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08:07:07

밀로시 벨코비치

밀로스 벨코비치에서 넘어옴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5-26 시즌 스쿼드
1 마테우스 · 3 산도발 · [[미르코 이바니치|4 이바니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001A; font-size: .8em"]] · 5 호드리강 · 6 바조 · 7 밀손 · 10 카타이
13 벨코비치 · 14 올라인카 · 17 두아르테 · 18 글레이저 · 19 다미아노비치
20 헨델 · 21 엘시니크 · 22 코스토프 · 23 티크니지안 · 24 스탄코비치 · 25 레코비치
28 드라스키치 · 30 우첸나 · 33 크루니치 · 37 루치치 · 40 자리치 · 45 구델리
49 라도니치 · 50 라다노비치 · 60 가슈타로프 · 66 설영우 · 71 아브릭 · 77 구테샤 · 80 바비카 · 89 아르나우토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블라단 밀로예비치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687aa0987fdbcdec082bc85d_Veljkovic493x597-PNG.webp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No. 13
밀로시 벨코비치[1]
Милош Вељковић | Miloš Veljković
<colbgcolor=#d90512> 출생 1995년 9월 26일 ([age(1995-09-26)]세)
스위스 바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8cm / 체중 85kg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d90512> 유스 FC 바젤 (2000~2011)
토트넘 홋스퍼 FC (2011~2015)
선수 토트넘 홋스퍼 FC (2013~2016)
미들즈브러 FC (2014~2015 / 임대)
찰턴 애슬레틱 FC (2015 / 임대)
SV 베르더 브레멘 (2016~2025)
SV 베르더 브레멘 II (2016~2017)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5~ )
국가대표 39경기 1골[2] (세르비아 / 2017~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
5. 같이 보기

1. 개요

세르비아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센터백. 스위스 출신이지만 세르비아 부모님에게서 태어나 2개의 국적을 갖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토트넘 홋스퍼 FC

스위스 출신으로, FC 바젤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한 뒤 2011년에 토트넘 홋스퍼 아카데미에 입단했다. 그리고 2013-14 시즌 메인 스쿼드에 속해 있었지만 선발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며 거의 전력 외 취급을 받았고, 두 차례 임대 생활을 보냈다.

2.2. SV 베르더 브레멘

2015-16 시즌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베르더 브레멘에 합류했다. 첫 시즌은 대부분 2군 팀에서 시간을 보냈고, 두 번째 시즌은 좋은 활약으로 1군 스쿼드와 번갈아 뛰었다.

2017-18 시즌부터는 정식으로 1군 스쿼드에 합류해 선발로 30경기를 소화하며 주전 센터백으로 등극했다. 이후 2018년 6월, 팀과의 계약을 연장하였다. 기간은 2022년 여름까지.

이후에도 줄곧 주전으로 활약 중이다. 2021-22 시즌은 코로나 19 확진으로 인해 시즌 시작을 함께하지 못했다. 그 후에도 부상으로 결장한 2경기를 제외하면 전반기 모든 경기를 소화했다. 감독을 가리지 않는 훌륭한 활약을 바탕으로 전반기 랑리스테 센터백 부문에서 H-3에 이름을 올렸다. 2. 분데스리가에서 벨코비치보다 현 시점 뛰어난 센터백은 이타쿠라 코와 토마스 이셔우드 뿐.

30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와의 중요한 경기에서 경기 초반 박스 안 파울을 범하며 선제 실점의 빌미가 되었다.

2022년 6월, 팀과 재계약을 맺었다. 계약기간은 정확히 언제까지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2022년 7월 24일, 부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3.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5년 3월 11일,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다. 2024-25 시즌이 끝나고 이적하며 계약 기간은 3년.

3. 국가대표 경력

16살 까지는 스위스 소속으로 국가 대항전에 출전했으나 이후에는 세르비아 소속으로 국가 대항전에 출전 중이다. 2015년 FIFA U-20 월드컵에 모든 경기에 출전하여 세르비아 U-20의 우승을 이끌었다.[3]

2017년 10월 11일, 중국과의 친선전에서 교체로 출전하며 세르비아 A대표팀에 데뷔하였고, 백업 센터백으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도 차출되었다.

월드컵 직후의 UEFA 네이션스 리그 6경기에 모두 선발로 활약한 이후 대표팀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감독 부임 이후 다시 한 번 부름을 받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지역예선에 출전했고, 포르투갈전에서도 선발로 출전해 원정에서 2-1 극장승을 거두며 월드컵 출전을 확정짓는다. 쓰리백으로 포메이션을 전환해 센터백 숫자도 하나 늘었고, 계속 주전으로 활약 중이기에 별일 없다면 저번 월드컵과는 다르게 주전으로 출전 예정.

그리고 예상대로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주전 센터백으로 나섰으나 매 경기 자동문 경기력을 일관하며 세르비아의 수비 불안에 일조했다. 결국 팀은 3경기 8실점을 하고 1무 2패에, 조별 최하위로 쓸쓸히 탈락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5. 같이 보기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5-26 시즌 스쿼드
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포지션 국적 비고
1 마테우스 Matheus GK 파일:브라질 국기.svg
3 카이머 산도발 Keimer Sandoval D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1]
4 미르코 이바니치 Mirko Ivanic MF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주장
5 호드리강 Rodrigão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6 마흐무두 바조 Mahmudu Bajo MF 파일:감비아 국기.svg
7 밀손 Milson FW 파일:앙골라 국기.svg
10 알렉산다르 카타이 Aleksandar Katai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3 밀로시 벨코비치 Miloš Veljkov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4 피터 올라인카 Peter Olayinka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7 브루노 두아르테 Bruno Duarte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18 옴리 글레이저 Omri Glazer GK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 알렉사 다미아노비치 Aleksa Damjanovic FW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 토마스 헨델 Tomás Händel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1 티미 엘시니크 Timi Elšnik MF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22 바실리예 코스토프 Vasilije Kostov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3 나이르 티크니지안 Nair Tiknizyan DF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24 니콜라 스탄코비치 Nikola Stankovic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5 스테판 레코비치 Stefan Leković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8 부크 드라스키치 Vuk Draskic G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0 프랭클린 테보 우첸나 Franklin Tebo Uchennać D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33 라데 크루니치 Rade Krunić M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37 블라디미르 루치치 Vladimir Lucic FW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40 루카 자리치 Luka Zaric FW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45 스테판 구델리 Stefan Gudelj D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49 네마냐 라도니치 Nemanja Radonjić M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50 사보 라다노비치 Savo Radanovic G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0 마테이 가슈타로프 Matej Gashtarov MF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66 설영우 Seol Young-woo D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아뎀 아브릭 Adem Avdic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77 이반 구테샤 Ivan Guteša GK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80 샤비 바비카 Shavy Babicka FW 파일:가봉 국기.svg
89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Marko Arnautović FW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colbgcolor=#ffffff> 구단 정보
구단주: 스베토자르 미야일로비치 / 감독: 블라단 밀로예비치 / 홈구장: 스타디온 라이코 미티치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9월 4일

[1] 레알 베티스 B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 루카 리예스키치
(Predrag Rajković)
2005년 2월 23일 ([age(2005-02-23)]세) 0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라드니치키 1923
12 조르제 페트로비치
(Djordje Petrović)
1999년 10월 8일 ([age(1999-10-08)]세) 1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21 부크 드라스키치
(Vuk Draskic)
2007년 5월 11일 ([age(2007-05-11)]세) 0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DF 2 코스타 네델코비치
(Kosta Nedeljković)
2005년 12월 16일 ([age(2005-12-16)]세) 6 0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3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2001년 5월 24일 ([age(2001-05-24)]세) 33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4 벨코 밀로사브레비치
(Veljko Milosavljević)
2007년 6월 28일 ([age(2007-06-28)]세) 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13 밀로시 벨코비치
(Miloš Veljković)
1995년 9월 26일 ([age(1995-09-26)]세) 39 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6 스트라히냐 에라코비치
(Strahinja Eraković)
2001년 1월 22일 ([age(2001-01-22)]세) 9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18 얀카를로 시미치
(Jan-Carlo Simić)
2005년 5월 2일 ([age(2005-05-02)]세) 6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MF 2 반야 드라고예비치
(Vanja Dragojević)
2006년 1월 11일 ([age(2006-01-11)]세) 0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파르티잔
5 네마냐 막시모비치
(Nemanja Maksimovic)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60 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6 네마냐 구델
(Nemanja Gudelj)
1991년 11월 16일 ([age(1991-11-16)]세) 72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
7 알렉산다르 스탄코비치
(Aleksandar Stanković)
2005년 8월 3일 ([age(2005-08-03)]세) 2 0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8 오그넨 우그레시치
(Ognjen Ugresic)
2006년 7월 15일 ([age(2006-07-15)]세) 1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파르티잔
10 라자르 사마르지치
(Lazar Samardzic)
2002년 2월 24일 ([age(2002-02-24)]세) 1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1 필립 코스티치
(Filip Kostić)
1992년 11월 1일 ([age(1992-11-01)]세) 68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7 데얀 주키치
(Dejan Zukic)
2001년 5월 7일 ([age(2001-05-07)]세) 1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볼프스베르크 AC
20 바실리예 코스토프
(Vasilije Kostov)
2008년 5월 11일 ([age(2008-05-11)]세) 1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W 9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Aleksandar Mitrović) 파일:주장 아이콘.svg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94 5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라이얀 SC
14 미하일로 츠베트코비치
(Mihajlo Cvetković)
2007년 1월 10일 ([age(2007-01-10)]세) 2 0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
18 안드레이 일리치
(Andrej Ilić)
2000년 4월 3일 ([age(2000-04-03)]세) 1 0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19 라자르 란젤로비치
(Lazar Randjelovic)
1997년 8월 5일 ([age(1997-08-05)]세) 1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보이보디나
20 스테판 미트로비치
(Stefan Mitrović)
2002년 8월 15일 ([age(2002-08-15)]세) 1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보이보디나
23 두샨 블라호비치
(Dušan Vlahović)
2000년 1월 28일 ([age(2000-01-28)]세) 40 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일정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유럽 2025년 11월 14일(금) 원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025년 11월 17일(월)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출처: 트렌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5일
}}}}}}}}}}}} ||

1 라이코비치 · 2 파블로비치 · 3 스토이치 · 4 밀렌코비치 · 5 막시모비치 · 6 구델 · 7 블라호비치 · 8 요비치 · 9 미트로비치 · 10 타디치
11 코스티치 · 12 페트로비치 · 13 벨코비치 · 14 지브코비치 · 15 바비치 · 16 미야일로비치 · 17 일리치 · 18 라트코프
19 사마르지치 · 20 세르게이 · 21 가치노비치 · 22 루키치 · 23 바냐 · 24 스파이치 · 25 믈라데노비치 · 26 비르만세비치
파일:UEFA EURO SRB.png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1] 세르보크로아트어 표기 규정에서는 자음 앞 또는 어말의 lj를 'ㄹ'로 적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벨코비치'가 옳다.[2] 2025년 10월 15일 기준[3] 또한, 이 우승은 세르비아 축구 역사상 FIFA 주관 대회 최초 우승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