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8c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ff8c00;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8c00> 시내 | 1-2 | 2 | 3-1 | 4대항, 퇴로, 구기 | 4-1, 4-2 |
5 | 6상동, 엄광, 활성 | 7-1 | 9롯데 | |||
대흥동1, 2 | 가곡 | |||||
상동 | 도곡1, 2 | 신곡1, 3~7 | 옥산(1) | |||
산외 산내 | 발례1, 2 | 얼음골1~3 | 엄광1, 2 | |||
산외 단장 | 감물리1~5 | 고례1~3 | 국전1~4 | 표충사1~3 | ||
삼랑진 | 부산대(남포) | 용성 | 칠성 | 삼랑롯데 | 삼랑진 | |
상남 하남 | 남산1, 2 | 수산1, 2 | 해동1 | |||
무안, 상남, 초동 | 초동2 | 초동3 | 초동공단 | 초동면소 | ||
무안, 부북, 청도 | 청운 | 화봉1 | 영신2,3 | 활성 | 서가정1~6 | |
구기1, 3 | 대촌1, 2 | 두곡 | 소태 | 조천1~2 | ||
마을 | 용활1~5 | 한성1~4 | 영남1 | 삼남1~4 | 삼랑진1,2 | |
아리랑버스 | 21, 22, 23, 24, 25, 25-1, 25-2, 26, 27-1, 27-2, 28 |
| |
1번 | 1-2번 |
1. 노선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기점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밀양역) | 종점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밀양역) | ||||
종점행 | 첫차 | 05:45 |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3:10 | 막차 | - | ||||
평일배차 | 일 56회 | 주말배차 | 일 59회 | ||||
운수사명 | 밀양교통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1] 밀양역 → 가곡시장→ 용두교 → 삼문동 공설운동장 → 청학서점 → 밀성고등학교 → 교동사거리 → 교동주민센터 → 밀양시청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남포)[2] → 부산대 밀양캠퍼스 (→ 용성 (→ 칠성))[3][4] ) / (→ 멍에실)[5]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기점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밀양역) | 종점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밀양역) | ||||
종점행 | 첫차 | 07:28 |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19:40 | 막차 | - | ||||
평일배차 | 일 13회 | 주말배차 | 일 13회 | ||||
운수사명 | 밀양교통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6] 밀양역 → 가곡시장→ 용두교 → 삼문동 공설운동장 → 청학서점 → 밀성고등학교 → 교동사거리 → 교동주민센터 → 밀양시청 → 현대아파트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2. 개요
밀양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밀양에서 배차간격이 좋은 노선 중 하나다.3. 특징
- 밀양 시내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다른 방향으로 순환하는 노선으로는 2번이 있다.
- 이 노선의 지선으로 1-2번이 있는데 시청 정류장을 지나고 미리벌관,현대아파트 정류장을 정차하는 것 외엔 1번 노선과 일치한다.
- 일부 시간대에는 연장운행을 하기도 한다.
- 부산대(용성, 칠성) 연장노선[7]: 자세한 내용은 밀양시 시내버스/삼랑진읍 참고.
- 삼랑진발이 직결되어 오는 시간대도 있긴 하지만, 시내노선 운행 후 부산대를 경유, 이후 삼랑진까지 가는 시내노선은 현재로썬 7번계열(7삼랑, 7롯데) 단독 운행이다.
- 멍에실 연장노선[8]: 평일 3회, 휴일 2회 연장 운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밀양시 시내버스/시내지선 참고.
- 서가정 연장노선[9]: 매일 1회 운행. 밀양역 05:53, 터미널 06:10, 서가정 06:45 출발한다. 기타 시간대에는 서가정노선 이용.
- 영신(화봉) 연장노선[10]: 매일 1회 운행. 밀양역 06:21, 터미널 06:40, 영안종점 07:00 출발한다. 기타 시간대에는 영신 노선 이용. 자세한 내용은 밀양 버스 화봉 참고.
3.1.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교동로 | |
대웅맨션 ▼ | ▲ 교동사거리 | |
밀양대로 | 석정로 | |
시외버스터미널 ▼ | ▲ 청학서점 | |
북성로 | 중앙로 | |
영남아파트 ▼ | ||
중앙로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시청로 | |
▼ | ▲ 미리벌관 | |
창밀로 | 밀양대로 | |
신촌오거리 ▼ | ▲ 대웅맨션 | |
밀양대로 | 교동로 | |
시외버스터미널 ▼ | ▲ 교동사거리 | |
북성로 | 석정로 | |
영남아파트 ▼ | ▲ 청학서점 | |
중앙로 |
4. 연계 철도역
일반 철도역: 밀양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1] 일부 시간대 멍에실, 부산대, 칠성(휴일.방학 한정), 삼랑진에서부터 직결 운행.[2] 부산대 권역 연장 시간대 중 일부만 경유. 부산대 종착 시 노선명에 (남포) 추가.[3] 학기 중 평일 기준 일 3(부산대) + 7(부산대(남포)) + 2 (용성)+ 2(칠성)회 연장 운행. 단, 대학 방학 중에는 1 + 2 + 2 + 2회로 감차. 노선명: 1부산대 / 1용성 / 1칠성[4] 방학, 휴일 기준 일 2 + 2 + 2회 연장 운행. 노선명: 1부산대(남포) / 1용성 / 1칠성.[5] 평일 3회 / 휴일 2회 연장 운행. 노선명: 1가곡.[6] 일부시간대 멍에실, 부산대(휴일.방학 한정), 삼랑진에서부터 직결 운행.[7] 1번 혹은 1-2번 노선 운행 후 부산대 방면 노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종점에서는 노선을 바꾸기도 하며 해당 노선 이외의 다른 시내 노선으로 연결되기도 한다.[8] 밀양역 ~ (노선명: 1가곡, 교동 경유.) ~ 멍에실 회차.[9] 밀양역 → (노선명: 1서가정) → (1번과 동일하게 운행) → 교동 → 제일고 → 터미널 → 롯데A → 신법삼거리 → 무안농협 → 중산 → 고라리(마곡) → 서가정종점 → 다례 → 아치실 → 웅동 → 중산 → 무안농협 → 신법삼거리 → 롯데A → 터미널 → 시청 → 제일고 → 밀성고 → 영남루 → 밀양역[10] 밀양역 → (노선명: 화봉1) → (1번과 동일하게 운행) → 교동 → 제일고 → 터미널 → 롯데A → 신법삼거리 → 무안농협 → 신법삼거리 → 태봉사 → 화봉 → 영신(영안종점) → 화봉 → 태봉사 → 신법삼거리 → 무안농협 → 신법삼거리 → 롯데A → 터미널 → 북성로타리 → 영남루 → 밀양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