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제목을 패러디한 SBS의 예능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
- 모바일 게임 Dancing Line의 스테이지: 미운 새끼 오리
- 동명의 2012년 한국 영화: 미운오리새끼(영화)
- 펌프 잇 업의 수록곡: 미운오리새끼(펌프 잇 업)
- 허성현의 동명의 노래: 미운오리새끼(허성현)
- 최예나의 동명의 노래: GOOD MORNING
- god의 동명의 노래: 미운오리새끼(god)
1. 개요
덴마크어 | Den grimme ælling[1] |
영어 | The Ugly Duckling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단편 동화.
'미운 새끼 오리'로도 불리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목 가운데 '새끼'라는 표현을 빼고 '미운 아기 오리', '미운 꼬마 오리'로 부드럽게 순화한 제목을 쓰기도 한다. '동물의 어린 개체'를 '새끼'라고 부르는 게 맞긴 하지만 아무래도 동화 제목치고는 어감이 좀 센 편인데다 새끼라는 단어가 욕설로도 쓰이기에 순화하는 경우.
2. 줄거리
옛날 어느 못가에 금슬 좋은 오리 부부 한 쌍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사랑을 나눈 결실로 알 여러 개를 낳았는데, 유독 크고 못생긴 알 하나가 둥지 틈에 끼어 있었다. 오리 부부는 그 알을 보고 처음엔 의아해했으나 그저 조금 크게 태어난 알일 것이겠거니 치고 별 고민없이 알을 품었다.얼마 후 알들이 모두 부화했는데, 그 중 평범한 새끼오리들과는 달리 회색에 몸집도 큰 못생긴 새끼오리 한 마리가 있었다. 그는 둥지에 있던 가장 큰 알에서 태어난 오리였다. 형제 새끼오리들과 180도 다른 동물들은 모습이 다르고 못생겼다는 이유로 이 미운 오리 새끼를 괴롭혔고, 그 와중에 어미 오리도 처음에는 부드럽게 다독여 주고 위로해 주었지만, 나중에는 점점 주변 시선에 환멸을 느껴 미운 오리 새끼가 좀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다고 대놓고 말해버렸다. 믿었던 엄마마저 모질게 등을 돌리자 큰 배신감과 상처를 받은 미운 오리 새끼는 몰래 무리에서 떠나 자신을 사랑해 줄 누군가를 찾아 떠돌아다니기 시작했다. 그러나 만나는 동물들마다 모두 못생겼다는 이유로 미운 오리 새끼를 외면했고,[2] 결국 사람들이 사는 민가에까지 내려왔다가 허름한 집 한 채를 발견하고 그 안으로 들어갔다. 그 집에는 어떤 할머니 한 분이 살고 있었다. 눈이 어두운 할머니는 미운 오리 새끼를 살찐 어미오리로 보고는 맛있는 오리알을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기뻐하며 미운 오리 새끼를 잘 돌봐 주었다. 할머니의 애완동물들인 암탉과 고양이는 심술쟁이 성격이라서 은근히 샘이 났다. 그래서 암탉과 고양이는 미운 오리 새끼를 못살게 굴었고[3] 미운 오리 새끼는 암탉과 고양이의 등쌀에 다시 가출할 수밖에 없었다.
미운 오리 새끼는 강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바라보며 한탄했다.
"난 태어날 때부터 무슨 죄가 있다고 이렇게 못생긴 걸까? 이런 나라도 사랑해주는 누군가가 있기는 할까?"
그렇게 정처없이 계속 떠돌아다니다 추운 겨울을 어찌저찌 버텨낸 뒤[4] 새해가 밝은 어느 날, 미운 오리 새끼는 여느 때처럼 슬픈 얼굴로 강가에서 강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다 깜짝 놀랐다. 못생긴 새끼 오리는 온데 간데 없고 아름다운 백조의 모습이 비쳤던 것. 혹시 잘못 봤나 싶어서 몇 번 씩이나 눈을 씻고 들여다봐도 강물 속 백조의 모습은 여전했다. 알고 보니 미운 오리 새끼는 오리가 아닌 고니(백조)의 새끼인 것이었다. 그렇게 미운 오리 새끼는 오리보다 못생겼었지만 현재는 오리보다 훨씬 아름다운 백조가 되었다. 백조가 된 미운 오리 새끼는 기쁨에 넘쳐 하늘 높이높이 날아올랐고 같은 백조들 무리에 합류해 행복하게 살아갔다고 한다.
3. 의의
안데르센은 어려서부터 자신의 신분과 주변환경에서 벗어나 더 상위로 올라가려 하는 욕구가 강했고, 이에는 문법학교의 교장이 그의 창작욕구와 작품들을 매도하며 무시하고 악담을 내뱉었던 것도 한 몫 했다.또한 어릴 때 안데르센은 자신이 몰락한 귀족 가문의 자제라고 믿기도 했는데, 안데르센은 키가 크고 마르며 몸짓이 특이해서 튀었고, 문법학교 시절 20살의 나이로 십대의 학생들과 같이 공부했기에 커다랗고 미운 오리 새끼를 안데르센의 자기투영으로 해석하는 관점이 많다.
원판의 대사에서 이런 부분을 더 찾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오리 무리에서 자랐으면 어떠니, 너는 백조 알에서 태어난 존재인데."가 있다.
대놓고 집단괴롭힘을 소재로 만든 느낌이 나서 안데르센 본인이나 지인의 경험을 소재로 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4. 미디어 믹스
}}} ||한국판 OP |
- 꾸러기 수비대 5화에서 다뤄졌으며 잠시 백조가 타조로 변화되었다. 그냥 헤엄을 치게 못하게 만들려던 건지 타조 상태로 빠질 뻔한 걸 구해주는 키키가 그때부터 인간 형태로 변형을 해준다.결말부까지 그 상태였으며 위장해있던 문어 형태의 블랙전사를 똘기가 마초까지 불러서 퇴치한 후 모든건 원상태가 되며 백조도 백조 무리 곁에 돌아갔으며 처음 볼때 눈이 맑다는 걸 알고 있던 백조 무리의 백조를 보며 키키도 안심했다.
- 타임리스 테일즈에서도 애니화했고, 디즈니 1939년 단편 애니 The Ugly Duckling에서는 결말부에서 한 백조 가족을 만나 자신이 사실 아기 백조인 걸 알게 되고, 그 백조 가족에게 받아들여진다.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신 포켓몬인 꼬지보리/스완나도 이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 빈티나/밀로틱도 마찬가지지만 내용에서만 모티브를 따왔다.
- 동화 읽어주는 TV에는 백조가 아닌 칠면조로 바꾼 버전도 있다.
- 헬로키티 명작극장에는 마음씨 착한 한 세 명의 아이들의 아버지가 미운 오리 새끼를 집으로 데려와 보살펴주어 이 집에서 살게 되지만, 이것을 아이들은 미운 오리 새끼를 보고 신이 나서 한 번 만져 볼려고 달려들자 미운 오리 새끼가 아이들을 보고 겁이 나서 집 밖으로 나가 도망친 내용이 있다.
- 2008년에 "미운 오리 새끼와 랫소의 모험"이라는 제목의 영화로도 나왔다. 내용은 랫소라는 쥐가 미운오리새끼를 어쩌다 키우게 되면서 생기는 스토리다. 여기서는 아예 "어글리"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나중에 백조무리를 따라가다가 랫소에게 돌아온다. 국내 더빙판은 웅이 아버지 멤버들을 섭외했다. 그 전에도 TV에서 옴니버스 형식으로 방영한 적 있으며 2016년 5월 4일에 재상영되었다.
- 2023년 유튜버 DaKillaYoshi가 이 동화를 아날로그 호러 스타일로 재정립한 영상을 제작해 올렸다. 제목은 아름다운 백조.이 영상의 특징은 백조 새끼가 오리 무리에서 태어난 원작과 달리 새끼 오리가 백조 무리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로 백조 형제에게 학대와 따돌림에 의해 괴물이 된 오리의 복수다.
만약 당신이 무서운 것을 싫어한다면 절대 유튜브에 검색해서 보지 마라.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 등장하는 설탕흑조 쿠키는 미운 오리 새끼에서 모티브를 따왔는데, 원래는 작은 검은설탕오리였지만 설탕백조 쿠키에 대한 동경 및 열등감으로 인해 지금의 설탕흑조 쿠키로 변했지만 이후 갱생하고 디저트 파라다이스의 또다른 수호자가 되었다.
5. 기타
- 현실의 오리와 고니는 둘 다 오리과라서 색깔과 크기 차이를 빼면 두 종의 새끼의 외형 차이가 그렇게까지 크지는 않다.
- 일부 판본이나 만화에서는 그래도 엄마 오리는 처음부터 끝까지 미운 오리 새끼를 감싸주고 진심으로 사랑해 주며 나중에 고니가 되어 찾아온 미운 오리 새끼를 보고 엄마 오리가 대단히 반가워하며 다른 오리 형제들도 어렸을 때 괴롭힌 일을 진심으로 사과하며 화해하는 설정도 있다.[7] 그리고 미운 오리 새끼의 알의 출처가 원작에서는 불분명한데, 어미 백조가 낳은 알을 독수리가 물고 가다가 실수로 놓쳐버려서 어미 오리의 둥지에 떨어뜨리게 된 것이라는 설정도 있다. 일부 설정에서는 독수리가 떨어트린 알을 다시 물고 가려고 했으나 사냥꾼들에게 쫓겨서 억지로 백조의 알을 놓고 간 것으로 나오기도 했다.
- 과학적 시각으로 보면 조류의 각인 행동과 어미 오리의 모성애로 보았을 때, 미운 오리 새끼는 무리에서 떠나지 않고 백조가 되었어도 독립하기 전까지 어미 오리 근처에서 살 확률이 아주 크며, 형제들도 미운 오리 새끼를 차별하지 않고 그냥저냥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농장에선 오리 가족 사이에 병아리가 끼어 있어도 오리 형제들에게 별다른 차별을 받지 않고 같이 자라는 경우가 많다. 즉 생물학적 고증에 기반해 동화를 쓰면 이 이야기는 의외로 양부모와 입양 가정에 대한 매우 훈훈한 이야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또한 실제 백조 크기는 오리보다 더 큰 데다가 성깔도 심하기 때문에 미운 오리 새끼가 성체(백조)가 되어 돌아와 오리들을 만나면 오리들이 진다.
실제 새끼 백조는 오리 기준으로 보면 돌연변이 같긴 하지만, 인간 기준으로는 추하기는커녕 매우 귀여운 외모다. 이런 녀석을 '미운' 오리 새끼라고 하다니 안데르센은 굉장히 냉혈한이 아니냐는 드립이 나올 정도. 어릴 땐 회색이었다가 크면 흰색이 되는 것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 작품 내에서 미운 오리 새끼가 한 일은 그저 성조가 될 때까지 살아남은 것 뿐이지 자신이 가진 것을 바꾸려는 노력은 하지 못한 게 아니냐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는데, 어미 오리도 다른 동물들도 아무도 도와 주지 않는 야생에서 그 추운 겨울을 혼자 살아남는 것 자체가 엄청난 근성이다. 원문에 분명히 Men det ville blive alt for bedrøveligt at fortælle al den nød og elendighed, den måtte prøve i den hårde vinter (그 추운 겨울을 나면서 오리새끼가 겪은 고통과 비참함을 이야기하기는 너무 불쌍하다.) 라고 나와있어 겨울 동안의 고통은 묘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외모가 별로였던 사람이 급격한 정변을 거쳐 뛰어난 외모로 환골탈태하는 소재라고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며 아이들에게 교훈을 주는 이야기라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결국 외모가 뛰어난 편이 좋다는 외모지상주의로 이어지는 데다가 '미운 오리새끼'가 사실 백조라는 오리와는 차원이 다른 존재였다는 게, 결국 주어진 운명은 바꿀 수 없다는 비관론적인 해석이 가식적이지 않은 해석이라고 보여진다. 현대에 와서는 미운 아기 오리의 인생이 달라진 것은 노력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혈통 때문이라는 암울한 해석도 있다.[9]
[1] 독일어에서 grimme은 '완강한, 어두운'이지만 덴마크어나 노르웨이어에서는 추한의 뜻이 된다.[2] 한 번은 호수 위에서 떠돌아다니던 장난감 오리가 바람에 흔들려서 이 미운 오리 새끼를 부리로 쪼았고, 또 한 번은 사냥개 한 마리가 주인과 함께 사냥 도중 미운 오리 새끼를 보고는 못생기고 별 볼일 없다며 그냥 외면해버렸다(판본에 따라서는 그와 앞에서 대놓고 못생기고 별볼일 없다며 맘껏 비웃으며 디스하면서 망신을 주는 장면도 있다.).[3] 암탉은 알을 낳을 수 있냐고 묻자 못 한다고 했고, 고양이는 쥐를 잡을 수 있냐고 묻자 무서워서 못 한다고 했다.[4] 맹추위 속에서 쓰러진 이 새끼 오리를 보고 귀가하던 한 사냥꾼이 발견하고 본인의 집으로 데리고 가서 정성스럽게 먹여 주고 재워 주었다.[5] 이건 유튜브로도 볼 수 있다.[6] 여기에서는 주인공 페오가 결말부에 자신을 길러준 가족인 농장 식구들에게 돌아간다. 백조 새끼임은 원작과 동일하고 친형제들도 만난다.[7] 심지어 밑의 과학적 시각과 맞물린 판본에는 엄마 오리는 회색에 몸집도 큰 못생겼기 때문에 더더욱 사랑해주지만 이 미운 오리 새끼가 부담감과 자책감에 떠나버렸고 엄마 오리는 이 미운 오리 새끼가 떠나자 크게 낙심한다.[8] 즉, 어미 오리는 물론 백조 새끼의 오리 형제들도 독립 이전까지 같은 가족으로 취급해 주고 돌봐 주는데 정작 백조 새끼는 형제와는 다른 모습 때문에 정체성에 대해 혼란을 겪다가 앞서 서술된 주석처럼 부담감을 느끼고 가출하는 줄거리도 충분히 전개할 수도 있다.[9] 오리와 고니의 급을 나누는 것부터 현대인들 대부분의 암울한 가치관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