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9:03:50

무하한 술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죠 사토루
1. 개요2. 파생 술식
2.1. 술식 순전 창2.2. 술식 반전 혁2.3. 허식 자

1. 개요

파일:무하한 술식 애니버전.gif
無下限呪術
Limitless
[1]
"고죠 사토루의 술식은 무하한. 시공간을 지배하는 능력이다."
주술회전 0, 고죠 사토루의 능력 설명 중
고죠 가의 상전 술식. 정식 명칭은 '무하한 주술'이지만 대개 약칭인 '무하한'으로 불린다. 가문 내에서 무하한 주술을 타고난 술사가 더 있긴 하지만 워낙 다루는 게 어려운 탓에 육안을 통한 원자 레벨의 주력 조작이 없으면 쓸 수 없다. 따라서 당대 고죠 가에서 무하한 주술을 다룰 수 있는 사람은 육안을 가진 고죠 사토루 단 한 명 뿐이다. (단행본 2권 부록)[2]

간단히 말해서 무한(無限)의 개념을 이용해 공간을 다루는 능력으로, 기본적인 성능만으로 세계관 최강급 술식이란 평가를 받는다.[3][4] 저주의 왕 료멘스쿠나와 싸우던 고죠 본인 또한 '술식의 성능으로는 내가 압도적으로 우월하다'고 자평했다.[5]

일단 기본적인 구조는 0으로 수렴하는 무한급수와 비슷하며, 이를 대상의 속도에 적용시키는 것으로 자신에게 가까이 다가올수록 느려지게 만든다.[6] 쉽게 말하면 무하한 배리어(혹은 구체)에 닿은 상대의 속도를 감소시켜 정지시키거나 오히려 마이너스로 까서 자신에게 날아왔던 대상을 뒤로 튕겨나가게 한다. 이는 대상의 속도에 간섭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대상에게만 효과가 발동하며, 결국 발동 중에는 어떤 공격이든 일정 거리 안으로는 절대 다가올 수 없게 되는 무적 상태가 되며, 무하한이 발동하는 동안은 무슨 짓을 해도 고죠에게 피해를 입힐 수 없다. 돌파 방법은 영역 전개의 필중 효과나 영역 전연, 혹은 특수한 주술이나 특급 주구로 술식 그 자체에 간섭하는 것 뿐이다.[7] 게다가 장인을 생략하고도 사용할 수 있다.[8][9]

기본 성능이 무적이라는 규격 외의 술식이니만큼 엄청난 사용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인 무하한 배리어를 다루는 것조차도 원자 단위의 주력 컨트롤이 필요해서 육안이 없다면 사실상 무용지물이며, 설령 갖췄다해도 뇌에 가하는 부담이 여타 술식보다 훨씬 심하기 때문에 반전 술식이 없으면 체력 소모가 심하다.[10] 결국 사기급 술식인 것은 맞지만 이론상 최대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조건은 상당히 까다로운 것. 작중에서 고죠가 보여주는 압도적인 능력은 끝없는 연구와 발전으로 그 모든 조건을 전부 클리어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무하한 발동 중에 고죠가 물체에 다가가거나 출력을 더 올릴 경우 상대 물체가 밀려나게 된다. 무하한 자체가 일중의 투명한 배리어[11]라 가능한 것. 심지어 뒤에 벽이 있어도 막히지 않고 벽이나 물체 중 한 쪽이 부서질 때까지 밀려난다. 시부야 사변 당시 하나미를 제령할 때 이 특성을 이용해 술식의 출력을 올린 채로 벽으로 밀어붙여 말 그대로 묵사발을 냈다.

아래에 나오는 기술들은 이 무하한을 주술로 조작하여 응용하는 것이며 간단하게 멈추는 힘(무하한), 당기는 힘(창), 밀어내는 힘(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과 혁을 충돌시켜 가상의 질량을 쏘아내는 기술(허식 자)도 존재한다.

여담으로 [ruby(「창」, ruby=아오)][ruby(「혁」, ruby=아카)]은 똑같이 무하한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기 때문인지 주사(呪詞)의 첫 부분이 '위상(位相)'으로 같다.[12][13]

2. 파생 술식

2.1. 술식 순전 창

파일:고죠_사토루_술식순전_아오_00.png}}} ||
"위상(位相), 황혼(黄昏), 지혜의 눈동자."
▶ 235화에 나온 술식 순전 [ruby(「창」, ruby=아오)]주사(呪詞)

: 0으로 수렴하는 무하한 주술을 주력으로 더욱 강화시켜 0이 아니라 -, 음수까지 도달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생성된 허공으로 인해 인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해 대상을 자신 쪽으로 끌어당기거나 원거리에 중심을 생성해 투사체를 만들고, 자신을 끌어당겨 고속 이동을 하거나 상대를 끌어당기는 동시에 타격을 가해 위력을 극대화하는[14] 등 사실상 염동력이나 다름없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평소에 공중에 떠 있는 것도 창을 이용한 기술이다. 학창 시절에는 반전 술식을 터득하지 못한 관계로 이 술식을 주로 썼는데, 당시에는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강해서 문제가 없었지만 사실 단점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물리력은 행사할 수 있어도 「혁」과는 달리 직접적인 대미지는 주지 못하고 출력의 상한선도 낮아서 상대를 이리저리 끌고 다니거나 붙잡아둔 뒤 본인이 직접 접근해 후드려 패는 식으로만 공격하는 등, 높은 활용도와 반비례해 직접적인 위력은 낮은 기술.[15]
* 술식 순전 출력 최대 [ruby(「창」, ruby=아오)] (術式順転 出力最大 「蒼」)
파일:고죠_사토루_술식순전_출력최대_아오_00.png파일:술식순전 최대출력 아오.gif}}} ||

: 토우지와의 대결에서 사용한, 창의 출력을 더 높여 공격용으로 사용하는 기술. 원거리에 인력의 중심점을 만든 뒤 그 상태로 휘두르는 것으로 주변에 있던 장애물들을 전부 쓸어버렸다. 출력이 높아진 상태이므로 주변의 사물을 끌어당기는데, 십종영법술의 식신 네 마리가 융합된 감합수 악토도 최대 출력 아오에 정통으로 휘말리자 고기완자처럼 뭉쳐져 파괴되었다.

2.2. 술식 반전 혁

파일:술식반전 혁.jpg파일:고죠_사토루_술식반전_아카_애니메이션_00.gif}}} ||
"위상(位相), 바라밀(波羅蜜), 빛의 기둥."
▶ 233화에 나온 술식 반전 [ruby(「혁」, ruby=아카)]주사(呪詞)

: 「멈추는 힘」인 무하한에 주력을 흘려보내 강화시키면 술식 순전 창[16]이 되고, 반전 술식을 적용하면 술식 반전 혁[17]이 된다. 최소 출력은 창의 2배로, 단순히 척력을 방출하는 것만으로 전방을 쑥대밭으로 만드는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한다. 극장판에서는 손바닥 크기 정도로 방출하자 건물만한 거대 주령이 반토막나고 그 여파로 주변에 있던 고층 건물들의 유리가 전부 다 박살났다.[18] 창보다 출력의 상한선이 훨씬 높으므로 공격용으로 적합하긴 하지만 하한선도 과하게 높아 「창」 같은 섬세한 운용은 불가능하다.
반전 술식의 특성상 난이도가 있어서[19] 학창 시절의 고죠는 혁을 쓰려다 불발되자 창을 주로 썼지만[20] 후시구로 토우지와의 싸움에서 반전 술식을 터득했고 그 직후 창과 혁을 합친 허식 '자'로 마무리지었다.

2.3. 허식 자

파일:고죠_사토루_허식_무라사키_00.png파일:허식 무라사키 애니메이션.gif}}} ||
살짝 난폭한 짓 좀 해볼까?
"구강(九綱), 편광(偏光), 까마귀와 성명(聲明), 표리의 틈새."
▶ 223화에 나온 허식 [ruby(「자」, ruby=무라사키)]의 주사(呪詞)

: 고죠 가에서도 극히 일부만 그 존재를 알고 있는, 무하한 주술의 오의. 서로 상반되는 창과 혁의 무한이 합쳐서 생겨나는 가상의 질량을 쏘아내는 기술.
학창 시절 토우지와의 싸움에서 「혁」을 습득하자마자 곧바로 응용했다.[21] 천역모를 들고 있었음에도 무력화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아서는[22][23] 주력 외의 작용으로도 저만한 위력이 나는 모양이다.[24]
작중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하는 파괴력을 지닌 기술로 특급 주령은 물론이고 천여주박으로 인해 초인의 육체를 가진 후시구로 토우지조차도 해당 공격을 맞고 상반신의 절반이 꿰뚫리며 패배했다. 특급 주령인 하나미가 도주를 시도하던 중 살짝 빗겨맞은 정도로도 상반신이 날아가고 행동불가 상태에 빠질 정도로 막강한 위력을 자랑한다.
파일:고죠 무제한 무라사키2.png}}} ||
특히 최대 출력[25]으로 시전한 무제한의 허식 [ruby(「자」, ruby=무라사키)]는 일격에 신주쿠 일대와 함께 마허라를 대파하고 세계관 최강자인 스쿠나조차도 걸레짝[26]으로 만들 정도의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갖췄다.[27] 또한 스쿠나는 고죠와 육탄전을 주고 받는 내내 허식을 경계하며 그 위력을 간접적이게나마 증명하기도 했다.[28]



[1] 영문 번역은 한계가 없다는 뜻으로 번역하여 Limitless이다. 다만 보통 한계가 없다고 하면 상한선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무하한은 오히려 하한선이 없어서 무한히 0에 가까워진다는 뜻이다.[2] 술식의 비정상적인 정교함 탓에 스쿠나의 참격도 한 번만에 적응한 마허라도 고죠의 술식에 적응할 때까지 법진이 4번이나 돌아갔고 무엇이든 봉인할 수 있는 옥문강마저 무하한을 보유한 고죠의 정보량을 감당하지 못해 일시적으로 이동 불가 상태가 되기까지 했다.[3] 성능적으로 대등하거나 대항이 가능하다고 언급된 술식은 젠인가의 상전 술식인 십종영법술타카바 후미히코의 생득 술식인 초인 정도뿐이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후시구로 메구미는 아직 역량이 부족해 잘해봐야 마허라를 이용한 동귀어진이 전부인 상태고, 후자는 타카바의 역량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술식의 성능을 대가로 타카바가 술식의 원리와 잠재력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다. 그러나 고죠 사토루는 육안을 통해 술식의 원리를 완벽히 이해하고 있는데다 본인의 역량도 뛰어나 응용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4] 단 십종영법술의 경우 스쿠나와 같이 기본적으로 강력한 주술사가 사용할 경우 식신들을 조복하고 계승되며 점점 강해진다. 현 시점까지도 한계선이 언급되지 않는 상황이기에 스쿠나가 어떻게 사용하는 지에 따라서 이 평가가 변할 수도 있다. 실제로 고죠와의 결전 내내 십종영법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작가의 연출에 비판이 생기는 상황. 그나마 이 십종영법술조차도 어주자라는 제 2의 수단이 남은 상태에서 압도적인 강함을 가진 스쿠나가 썼으니 위협적이었을 뿐 후시구로가 마허라까지 조복했다고 쳐도 고죠가 마허라를 자력으로 쓰러뜨린 시점에서 단독으로는 무하한에 밀린다고 봐야한다.[5] 고죠는 일인칭으로 보쿠, 스쿠나는 오레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죠 본인의 술식에 대한 언급이 맞다. 실제로 스쿠나의 어주자가 성능 자체는 출중하나, 본질적으로 참격이기 때문에 무하한 주술 같은 다방면의 응용은 어렵다. 엄청난 위력도 주술 자체의 성능이라기 보다는 스쿠나의 방대한 주력량과 신기에 가까운 주력 조작에 의한 것에 가깝다.[6] 주술회전 자체가 불교적인 모티브가 많은 작품인지라 앙굴리말라가 아무리 달려도 앞에서 걷고 있는 부처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는 일화도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7] 전혀 예상치 못한 공격을 가한다면 통할 수도 있다. 무하한은 기본적으로 대상의 속도를 0으로 수렴하게 하는 주술이므로 일괄적으로 모든 것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한 대상에게만 효과가 나타난다. 고죠는 기본적으로 술식을 자동화하여 일정 이상의 주력이나 질량, 속도를 가진 공격을 전부 막아내고 있는데 이런 자동-수동 대상 지정에서 전부 벗어날 경우엔 뚫릴 수밖에 없다. 물론 강한 주력이나 물리력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상대에게 즉시 영향을 줘야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이라 작중에서 이런 케이스는 하나미가 사용했던 환영 술식이 유일했다. 이런 경우에도 고죠가 그 공격을 대상에 넣으면 무력화되니 두 번 먹힐 방법도 아니다.[8] 단행본 9권 76화 옥절편에서 언급.[9] 223화에서 주사, 장인 등 술식의 구성 혹은 발동시킬 때의 수순을 얼마나 생략하는게 가능하냐가 술사의 역량을 결정짓는다고 한다. 반대로 생략하지 않고 주술을 의식으로 승화시키면 더 높은 효율의 주술을 발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때문에 223화에서 우타히메와 고죠 둘 다 모든 과정을 포함시켜 술식을 발동했다.[10] 지금의 고죠가 무하한 배리어를 24시간 돌리고 있는 건 반전 술식이 있기 때문이지, 안 그러면 애저녁에 뇌가 홀라당 타버렸을 것이라고. 즉, 반전 술식이 엇다면 필요할 때마다 잠깐잠깐만 돌리는 HP 손실을 각오한 긴급 방어 기술에 가까운 셈.[11] 이건 vs 토우지전에서 깨지는 묘사가 직접적으로 나왔다.[12] [ruby(「창」, ruby=아오)]: 위상(位相), 황혼(黄昏), 지혜의 눈동자 / [ruby(「혁」, ruby=아카)]: 위상(位相), 바라밀(波羅蜜), 빛의 기둥.[13] 허식 [ruby(「자」, ruby=무라사키)]의 경우는 '창'과 '혁'을 충돌시켜 생성해내는 2차적인 질량이기에 주사에 '위상'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4] 이를 직접 맞아본 하카리는 「평범하게 맞았는데도 카운터를 맞은 기분」이라고 묘사했으며, 이타도리의 회상 속 나나미는 고죠는 타인의 크리티컬 히트를 마치 잽날리듯이 쓴다며 주술사가 되려면 자신과 고죠를 비교해선 안 된다고 충고했다.[15] 어찌보면 경정권처럼 못 하면 못 하는대로 활용하면서 생긴 악습. 그나마 출력을 최대로 올리면 인력으로 찌그러뜨릴 정도의 대미지를 줄 수 있었다.[16] 대상을 끌어 당기는 힘[17] 대상을 튕겨내는 힘[18] 이치지는 이 광경을 목도하고 고죠씨가 화났다며 경악했다.[19] 주술의 근원인 주력은 부정적인 감정에서 나오는 것인데 반전 술식은 그 반대의 힘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말이 쉽지 애초에 긍정적인 감정에서 주력을 끌어내는 건 불가능하기에 실제로는 주력 조작을 통해 마이너스 성질의 주력을 플러스로 바꾸는 고난도의 작업을 거쳐야 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불로 물건을 태우는 행위는 통상적인 순전 술식, 불로 불을 끄는 행위는 반전 술식이라 볼 수 있다.[20] 창은 부정적인 힘을 극대화시킨 순전 술식이니 상대적으로 난이도는 낮고 활용도가 높았던데다 당시 고죠로서는 혁을 써야 할 정도로 강한 상대도 없어서 딱히 문제 될 일은 없었다.[21] 현재와 학창 시절에 사용한 '자'의 크기는 천지차이이다. 학창 시절에 사용한 「자」는 토우지의 상처로 보아 인간의 상반신보다 조금 작은 크기였으나 현 시점에서 사용한 「자」는 숲을 갈아버릴만큼 거대했다. 아마 학창시절 썼던 「자」는 최소한 배구공이나 농구공같은 크기였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고죠 본인보다도 훨씬 거대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이조차도 가볍게 사용한 거고, 전력으로 쓴다면 훨씬 더 큰 크기도 가능하다.[22] 혁이나 창이 화염방사기라면 자는 붙은 투사체라고 볼 수 있다.[23] 혁만 해도 천역모의 날로 제대로 방어했음에도 나가떨어질 정도였다. 게다가 당시에는 공중에 있는 고죠에게 대항하기 위해 만리사슬 끝에 매달아 사거리를 늘려 사각 공격을 노리려 투척한 탓에 천역모를 방어에 쓸 수 없는 상황이기도 했다.[24] 혁에 대해 알고 있던 토우지는 혁은 천역모를 방패삼으면 밀려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었는데, 만약 허식 자의 위력이 순수 주술이라면 「혁」처럼 천역모로 막아내지 못할 리 없다.[25] 4연속 흑섬으로 주력 정밀도가 상상도 못하게 올라간 상태에서, 지향성을 없애고 전방위로 폭발시켜 출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렸다..[26] 무려 손가락 19개에다 즉신불까지 먹고 생전의 주력량을 되찾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주사를 영창한 상태에서 지향성을 없애고 전방위로 발사하며 자신도 피해를 받는 최대 출력의「자」에게는 큰 피해를 입었다. 다만 이는 출력으로 방어를 뚫은게 아닌 방어를 못하고 맞았을 경우다. 당시 상황은 천혈로 방해하려다 실패해서 방어도 못하고 그대로 맞았던 상황이였다.[27] 이 때의 여파로 스쿠나의 반전술식의 출력이 떨어질 정도로 큰 피해를 입혔다.[28] 많은 사람들이 200%를 경계한 것이라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불법 번역본의 오역이며 원문에는 '100%의 출력이라 할지라도' 치명상이 될 것이다란 뜻이므로 고죠 본인의 출력을 경계한 것이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