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이 소속된 기사단에 대한 내용은 묵시록의 4기사(묵시록의 4기사) 문서 참고하십시오.
묵시록의 4기사 |
등장인물 | 설정 | 애니메이션 (1기 · 2기) |
[[주간 소년 매거진/연재중인 작품|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 중인 작품
]]그 외 작품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묵시록의 4기사 黙示録の四騎士 | |
<colbgcolor=#b80924,#b80924><colcolor=#ffffff,#ffffff> 장르 | 판타지, 배틀 |
작가 | 스즈키 나카바 |
출판사 | 코단샤 학산문화사 |
연재처 | 주간 소년 매거진 |
레이블 | 코단샤 코믹스 |
연재 기간 | 2021년 9호 ~ 연재 중 |
단행본 권수 | 19권 (2024. 11. 15.) 17권 (2024. 12. 05.) 15권 (2024. 11. 25.)[e북]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판타지 배틀 만화인 일곱 개의 대죄의 공식 후속작. 작가는 전작과 같은 스즈키 나카바. 전작이 칠죄종을 소재로 삼았다면 이번 작은 아서 왕 전설과 요한의 묵시록에 나오는 묵시록의 4기사를 소재로 삼았다.2. 줄거리
예언은 내려졌다.
「머지않은 미래, 세계를 멸망시킬 네 사람의 성기사가 나타난다.
─ 그 이름은 <묵시록의 4기사>」.
재액의 싹을 뿌리 뽑기 위해 떨쳐 일어난 것은 아서왕에게 충성을 맹세한 일기당천의 성기사들.
그 여파는 머나먼 변경까지 이르러… 한 소년의 운명을 뒤흔든다!
자기 마음이 시키는 대로 첫발을 내딛는 소년.
그 앞에 기다리는 것은, 꿈인가 희망인가
영광인가 죄인가.
고금무쌍 히로익 판타지 개막!
「머지않은 미래, 세계를 멸망시킬 네 사람의 성기사가 나타난다.
─ 그 이름은 <묵시록의 4기사>」.
재액의 싹을 뿌리 뽑기 위해 떨쳐 일어난 것은 아서왕에게 충성을 맹세한 일기당천의 성기사들.
그 여파는 머나먼 변경까지 이르러… 한 소년의 운명을 뒤흔든다!
자기 마음이 시키는 대로 첫발을 내딛는 소년.
그 앞에 기다리는 것은, 꿈인가 희망인가
영광인가 죄인가.
고금무쌍 히로익 판타지 개막!
일곱 개의 대죄 기사단의 활약 이래 16년 뒤, 엘리자베스와 멜리오다스의 아들인 16살 소년 트리스탄 리오네스는 자신의 꿈인 성기사를 이루고자 아서 왕의 성으로 간다.
허나 당시 브리타니아에서는 알 수 없는 예언이 돌고 있는데 머지않아 세계를 멸할 4인의 기사가 나타난다는 내용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트리스탄은 절친인 란슬롯과 퍼시벌, 여행에 만난 소녀 가웨인을 만나 브리타니아의 카멜롯을 향해 여행을 떠나는데...
3. 발매 현황
01권 | 02권 | 03권 |
파일:黙示録の四騎士3권(정발판).jpg | ||
2021년 04월 16일 2022년 07월 25일 2022년 09월 08일 | 2021년 06월 17일 2022년 11월 25일 2023년 01월 03일 | 2021년 09월 17일 2023년 02월 08일 2023년 04월 13일 |
04권 | 05권 | 06권 |
2021년 11월 17일 2023년 04월 25일 2023년 07월 11일 | 2022년 01월 17일 2023년 07월 25일 2023년 09월 18일 | 2022년 03월 17일 2023년 09월 25일 2023년 11월 08일 |
07권 | 08권 | 09권 |
2022년 05월 17일 2023년 10월 25일 2023년 12월 12일 | 2022년 08월 17일 2023년 12월 25일 2024년 02월 28일 | 2022년 11월 17일 2024년 01월 25일 2024년 03월 15일 |
10권 | 11권 | 12권 |
2023년 01월 17일 2024년 03월 12일 2024년 05월 14일 | 2023년 03월 16일 2024년 04월 04일 2024년 06월 19일 | 2023년 06월 15일 2024년 05월 07일 2024년 08월 12일 |
13권 | 14권 | 15권 |
2023년 08월 17일 2024년 07월 04일 2024년 09월 10일 | 2023년 10월 17일 2024년 09월 10일 2024년 11월 01일 | 2024년 01월 17일 2024년 10월 15일 2024년 11월 25일 |
16권 | 17권 | 18권 |
파일:黙示録の四騎士18권(일판).jpg | ||
2024년 04월 17일 2024년 11월 07일 | 2024년 06월 17일 2024년 12월 05일 | 2024년 09월 17일 |
19권 | 20권 | 21권 |
2024년 11월 15일 | | |
22권 | 23권 | 24권 |
| | |
4. 특징
전작 일곱 개의 대죄로부터 16년이 흐른 시점이라고 한다. 전작의 등장 인물들이 언급되거나 등장하고, 전작 초반부 스토리 진행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마신족 봉인도구 <영원한 어둠의 관>도 중요한 물건으로 등장한다. 멀린 관련 이야기 등[2], 전작에서 풀리지 않은 떡밥과 요소들을 여기서 회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주인공 일행이 초반부터 강자 위치에 있던 전작과는 달리, 묵시록의 사기사의 주인공 퍼시벌과 그의 동료들은 강자의 위치에 있지는 않다. 퍼시벌은 묵시록의 사기사라는 예언된 존재로서 뛰어난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지만 아직 카멜롯 상위권 성기사들에게는 상대가 안 되고, 나시엔스와 앤은 특기를 지녔지만 크게 강한 편은 아니다. 도니의 경우 아예 성기사 낙제생이어서 최약체다.
덕분인지 최후반부에서 파워 인플레가 넘쳐났던 전작과는 달리 파워 밸런스가 적절하게 맞춰졌다. 완성형 주인공이자 강자여서 기본적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하는 일이 많던 멜리오다스와 달리 퍼시벌은 동료들의 도움을 받고 작전을 펼쳐야 간신히 적을 쓰러뜨린다.[3]
게다가 전작 인물들에 대한 존중도 호평받을 만한 요소다. 보통 다른 후속작에서 2세대를 띄워주기 위해 전작 세대들을 홀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작품은 2세대도 띄워주지만 전작 세대들도 존중해서 전작 세대 우대도 이 작품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전작인 일곱 개의 대죄에서는 과거 회상이나 코란도전 한정으로 주역들이 성기사 갑옷을 착용한 반면 본작에서는 성기사를 비롯한 대부분 등장인물의 갑옷 착용 빈도가 늘었으며 대척점인 카멜롯 기사들은 아예 얼굴을 비추지 않는 요소로 꽁꽁 싸매여 각각 인물의 개성적인 투구 디자인으로 캐릭터를 연출했다.
5.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묵시록의 4기사(만화)/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6. 설정
일곱 개의 대죄/설정과 공유한다.6.1. 묵시록의 4기사
6.2. 지역
- 신의 손가락
퍼시벌과 바르기스가 살던 곳이다. 퍼시벌의 집이 있던 곳은 구름 위에 있으며, 천공섬도 미약하게나마 보일 정도의 높은 상공에 있다. 퍼시벌이 내려가는 과정을 보면 일반인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건 엄두도 못한다.
- 메아리의 골짜기
나시엔스와 처음 조우한 골짜기다.
- 시스타나
영주 카르덴이 다스리는 마을.
- 카멜롯 왕국
아서가 국왕으로 있던 왕국. 전작 마신왕과의 싸움의 여파로 황폐화되고 멸망했다고 한다. 아서는 멀린과 무명을 포함해 살아남은 신하들과 백성들을 데리고 어딘가로 모습을 감췄다고 한다. 전작으로부터 16년이 지난[4] 후엔 카멜롯의 존재를 모르는 이도 나오고 있다.
- 리오네스 왕국
전작 일곱 개의 대죄의 주 배경이 되었던 왕국. 현재 전작의 주인공 멜리오다스가 국왕으로 군림하고 있다. 왕비는 당연히 엘리자베스. 카멜롯의 성기사들이 리오네스를 토벌해야 한다고 백성들을 선동하고 리오네스 성기사들에게 우리의 신분을 알면 살육전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하는 것을 보아 아서가 흑화한 이후의 카멜롯과는 사이가 매우 험악하다.
- 칸트
여관 마을로 유명한 곳이지만 현재는 도적들에게 점령당했다.
- 다르프레아 산맥
밤에 자신의 미래의 연인을 볼 수 있다.
- 마신족들의 마을
- 수정 동굴
마신족들의 마을 근처에 있는 복잡한 수정으로 이루어진 동굴로 에드백이 은신처로 사용하고 있다.
- 다르크문트
리오네스 인근의 소국으로 그리아몰이 다스리고 있다고 한다. 2부 시점에선 아서의 만행으로 인해 통째로 카멜롯으로 사라져버린다.
- 월낙
일명 '벽의 마을'로, 리오네스와 달말리 마을의 중간지점이다. 무역품을 나르는 중요한 중개지점 때문에 타국이나 산적들에게 공격을 받아, 이를 막기 위해 성벽과 같은 외벽으로 이루어졌다. 그 때문에 마을 내부 역시 건물이 높고 길도 좁은 편이다. 마을의 문은 2개밖에 없으며, 밤이 되면 닫는다. 그 외에도 1년에 1번씩, 죽은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진혼제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