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박석윤(1961) 문서 참고하십시오.
朴錫胤
1898년[1] 10월 26일 ~ 1950년 10월 20일
1. 소개
일제강점기 때의 야구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함양(咸陽).최남선의 여동생인 최기득(崔己得)과 결혼해 최남선은 그에게 처남이 된다.
2. 생애
2.1. 야구인으로서
1898년 10월 26일 전라남도 창평군 군내면(現 담양군 창평면) 창평리[2]에서 아버지 박진규(朴鎭圭)와 어머니 조씨(曺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상경해 경기도 경성부 종로6정목(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에 본적을 두었다.1911년 창평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경성부 사립 중앙학교에 입학하였으나 5개월 만에 중퇴하였다. 곧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관립제1중학교에 입학하였다가 다음 해인 1912년 조세이(城西)중학교로 전학하여 1916년 졸업하였다. 그해 6월 교토제3고등학교[3]에 입학하여 1919년 6월 졸업하였으며,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 진학하여 1922년 3월 졸업하였다.
동경제국대학 재학 당시 야구 선수로 출중한 재능을 보여 도쿄유학생 반도야구단 주장 자격으로 제 4차도쿄유학생모국방문경기(1917년), 제 5차 도쿄유학생모국방문경기(1920년), 제 6차 도쿄유학생모국방문경기(1921년)에 참여해 전라북도 전주군을 방문하기도 했다. 주 포지션은 투수.
한편, 동경 조선유학생학우회의 평의원이었으며, 박열이 소속한 아나키스트 단체인 흑우회(黑友會)에도 관여하였고 당시 일본인 사회주의자였던 사카이 토시히코(堺利彦), 오스기 사카에(大杉榮), 콘도 겐조(近藤憲三),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 이쿠타 쵸코(生田長江) 등과 교유하기도 했다. 또한 사회주의 사상단체였던 코스모구락부 부원으로서 사회주의 선전에 가담하기도 했다.
특히, 1921년 7월 동경 유학생 학우회의 야구부 순회시합의 일원으로서 전주에 도착했을 때 그곳에서 불온한 연설을 하여 전주경찰서에 소위 경찰범처벌규칙 위반으로 구류 20일 처분을 받은 적도 있었다.1922년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그는 그해 제 3회 전조선야구대회에 중앙체육단 소속으로 뛰기도 했으며, 그해 12월 8일에 일본을 방문했던 미국 프로야구 올스타(Pacific Coast League)[4]를 초청하기 위해 이원용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협상을 펼쳐 방한 경기를 이끌기도 했다.
그리고 1923년 제4회 전조선야구대회에서도 중앙체육단 소속으로 활동하던 그는 휘문고보 야구부의 감독으로 재직하게 되는데 이때 휘문고보를 이끌고 제3회 조선중등학교대회 겸 제9회 전국중등우승대회 조선예선전에 참가, 경성중학교, 인천상업, 선린상업, 대전중, 용산중, 부산상업, 부산중들과 함게 참여, 경성중학교와의 결승전에서 10:1로 대승을 거두며 고시엔 본선 진출을 이뤄냈다. 고시엔 본선에서는 아쉽게 8강에서 머물렀지만 이해 휘문고는 순수 조선인 야구부 유일의 고시엔 8강 진출이라는 대업을 이뤄 냈다.
그후 1924년에 하와이원정대의 일원으로 하와이 원정 경기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야구 대항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30년 9월 30일 조선야구심판협회가 창설 당시 위원으로도 참여했으며 해방 이후인 1946년에 박석윤은 조선야구협회 창립 고문으로도 참가했다.
이렇듯 야구계 전반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지만 왜 흑역사로 평가 받냐면 친일반민족행위자이기 때문이다.
2.2.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유학생활을 마친 후 조선총독부와 연을 맺고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 직책을 맡았으며 재외연구원 재직시절 조선 총독부의 후원으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유학생활을 하기도 했다. 귀국후인 1930년에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부사장에 올랐으며 언론을 통해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했다.1932년, 조선인과 중국인들이 서로의 독립을 위해 규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이를 와해시키기 위해 만주국에 민생단을 설립을 주도하였는데 룽징(간도 용정)에 도착한 그는 일본 고위 인사와 친일 인사를 만나 큰소리를 쳤다.
"일본군의 동북출병은 조선인의 권익 확보를 기할 절호의 기회이고 총독부와 충분히 의논하였는데 나에게 좋은 생각이 있다. (중략) 이곳 간도에서 조선 민족의 대동단결을 실현하고자 자유천지를 건설하려 한다."
이런 제안을 하자 일본총영사는"무슨 뜻인지 잘알겠지만 조선민족의 자유천지가 자칫 독립운동으로 오인 될 시 총독부의 압제가 뒤따를 것이고, 간도 독립을 오인될 경우 중국 당국의 압제가 있을 것이니 실질적인 생산 작업을 표방하는 것이 좋겠다." 라고 역제안을 하였다.
박석윤은 총영사의 역제안을 듣고 '조선인의 자각을 촉진하고 서로 단결하며 산업인으로서 생존권을 확보를 내걸고 단체를 조직하겠다'하여 친일 조선인 유지들을 적극 찬동시켰는데 박석윤, 조병상, 이경재, 최윤주를 대동한 설립 허가신청서를 냈다.
설립 허가 신청서를 받은 총영사가 "허가를 받으려면 규약이 마련하고 단체의 유지를 위한 서류가 필요하다"며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자, 박석윤은 다시 서울로 돌아가 총독부와 접촉하고 친일 인사인 손위처남인 최남선과 친일 원로인 윤치호와 박영효 등의 지지를 얻었으며 일본 정계 요로 인사들의 지지도 이끌어냈다. 그리하여 1932년 2월 15일에 룽징 공회당에서 창립대회를 가졌고 단장은 선출하지 않았다.
박석윤은 부단장을 뽑힌 한영우와 함께 서울로 가서 친일 군인이였다 예편한 박두영을 단장을 맡아달라고 부탁하여 박두영은 허락하였고 민생단은 간도한인자치 청원운동을 준비하였는데 제19사단 간도 파견대가 들어오자 환영운동을 우선 집중한다.
자위단을 조직키로 하고 자위단을 이끌 지도자 양성기관도 마련하였다. 그런데 관동군 수뇌부에서는 "우리가 고작 간도를 먹으려 만주를 점령한 것 아니지 않은가. 만주를 다 점령해야 한다. 그런데 간도자치를 떠드는 저 치들을 그대로 두면 중국인들의 반감이 만만치 않는다"며 박석윤에게 해산명령을 내렸다. 박석윤은 창립 5개월만에 일다운 일을 해보지도 못한 채 사무실을 페쇄하고 해체선언을 해야했다.[5]
그후 만주국 외교관이 되어 1939년 2월 만주국의 주폴란드 총영사로 재직하기도 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무장독립운동 단체였던 간도협조회의 와해를 위해 움직였다.
만주국 훈4위 경운장(景雲章)을 받고, 만주국 협화회 중앙본부 위원까지 올랐다.
2.3. 해방 이후
의외로 말년에는 일종의 속죄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광복 직전 조선총독부 고위관료인 최하영을 통해 행정권 인수자로 추천되었다. 그러나 핵심 친일파였던 만큼 행정권을 인수하기 적절한 인물이 아니었고, 다만 조선총독부를 대리하여 여운형을 찾아가 행정권 인수를 권유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때 "나는 어떠한 처벌도 감수하겠지만 여기는 내 조국이고 내 고향"이라는 의외의 소견을 남겼다.1946년 3월, 지병을 치료하기 위해 평양 인근의 양덕온천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체포, 건강을 이유로 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1947년 2월 24일 평양 인민교화소에 다시 구류되었고 4월 19일 북한 최고재판소에 친일반동분자라는 죄목으로 기소되었다.
그리고 1948년 1월 22일에 사형 판결을 받았으며 이에 불복하고 항소를 했지만 기각당하며 1948년 6월 9일에 사형이 확정, 1950년 사형이 집행되었다.
3. 여담
- 야구 가족이기도 한데 동생인 박석기(朴錫驥)[6]도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 이런 친일 행각 때문에 곤욕을 치른 적이 있는데 1924년에 하와이원정단에 합류해 하와이를 방문했을때 그곳의 동포들이 박석윤을 모래사장에 무릎끓고 옆에 칼을 꽂아 자결하라고 일침을 남긴 일화는 유명하다. 이때 그의 동생이었던 박석기가 그 칼을 집어들어 그 자리에서 자신의 가슴을 X자로 그어 평생 지워지지 않을 흉터를 남기며 그의 결백을 주장해 풀려났다고 한다.
-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는 박석윤의 이력이 상세히 실려 있으며, 그의 최후와 관련하여 "(광복 후 신분을 감추고) 숨어살다가 적발되어 민족반역자로서 준엄한 심판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실 김일성도 민생단 사건으로 연루되어 죽을뻔 했는데 그 원흉인 박석윤을 살려 둘리 없다.
[1] 왜정시대인물사료에는 1897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2] 인근의 유곡리·해곡리와 함께 함양 박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박무길과 박석우도 이 마을 출신이다.[3] 現 교토대학 교양부.[4] 트리플 A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었다.[5] 이렇게 간도의 친일 단체 민생단은 반년도 못 가 해산되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민생단 출신'은 조선인 사회주의자 사이에서 밀정이자 프락치로 뒤집어씌우기 좋은 구실이 되어 이른바 민생단 사건으로 인해 수많은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의 목숨을 앗아가는데 일조하게 된다.[6] 1900년 ~ 1953년. 대한민국의 거문고 산조의 대가. 전무형문화재 제16호 기능보유자인 한갑득에게 사사하기도 했다. 그의 형과는 달리 일제강점기 시절에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지 않고 유유자적 살아가다가 조선의 판소리계를 위해 헌신 하기도 했다. 그의 자식인 박윤초도 판소리를 배워 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