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8c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ff8c00;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8c00> 시내 | 1-2 | 2 | 3-1 | 4대항, 퇴로, 구기 | 4-1, 4-2 |
5 | 6상동, 엄광, 활성 | 7-1 | 9롯데 | |||
대흥동1, 2 | 가곡 | |||||
상동 | 도곡1, 2 | 신곡1, 3~7 | 옥산(1) | |||
산외 산내 | 발례1, 2 | 얼음골1~3 | 엄광1, 2 | |||
산외 단장 | 감물리1~5 | 고례1~3 | 국전1~4 | 표충사1~3 | ||
삼랑진 | 부산대(남포) | 용성 | 칠성 | 삼랑롯데 | 삼랑진 | |
상남 하남 | 남산1, 2 | 수산1, 2 | 해동1 | |||
무안, 상남, 초동 | 초동2 | 초동3 | 초동공단 | 초동면소 | ||
무안, 부북, 청도 | 청운 | 화봉1 | 영신2,3 | 활성 | 서가정1~6 | |
구기1, 3 | 대촌1, 2 | 두곡 | 소태 | 조천1~2 | ||
마을 | 용활1~5 | 한성1~4 | 영남1 | 삼남1~4 | 삼랑진1,2 | |
아리랑버스 | 21, 22, 23, 24, 25, 25-1, 25-2, 26, 27-1, 27-2, 28 |
|
6엄광.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밀양역) | 종점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금산리(상동역[1]) |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엄광리(엄광) |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활성2통회관) | |||||
종점행 | 첫차 | 06:10 | 기점행 | 첫차 | 시간표 참조 |
막차 | [평일] 18:36 / [휴일] 18:35 | 막차 | 시간표 참조 | ||
운행횟수 | 1일 7회[2] | 운수사명 | 밀양교통 | ||
공통구간 |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 | ||||
지선 | 상동 | - 긴늪 - 가실 - 유산 - 상동역( - 감마종점) | |||
엄광 | - 긴늪 - 정문 - (화동 - 양덕) - 남가동 - 숲촌 - 양덕 | ||||
활성 | - 긴늪 - 정문 - 화동 - 다원 - 율전 - 활성2통회관 |
2. 개요
밀양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3. 특징
- 6번은 원래 밀양역부터 영남루, 시청, 교동주민센터를 들려 긴늪을 오가는 노선을 이야기했다.
- 기본적으로 시청에서는 6번으로 공지하긴 하나, 시간표 개정을 거치며 현재는 순수히 6번의 구간이었던 긴늪까지만 운행하는 계통은 없다. 따라서, 모든 시간대에 각 행선지(노선 숫자 뒤에 붙는 지명)까지 연장운행한다.
- 이를테면 6상동은 (최소)상동역까지, 6엄광은 엄광리까지, 6활성은 활성2통까지 직결운행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6엄광은 엄광n번 계통과 긴늪이후 구간이 똑같으며, 둘 다 시간대별로 양덕동을 경유하는 순서만 다르다. 오전에는 양덕을 나중에, 오후에는 양덕을 먼저 들리고 엄광리로 가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 6상동의 첫차시간대는 휴일은 6상동, 평일에는 6상동2, 방학중 평일에는 6상동3으로 분류된다. 이유는 평일 첫차는 감마종점까지 연장 운행하는게 가장 크고, 방학여부에 따라 밀양역 종착 후 부산대지선까지 직결[3] 여부가 여기서 또 갈리기 때문(...). 두번째 시간대는 그냥 6상동이다.
- 6상동2, 6상동3은 사실 상 옥산(1)노선의 밀양역 연장버전이다. 다만 차이가 있는 건 옥산1번은 밀양으로 들어올 때 시청이 아닌 밀성고, 제일병원을 경유한다는 점 뿐이다.
- 6상동 및 6활성의 마지막시간대 차량은 6상동1, 6활성1로 따로 분류된다. 이유는 계통 상 밀양터미널 중간종착을 하고, 중고교 학기 중 평일에 6활성1은 터미널 18:32발[4] 용성1로[5], 6상동1은 매일 터미널 19:30발 1칠성으로 직결 운행[6]하기 때문.
- 6엄광은 노선명이 달라지진 않으나, 양덕 추가 경유 순서가 오전 및 오후 별로 달라진다. 이는 엄광n번과 똑같고 경유지도 거의 같다.[7] 고로 엄광지선 역시 엄광n번의 밀양역 연장버전이라 봐도 무관하다.
3.1. 노선
4.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밀양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1] 일부시간대 옥산리 감마종점까지 연장.[2] 상동 3회, 엄광/활성 각 2회.[3] 대학 학기 중 평일에는 밀양역 08:56, 부산대 09:04 도착한 뒤, 09:06 회차하여 밀양역 09:20 발 7번으로 직결 운행.[4] 휴일에는 마지막 시간대도 6활성으로 운행하고, 터미널 18:29발 1번 차량이 용성 연장구간을 대신 운행한다.[5] 이후 용성 19:03, 부산대 19:08, 밀양역 19:24발 7-1번으로 직결운행.[6] 이후 칠성 20:00, 부산대 20:04, 밀양역 20:18발 2번(방학 중 평일&휴일은 1번)으로 직결.[7] 편도 1회는 동문고개로 넘어온다는 차이 외에는 전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