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9:34:03

발해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북국시대의 국가에 대한 내용은 발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바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해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23_Ed3_Sheet_1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2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3_Small.jpg
<colbgcolor=#334455>태평양<colbgcolor=#eef,#002>남중국해 · 동인도제도(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보하이해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
대서양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이리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아조프해)
인도양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북극해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추크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남극해드레이크 해협
카스피해카라보가스골만}}}}}}}}}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가로림만 · 감천만 · 강진만 · 경기만 · 고성만 · 고현성만 · 곰소만 · 광양만 · 동도만 · 동한만 · 득량만 · 락원만 · 마산만 · 명주만 · 보성만 · 사천만 · 서한만 · 수영만 · 순천만 · 아산만 · 양산만 · 영일만 · 영흥만 · 오리만 · 울산만 · 웅기만 · 자란만 · 천수만 · 하청만 · 학동만 · 함평만 · 해주만 · 행안만
아시아
가고시마만 · 가우룽만 · 깜라인만 · 네무로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료리만 · 마이즈루만 · 만나르만 · 무쓰만 · 미카와만 · 벳푸만 · 벵골만 · 보하이만 · 붕로만 · 사가미만 · 사할린스키만 · 센다이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시마바라만 · 아니바만 · 아리아케해 · 아바차만 · 아소만 · 아카데미만 · 아카바만 · 야쓰시로해 · 오사카만 · 오만만 · 오비만 · 와카사만 · 우치우라만 · 우츠카야만 · 이세만 · 자오저우만 · 츤드라와시만 · 카라보가스볼만 · 캄바트만 · 타이만 · 토미니만 · 통킹만 · 투구르스키만 · 페르시아만 · 하카타만 · 할롱만 · 히로시마만
유럽
그단스크만 · 돌라르트 · 리가만 · 리옹만 · 메클렌부르크만 · 모어캠만 ·보트니아만 · 비보르크만 · 비스케이만 · 오네가만 · 제이드만 · 킬만 · 타간로크만 · 포메라니아만 · 핀란드만
아프리카
가베스만 · 기니만 · 델라고아만 · 뤼데리츠만 · 린디만 · 만자만 · 메나이만 · 베넹만 · 비아프라만 · 살다냐만 · 소드와나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랍만 · 아부키르만 · 아카바만 · 알고아만 · 알렉산더만 · 암바스만 · 야우리만 · 오만만 · 움진토만 · 위남만 · 컨셉션만 · 타주라만 · 탕헤르만 · 테이블만 · 포울만 · 폴스만 · 한만
북아메리카
갤버스턴만 · 과카나야보만 · 관타나모만 · 그랜트트레버스만 · 글레이셔만 · 내러갠싯만 · 뉴섀객만 · 뉴욕만 · 니코야만 · 다리엔만 · 돌체만 · 리투야만 · 매사추세츠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바일만 · 몬터레이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버자드만 · 브리스틀만 · 샌프란시스코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슈피리어만 · 아문센만 · 알래스카만 · 어퍼뉴욕만 · 온두라스만 · 웅가바만 · 자메이카만 · 제임스만 · 조지아만 · 찰뢰르만 · 체서피크만 · 칼리포르니아만 · 캄페체만 · 코치노스만 · 키위노만 · 테르미노스라군 · 테우안테펙만 · 파나마만 · 파리만 · 펀디만 · 퓨젓사운드만 · 프로비셔만 · 허드슨만 · 화이트피쉬만
남아메리카
과나바라만 · 과나케로스만 · 델카르네로만 · 로마스만 · 마라호만 · 만사만 · 몬테비데오만 · 베네수엘라만 · 산페드로만 · 상마르코스만 · 상호세만 · 아라우코만 · 아라우퀜 · 엔세나다데과필라쿠이 · 옌데가이아만 · 오넬리만 · 울라이아만 · 이누틸 만 · 인스워스만 · 카울린만 · 칼레타조라 · 코랄만 · 콘셉시온만 · 쿡만 · 통고이만 · 트리부가만 · 페냐스만 · 포제션만 · 푸니우일
오세아니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로벅만 · 보터니만 · 저비스만 · 조지프보나파르트만 · 진주만 · 카펀테리아만 · 쿨라만 · 파푸아만 · 포트 필립만 · 포트잭슨만
남극
굴드만 · 로스해 · 마거리트만 · 포사도프스키만 · 해럴드만}}}}}}}}}
발해해 (보하이해)
勃海海 | Bohai Sea
파일:보하이해.png
발해해의 위성사진과 수역.
파일:발해 만.jpeg.jpg
허베이성 발해만 연안의 사진.
<colbgcolor=#3594d3><colcolor=#fff> 분류 내해
위치 동아시아
인접국
[[중국|]][[틀:국기|]][[틀:국기|]](내수)
유입 황허강, 랴오허강
유출 황해
발해만(渤海湾, 허베이성)
랴오둥만(辽东湾, 랴오닝성)
라이저우만(莱州湾, 산둥성)
길이 약 280km (동서, 남북)
수면적 약 77,000 ㎢ (30,000 sq mi)
수심 18 m (평균)
50 m (최대)
염도 -
수온 -

1. 개요2. 지리3. 명칭과 역사4. 오염5. 기타

[clearfix]

1. 개요

발해해(, 보하이해)는 요동반도산둥반도로 둘러싸인 황해내해(內海, inland sea)이다.

2. 지리

면적은 약 7만 7천 제곱킬로미터, 평균 수심은 18미터의 얕은 해역으로, 톈진항 일대의 발해만(渤海湾, Bóhǎi Wān), 랴오둥반도 서쪽의 랴오둥만(辽东湾, Liáodōng Wān), 산둥반도 북쪽의 라이저우만(莱州湾, Láizhōu Wān)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는 좁은 수로인 발해협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황해서한만으로 이어진다.

3. 명칭과 역사

'발해 해'는 이 지역의 바다를 가리키는 전통적인 명칭인 '발해(勃海)'의 중국어 독음으로, 삼국지의 원소가 역임한 발해 태수, 후한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가 황자 시절에 받은 작위인 발해왕(勃海王) 등이 발해해를 중심으로 설정된 행정구역 발해군(勃海郡)에서 유래했다. 이는 지금의 창저우시(滄州市) 일대에 해당한다. 또 한국사의 고대 국가인 발해의 국호도 이 지명에서 따온 것으로, 마찬가지로 발해군 지역을 당나라 조정이 발해 국왕에게 형식적으로 봉한 데에서 유래한다.[1]

현대 한국어 명칭인 '발해해'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지명 표기법에 따라 바다를 가리키는 수식어 '해(海)' 부분을 제외한 고유명사가 한자 1자(발, 勃)인 경우 어휘 전체를 고유명사로 취급하고 한국어 '-해'를 붙여 읽게 한 것에 따른다. 발해만의 표기 역시 동일한 원칙에 따른다. 한자의 한국어 독음인 '발해', '발해만'도 관용이 인정되어 복수 표준어이다.

이 밖에 중원의 북쪽 방향에 가깝기 때문에 옛날 중국에서는 북해(北海) 또는 북양(北洋)이라는 이명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청나라의 북양함대의 북양(北洋)도 발해만을 가리킨다. 또 근대에는 청나라 이후 1928년까지 허베이성(하북성) 일대에 위치한 구 행정구역명 직례성(直隷省)을 따서 직례만(直隷灣)이라고도 했다.

4. 오염

파일:보하이만과 라이저우만.png
보하이만 및 라이저우만 일대의 위성사진.

1980년대까지는 어창(魚倉)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들이 서식하는 바다였다. 하지만 동북3성과 허베이성의 공해산업이 발달하고 환경보다 경제성장을 택하는 대륙의 마인드로 오염을 막을 환경 규제가 매우 미약해서, 해안은 중금속이 끊임없이 몰려들고 먼바다에선 쉴새 없이 기름 유출이 벌어지고 있는 바다가 되었다.

황하의 흙탕물은 발해해의 라이저우만을 거쳐 황해로 흘러든다. 그 외에 랴오허(요하)롼허강 등 많은 큰 강들이 발해해로 흘러든다. 랴오허 또한 무시하지 못할 게 상류에 커얼친, 훈탄타커 등 사막이 있어서 황하 못지 않은 흙탕물을 바다로 끊임없이 배출한다. 게다가 중국의 급속한 공업화와 있으나마나한 환경규제로 인해서 발해만 연안 도시들에서 많은 유해 물질이 흘러들어간다. 이런 요소들이 합쳐져서 발해해의 물은 우리가 아는 황해보다도 더욱 탁하고 유독하고 더럽다.

‘천국의 해변’ 中 보하이… 생명체 살지 못하는 죽음의 바다로
또한 발해해 내에 유전지대가 있어 석유공업도 발달되어있는데 그 유전들에서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011년 발해만 곳곳의 유전에서 발생한 원유 유출 사고 때문에 발해만이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2011년 6월 4일 처음 유출이 확인되었는데, 대응을 어떻게 했는지 이후 5개월 동안 다른 유전들에서도 유출 사고가 잇따라 일어났다. 중국은 사건을 1달 후인 8월에 발표해 사고를 은폐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았다. 발해 만 5~6,000㎢가 오염되었고, 유출 책임사 코노코필립스는 10억 위안의 피해보상금을 냈다. 사실 보도통제 등의 요인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바다 중 하나임은 틀림이 없다.

중국 어선들이 툭하면 한국 영해는 물론이요, 일본 영해선 내까지 들어와 불법 조업을 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서해의 중국 영해는 발해해처럼 모조리 심각하게 오염되었고 그 결과 수산 자원이 엄청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쪽 바다에 잡을 것이 없다 보니 북한과 밀약을 맺어 북방한계선을 침입해 조업을 하는 것.

그래도 2010년대에는 공장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환경규제도 강화했으며 돈을 들여 정화작업을 해 놓았기 때문에 이전보다는 수질이 많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동안 각종 사건사고와 연관되어 있는데다가 각종 산업폐기물들이 해저에 쌓여 있는 관계로 이전보다 수질이 나아졌다고 해도 여전히 수질 오염은 심각한 편이다. 그리고 정화했다고는 해도, 급수외 수질에서 4급수 정도로 정화한 수준이다.

5. 기타

고대에는 지금보다 훨씬 규모가 컸다. 당장 황하 하류 부분의 발해만은 약간 반도처럼 불룩 튀어나와 있는데, 이건 황하의 유로가 지금과 같이 변화한 1853년부터 현대까지 지속된 황하의 퇴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이뿐 아니라 랴오둥 반도 안쪽의 만 역시 퇴적 작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대에는 만이 훨씬 깊었다.[2]

산둥 반도와 랴오둥 반도가 접하는 발해 해협에 다롄옌타이를 잇는 해저터널뚫을 계획이다.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자세한 내용은 발해만 해저터널 문서로.

결빙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2013년에는 지속된 한파로 발해만 15,231㎢, 라이저우만 2,900㎢, 랴오둥만 5,650㎢가 얼어붙어 어민들의 어업과 여객선 운항 등이 중지되었다. 기사

겨울철 서해안 해기차의 주 원인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삼국지에도 나오듯, 발해군은 발해라는 나라가 생기기 한참 전인 전한 초중기에 만들어진 군으로 동북공정류의 중국역사왜곡 시도와는 전혀 관련 없다.[2] 발해해뿐 아니라 그냥 황해 자체가 옛 후빙기 초기에는 지금보다 훨씬 넓었다. 산둥 반도의 경우, 아예 후빙기 초기에는 섬이었다는 말도 있을 정도인데, 이 정도로 퇴적물을 걷어내 바닷물을 채워 보면 사실상 현재의 중원 평지 거의 대부분은 물에 잠긴다. 과거 고대 중국의 동쪽 해안 지역에는 늪 등 습지가 많았는데, 이것 역시 과거에 바다였던 곳이 황허, 훼이허, 양쯔강 등의 지속적인 퇴적 작용으로 메워지고 담수화하면서 생긴 것이다. 이 과정에서 타이호 등의 크고 작은 호수들이 여럿 생겨났다. 사실 한반도도 큰 차이는 없는 것이 삼국시대 당대에 호남평야 지대 상당수가 바다나 갯벌이었으며 심지어 전주 앞까지 바다였다(!!!) 인공적으로 간척을 한 부분이 크게 작용은 하지만 그렇다고 퇴적을 무시할수 없다는 얘기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