | ||
장소: 브리즈번 로드 (영국, 레이턴) | ||
주심: 미정 | ||
관중: N/A명 | ||
| - : -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브라이튼 & 호브 알비온 WFC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 6R vs 첼시 FC 위민 (원정, -:- 미정) #=====
2025-26 여자 슈퍼 리그 6라운드 2026년 10월 12일 일요일 12:00 (BST) / 20:00 (KST) | ||
장소: 킹스메도우 (영국, 노비턴) | ||
주심: 미정 | ||
관중: N/A명 | ||
| - : - | |
첼시 FC 위민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2.3.2. Subway® 여자 리그컵
2025-26 여자 리그컵 E조 | ||||||||||
<rowcolor=#fff>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위 | | 아스톤 빌라 WFC | 0 | 0 | 0 | 0 | 0 | 0 | 0 | 0 |
2위 | | 버밍엄 시티 WFC | 0 | 0 | 0 | 0 | 0 | 0 | 0 | 0 |
3위 | | 브리스톨 시티 WFC | 0 | 0 | 0 | 0 | 0 | 0 | 0 | 0 |
4위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0 | 0 | 0 | 0 | 0 | 0 | 0 | 0 |
2.3.2.1. vs 아스톤 빌라 WFC (홈, -:- 미정)
2025-26 여자 리그컵 E조 1경기 2026년 9월 24일 수요일 19:00 (BST) / 9월 25일 목요일 03:00 (KST) | ||
장소: 브리즈번 로드 (영국, 레이턴) | ||
주심: 피비 크로스 | ||
관중: N/A명 | ||
| - : -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아스톤 빌라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 vs 버밍엄 시티 WFC (홈, -:- 미정) #=====
2025-26 여자 리그컵 E조 2경기 2026년 10월 19일 일요일 14:00 (BST) / 22:00 (KST) | ||
장소: 브리즈번 로드 (영국, 레이턴) | ||
주심: 미정 | ||
관중: N/A명 | ||
| - : - |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버밍엄 시티 WFC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 vs 브리스톨 시티 WFC (원정, -:- 미정) #=====
====# Adobe 여자 FA컵 #====
3. 스쿼드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5-26 시즌 스쿼드[주의] | |||||
1 코프 · 2 그랜트 · 3 모리스 7 나즈 · [[베서니 잉글랜드|9 잉글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10 오로즈 · 11 홀트 · 12 뤼브링크 · 13 빈베리 · 15 헌트 16 그레이엄 · 17 토마스 · 18 거닝-윌리엄스 · 19 탄베르그 · [[올가 아흐티넨|20 아흐티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21 뷜러 | |||||
감독 | |||||
※본 내용은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0b1c56>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5-26 시즌 스쿼드 |
| | | | |
1 | 2 | 3 | 4 | 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리즈 코프 Lize KOP 1998.03.17. ([age(1998-03-17)]) 2025~2028 | 찰리 그랜트 Charlotte GRANT 2001.09.20. ([age(2001-09-20)]) 2024~2026 | 엘라 모리스[2] Ella MORRIS 2002.09.23. ([age(2002-09-23)]) 2024~2027 | 에이미 제임스-터너[3] Amy JAMES-TURNER 1991.07.04. ([age(1991-07-04)]) 2022~2026 | 몰리 바트립[4] Molly BARTRIP 1996.06.01. ([age(1996-06-01)]) 2021~2028 |
| | | | |
6 | 7 | 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10 | 11 |
아만다 닐덴 Amanda NILDÉN 1998.08.07. ([age(1998-08-07)]) 2024~2027 | 제시카 나즈 Jessica NAZ 2000.09.24. ([age(2000-09-24)]) 2018~2027 | 베서니 잉글랜드 Bethany ENGLAND 1994.06.03. ([age(1994-06-03)]) 2023~2026 | 마이테 오로즈 Maite OROZ 1998.03.25. ([age(1998-03-25)]) 2024~2028 | 올리비아 홀트 Olivia HOLDT 2001.06.07. ([age(2001-06-07)]) 2025~2027 |
| | | | |
12 | 13 | 15 | 16 | 17 |
조세핀 뤼브링크 Josefine RYBRINK 1998.01.19. ([age(1998-01-19)]) 2025~2026 | 마틸다 빈베리 Matilda VINBERG 2003.05.16. ([age(2003-05-16)]) 2024~2026 | 클레어 헌트 Clare HUNT 1999.03.12. ([age(1999-03-12)]) 2024~2027 | 킷 그레이엄 Kit GRAHAM 1995.11.11. ([age(1995-11-11)]) 2019~2026 | 마사 토마스 Martha THOMAS 1996.05.31. ([age(1996-05-31)]) 2023~2028 |
| | | | |
18 | 19 | 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21 | 2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레나 거닝-윌리엄스 Lenna GUNNING-WILLIAMS 2005.02.05. ([age(2005-02-05)]) 2022~2028 | 카팅카 탄베르그 Cathinka TANDBERG 2004.06.18. ([age(2004-06-18)]) 2025~미상 | 올가 아흐티넨 Olga AHTINEN 1997.08.15. ([age(1997-08-15)]) 2023~2026 | 루아나 뷜러[5] Luana BÜHLER 1996.04.28. ([age(1996-04-28)]) 2023~2026 | 드류 스펜스 Drew SPENCE 1992.10.23. ([age(1992-10-23)]) 2022~2026 |
| | | | |
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 | 27 | 29 | 30 | 32 |
에벨리나 수마넨 Eveliina SUMMANEN 1998.05.29. ([age(1998-05-29)]) 2022~2026 | 엘레노어 힙스 Eleanor HEEPS 2003.08.04. ([age(2003-08-04)]) 2021~2028 | 애슐리 네빌 Ashleigh NEVILLE 1993.04.29. ([age(1993-04-29)]) 2017~2026 | 아라야 데니스 Araya DENNIS 2006.01.11. ([age(2006-01-11)]) 2024~2026 | 코가 토코 KOGA Tōko 2006.01.06. ([age(2006-01-06)]) 2025~2029 |
프리시즌 1군 동행 아카데미 선수 |
| | | | |
37 | 43 | 47 | 56 | |
자나이 피에르 Jhanaie PIERRE 2008.08.10. ([age(2008-08-10)]) U-19 스쿼드 소속 | 미아 엔다콧 Mia ENDACOTT 2007.05.09. ([age(2007-05-09)]) U-19 스쿼드 소속 | 루비 메이스 Ruby MACE 2007.09.12. ([age(2007-09-12)]) U-19 스쿼드 소속 | 소피 잭슨 Sophie JACKSON 정보 미상 (미상) U-19 스쿼드 소속 | |
임대 선수 |
| ||||
14 | ||||
안나 치키 Anna CSIKI 1999.11.14. ([age(1999-11-14)]) 2024~2028 | ||||
출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공식 웹사이트 (2025년 9월 9일 기준) | ||||
4. 스태프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025-26 시즌 코칭 스태프 | ||||
<rowcolor=#fff>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감독 | | 마틴 호 | Martin Ho | |
수석 / 골키퍼 코치 | | 크리스 윌리엄스 | Chris Williams | |
보조 코치 | | 닉 하디 | Nick Hardy | 임시 대행[32] |
출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공식 웹사이트 | 영문 위키피디아 (2025년 9월 9일 기준) |
4.1. 역대 감독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역대 감독 | ||||||
<rowcolor=#fff>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국적 | 부임 | 사임 | 재임 기간 | 비고 |
카렌 힐스 | Karen Hills | | 2009년 8월 16일 | 2020년 11월 19일 | 11년 +95일 | 2인 감독 체제 |
후안 아모로스 | Juan Carlos Amorós | | 2011년 2월 15일 | 9년 +278일 | ||
리한 스키너 | Rehanne Skinner | | 2020년 11월 19일 | 2023년 5월 13일 | 2년 +114일 | |
비키 젭슨 | Vicky Jepson | | 2023년 5월 13일 | 2023년 7월 7일 | 116일 | 임시 대행[33] |
로버트 빌라햄 | Robert Vilahamn | | 2023년 7월 7일 | 2025년 6월 8일 | 2년 +64일 | |
마틴 호 | Martin Ho | | 2025년 7월 4일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2025년 9월 9일 기준) |
4.2. 역대 총괄 디렉터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역대 총괄 디렉터 | |||||
<rowcolor=#fff>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국적 | 부임 | 사임 | 비고 |
헤더 코완 | Heather Cowan | | 2019년 3월 | 2022년 9월 | |
앤디 로저스 | Andy Rogers | | 2023년 5월 | 체제 개편[34] | |
출처: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공식 웹사이트 (2025년 9월 9일 기준) |
5. 홈 구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리즈번 로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리즈번 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당 11번의 리그 홈 경기 중 8경기를 브리즈번 로드에서, 나머지 3경기를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진행한다.
* 2023-24 시즌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진행된 경기는 아스날 W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WFC와의 경기 및 여자 FA컵 4강전이었다.
* 2024-25 시즌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진행된 경기는 아스날 W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 첼시 FC 위민과의 경기였다.
* 2024-25 시즌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진행된 경기는 아스날 W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 첼시 FC 위민과의 경기였다.
6. 여담
- 토트넘 홋스퍼 FC와 홈 구장, 훈련장, 유니폼, 스폰서를 공유하지만 유니폼 뒷면 하단부에 별도 스폰서가 존재하고 트레이닝 킷 스폰서도 상이하다.
[1] 정확한 창단일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첫 리그 경기는 1985년 9월 8일에 열렸다. 출처[2]
The Athletic, Jack Pitt-Brooke, 2025.06, "Tottenham Hotspur and another summer of change at the top. Is there more to come?"
AIA Voices, 2023.08, "Investing in women and girls - Andy Rogers, Managing Director for Tottenham Hotspur Women"[3] 영국 여자 축구는 총 7부 리그로 나뉘는데 3부 이하는 아마추어, 2부 WSL2(구 여자 챔피언쉽)는 세미프로이며, 오직 1부인 WSL만 풀타임 프로 리그이다.[4] 출처[5] 출처[6] 출처[7] 리그 9승[8] 출처[9] 첼시 FC 위민, 아스날 W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 맨체스터 시티 WFC[10] 출처[11] Evening Standard, Jack Rosser, 2019.09, "Tottenham prove they are no pushovers despite Chelsea defeat"[12] 출처[13] 128강[14] 64강[15] 16강[16] 32강[17] 2부리그 명칭 변경 및 리브랜딩[18] 창단 이후 첫 FA컵 결승 진출[19]
현재 확정 없음
현재 가능 WSL 우승, UWCL 진출, UWCL 예선 혹은 UWEC, WSL 잔류, WSL2 강등 PO, WSL2 강등
현재 불가능 없음
현재 순위로 시즌 종료 시 WSL 잔류[20] WSL 공식 선정[21] 출처[22] 비나이 벤카테샴은 과거 몸 담았던 아스날 FC에서도 여성팀을 꾸준히 지원한 경력이 있다.
Evening Standard, Simon Collings, 2025.04, "What Vinai Venkatesham will bring to Tottenham after key role in Arsenal rebuild"[23] WSL 공식 웹페이지에서는 Kirsty Dowle로, 기타 출처에는 Dowie로 이중 표기되어 있으나, 본인은 '다우이(이는 거의 묵음)'로 발음하는 듯 하다. 출처[24] WSL 공식 선정[25] 다만, 올가 아흐티넨 선수 본인은 상대팀 압박에 볼 소유를 상실하거나 패스 미스 하는 모습을 보여 후반 64분 즈음 빠르게 교체되었다.[26] 단지 높은 점유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짧든 길든) 특정 공격 시퀀스가 마무리 되는 시점까지 공을 계속 갖고 있느냐 라는 의미이다.[27] 최종 점유율은 토트넘 52 : 맨시티 48로 오히려 맨시티가 볼을 가진 횟수나 시간이 적었지만 한 번 소유했을 때 그 소유권을 활용하는 퍼포먼스의 퀄리티가 토트넘 보다 더 좋았다.[28] 실점 수로 인해 겉보기에는 수비 문제가 큰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공 간수를 제대로 하지 못해 후방지역 수비수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킨 중원과 공격쪽의 문제가 심각했다. 상대가 공격하지 못하도록 높은 지역에서 압박하는 것이 일종의 수비라면, 혼란스런 상황에서 소유권을 유지하는 것도 수비수들이 재정비 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 때문에 수비 기여라고 할 수 있다.[29] 오히려 첫번째 실점의 빌미가 된 우리 진영 우측 드리블 돌파를 허용했고, 두번째 프리 헤더 실점 상황에서는 코너킥 수비 중 대인 마킹 미스에 관여한 뒤 하프타임 교체되었다.[30] 압박으로 공을 소유하게 되는 순간 누가 뭘 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약속된 움직임이 잘 보이지 않았고, 혹여나 준비 되었다 하더라도 거기까지 연결해 주거나 만들어 줄 수 있는 선수가 없었다. 경기장 거의 전 지역을 압박하는 토마스 프랑크 감독마저도 필드 플레이어 10명 모두를 압박에 장점이 있는 선수로만 채우지 않고 사비 시몬스, 모하메드 쿠두스처럼 공 간수와 운반 연결에 강점이 있는 플레이메이커 혹은 와이드 플레이메이커를 함께 기용한다.[31] 출처[32] 본래 직책은 여자 아카데미 기술 코칭 매니저(Women’s Academy Technical Coaching Manager)이지만 리그 경기 도중 1군 코치석에 앉아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전임 보조 코치 브리 캄포스(Bri Campos)가 떠나면서 공석이 된 자리를 임시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3] 본래 직책은 여자팀 1군 수석 코치였으나 전임 리한 스키너가 해임 된 뒤 감독 대행으로 잔여 시즌을 마무리했다.[34] 전임 헤더 코완이 사임한 뒤 당시 여자팀 1군 감독 리한 스키너가 총괄 디렉터 역할을 겸임했던 것으로 보이나, 리한 스키너 경질 이후에는 총괄 체제를 보다 상위 직급으로 개편하고 기존 글로벌 축구 개발 부서장(Head of Global Football Development)이었던 앤디 로저스가 해당 직책으로 부임했다.
The Athletic, Jack Pitt-Brooke, 2025.06, "Tottenham Hotspur and another summer of change at the top. Is there more to come?"
AIA Voices, 2023.08, "Investing in women and girls - Andy Rogers, Managing Director for Tottenham Hotspur Women"[3] 영국 여자 축구는 총 7부 리그로 나뉘는데 3부 이하는 아마추어, 2부 WSL2(구 여자 챔피언쉽)는 세미프로이며, 오직 1부인 WSL만 풀타임 프로 리그이다.[4] 출처[5] 출처[6] 출처[7] 리그 9승[8] 출처[9] 첼시 FC 위민, 아스날 W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 맨체스터 시티 WFC[10] 출처[11] Evening Standard, Jack Rosser, 2019.09, "Tottenham prove they are no pushovers despite Chelsea defeat"[12] 출처[13] 128강[14] 64강[15] 16강[16] 32강[17] 2부리그 명칭 변경 및 리브랜딩[18] 창단 이후 첫 FA컵 결승 진출[19]
현재 확정 없음
현재 가능 WSL 우승, UWCL 진출, UWCL 예선 혹은 UWEC, WSL 잔류, WSL2 강등 PO, WSL2 강등
현재 불가능 없음
현재 순위로 시즌 종료 시 WSL 잔류[20] WSL 공식 선정[21] 출처[22] 비나이 벤카테샴은 과거 몸 담았던 아스날 FC에서도 여성팀을 꾸준히 지원한 경력이 있다.
Evening Standard, Simon Collings, 2025.04, "What Vinai Venkatesham will bring to Tottenham after key role in Arsenal rebuild"[23] WSL 공식 웹페이지에서는 Kirsty Dowle로, 기타 출처에는 Dowie로 이중 표기되어 있으나, 본인은 '다우이(이는 거의 묵음)'로 발음하는 듯 하다. 출처[24] WSL 공식 선정[25] 다만, 올가 아흐티넨 선수 본인은 상대팀 압박에 볼 소유를 상실하거나 패스 미스 하는 모습을 보여 후반 64분 즈음 빠르게 교체되었다.[26] 단지 높은 점유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짧든 길든) 특정 공격 시퀀스가 마무리 되는 시점까지 공을 계속 갖고 있느냐 라는 의미이다.[27] 최종 점유율은 토트넘 52 : 맨시티 48로 오히려 맨시티가 볼을 가진 횟수나 시간이 적었지만 한 번 소유했을 때 그 소유권을 활용하는 퍼포먼스의 퀄리티가 토트넘 보다 더 좋았다.[28] 실점 수로 인해 겉보기에는 수비 문제가 큰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공 간수를 제대로 하지 못해 후방지역 수비수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킨 중원과 공격쪽의 문제가 심각했다. 상대가 공격하지 못하도록 높은 지역에서 압박하는 것이 일종의 수비라면, 혼란스런 상황에서 소유권을 유지하는 것도 수비수들이 재정비 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 때문에 수비 기여라고 할 수 있다.[29] 오히려 첫번째 실점의 빌미가 된 우리 진영 우측 드리블 돌파를 허용했고, 두번째 프리 헤더 실점 상황에서는 코너킥 수비 중 대인 마킹 미스에 관여한 뒤 하프타임 교체되었다.[30] 압박으로 공을 소유하게 되는 순간 누가 뭘 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약속된 움직임이 잘 보이지 않았고, 혹여나 준비 되었다 하더라도 거기까지 연결해 주거나 만들어 줄 수 있는 선수가 없었다. 경기장 거의 전 지역을 압박하는 토마스 프랑크 감독마저도 필드 플레이어 10명 모두를 압박에 장점이 있는 선수로만 채우지 않고 사비 시몬스, 모하메드 쿠두스처럼 공 간수와 운반 연결에 강점이 있는 플레이메이커 혹은 와이드 플레이메이커를 함께 기용한다.[31] 출처[32] 본래 직책은 여자 아카데미 기술 코칭 매니저(Women’s Academy Technical Coaching Manager)이지만 리그 경기 도중 1군 코치석에 앉아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전임 보조 코치 브리 캄포스(Bri Campos)가 떠나면서 공석이 된 자리를 임시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3] 본래 직책은 여자팀 1군 수석 코치였으나 전임 리한 스키너가 해임 된 뒤 감독 대행으로 잔여 시즌을 마무리했다.[34] 전임 헤더 코완이 사임한 뒤 당시 여자팀 1군 감독 리한 스키너가 총괄 디렉터 역할을 겸임했던 것으로 보이나, 리한 스키너 경질 이후에는 총괄 체제를 보다 상위 직급으로 개편하고 기존 글로벌 축구 개발 부서장(Head of Global Football Development)이었던 앤디 로저스가 해당 직책으로 부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