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00:24:44

묘우기

妙義

1. 개요2. 이니셜D에서의 묘사
2.1. 기본 설명2.2.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2.3. 서킷형 (버전1~3)2.4. 편도형 (버전4 이후)2.5. 진 묘우기 (스페셜 스테이지)2.6. 버전별 상세 정보

1. 개요

파일:external/grand-touring-japan.travel.coocan.jp/DSC_8210myogi-s.jpg


'3분 고개 시리즈' 중 묘우기산 영상

실제 고갯길 전체 오르막/내리막 주행 영상
링크를 누르면 이니셜D 만화기준 코스를 확인할 수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장음을 쓰지 않고 '묘기산'이라고 해야 한다.

군마현에 존재하는 바위산. 일본 3대 절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곳으로, 바위로 이루어진 여러 봉우리가 있다. 예부터 죠모산잔(上毛三山)으로 쏜꼽혀, 하루나/아카기와 함께 영산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일본 3대절경으로도 꼽힌다.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나카노타케(中之嶽) 신사는 군마의 관광지이다.

원래대로라면 그냥 시골 관광지에 불과했을 테지만, 오르내리는 고갯길이 예전부터 중고속 복합 커브의 조합으로 유명하여 군마 지역 하시리야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면서 좀 이상한 방향으로 유명해졌다. 그리고 이니셜D에서 Night Kids의 홈코스로 설정되어 아예 완전히 하시리야들의 성지로 추대받기까지 이른다.

하시리야들의 성지가 된것은 이니셜 D보다 훨씬 이전의 단계로, 묘우기, 하루나, 아카기를 엮어 군마지역 랠리를 몬트레(Montres) 라는 이름으로 진행한 것이 1984년부터 2003년까지의 일이다.# 역으로 이니셜D가 당대의 하시리야들을 충실히 묘사했다고 봐야 할것이다.

2. 이니셜D에서의 묘사

파일:attachment/묘우기/MYOUGI1.jpg파일:attachment/s_myogi.gif
버전1 ~ 버전3 (psp 버전 포함)스페셜 스테이지의 추가 코스인 진 묘우기. 4 이후로 확정된 코스의 모체가 되었다.[1]
파일:myogi_01.jpg파일:attachment/묘우기/MYOUGI2.jpg
버전4[2]버전5 ~ THE ARCADE[3]
이니셜D 역대 등장 코스
군마 도치기 사이타마 이바라키 가나가와
아키나 호수1
#s-2
아카기
아키나
우스이
군사이1
모미지라인
시오나2
이로하자카
하포가하라
마세2
사다미네
쇼마루
츠치사카
츠쿠바 나가오
나나마가리
야비츠
츠바키라인
하코네
오다와라1
마나즈루1
<colbgcolor=lightgray,#2c2c2c>1 원작에 나오지 않는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전용 코스
2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미등장 코스
3 이니셜D 더 아케이드 시즌 3 전 코스 타임어택 랭킹 표

2.1. 기본 설명

Night Kids의 홈그라운드. 다운힐은 쇼지 신고가, 힐클라임은 나카자토 타케시가 각각 담당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꽤 리드미컬하고 험난한[4] 절벽 옆에 중고속 커브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여러 하시리야 팀들의 홈코스다.

2.2.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

서킷형 코스던 고갯길형 코스던 공통적으로 출발점에 신사 입구가 자리하고 있고, 거대한 붉은색 토리이가 세워져 있다.

2.3. 서킷형 (버전1~3)

게임에서는 홈코스 팀인 나이트 키즈가 동네북이라 그런지 헤어핀 1개짜리 서킷형 EASY코스로 리메이크되어 버렸다. 헤어핀 1개를 제외하면 모든 코너를 풀액셀로 돌 수 있었으며, 그나마도 특화 차량들의 경우 헤어핀마저도 풀액셀로 도는 라인이 존재해 그냥 차폭 잡기와 라인 연습용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그나마 PS2 소프트인 SP에서 등장한 '진묘우기'가 묘우기 전체 코스의 중반부 7km 정도를 잘라 구현한 덕분에 완전 초보자 딱지를 면한 상황.

속도감이 제일 높아 차량별 가속력과 최고속도, 헤어핀에서의 코너링 성능을 시험해 볼 수 있었기에 초보자용 코스 치고는 고수들의 기록 경쟁이 상당히 치열했다. 특히 정말 미세한 가속력과 최고속도의 차이, 보정 유무때문에 0.01초 단위의 차이가 나기도 했고, 헤어핀마저도 풀악셀 공략이 가능했던 만큼 정말 TAS에 가까운 레코드 라인을 타기 위해 가드레일에 더블 크래쉬를 낼 기세로 라인을 타이트하게 잡는 등 이후 등장할 테크니컬 코스들과는 또 다른 지옥을 맛볼 수 있었다.

2회차부터는 라이벌들의 랩 타임이 조금씩 줄어드는 공도 모드 뿐만 아니라 분타 챌린지에서 임프레자를 타기 시작하는 분타를 상대하면 언급한대로 왜 이 초보자 코스에서 레코드 라인을 칼같이 타야하는지 체감할 수 있다. AI들은 무조건 지정된 랩타임에 맞춰서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AE85를 탄 이츠키도 8주차에서는 분타나 다름없는 가속력과 최고속도를 자랑하며, 마지막 상대인 나카자토나 레벨 30 분타 챌린지를 해보면 별거 아닌 코스인데도 모든 구간을 칼같은 레코드라인 타기와 블로킹에 집중해야 하는 지옥의 맵으로 변모하기 때문이다. 특히 레벨 단위로 분타의 골인이 빨라지는 분챌의 특성상, 레벨 20 중후반부부터는 선먹고 째거나 똥침을 놓기는 커녕 따라가기도 벅차진다. 이때문에 레벨이 30까지였던 버전2의 분챌을 도전할때도 묘우기와 우스이는 하지마라가 암묵의 공략법이었다. 정확히는 차 한대 새로 뽑고 분챌 노가다로 풀튠을 노린다면 묘우기와 우스이 만큼은 적당 레벨까지만 하고 다른 코스로 노가다를 하라는 것. 애초에 99만점 풀튠 차량으로도 분타의 임프레자를 따라가다 분타가 살짝 느려지는 특정 지점에서 겨우 차 앞대가리를 내밀어야 이길까 말까하는데 풀튠도 안된, 풀튠을 위한 노가다 중인 차량으로는 도저히 극복 불가능한 벽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버전3부터는 분챌의 레벨이 절반이 15로 줄고 골인 랩타임도 어느정도 조정되었다.

원작에서 케이스케가 나카자토를 역전할때 사용한 인도타기 드리프트는 인도가 없는 이 코스에서는 불가능하다.
덤으로 공도 모드에서 이 코스를 달리는 이츠키와 타케시의 스타트 대쉬는 게임 내 라이벌 중 최강을 달린다. 특히 타케시의 경우, AI 보정이 강한 버전5에서는 아예 섹션 종료까지 가속 보정을 받는 미칠듯한 강력함을 자랑한다. 버전 3에서는 팀 리더격 인물들이 죄다 아키나로 배정되어 신고가 보스인데, 특히 두 번째 바퀴에서 엄청난 속도 보정을 받아 공도 8주차 정도 되면 분타 챌린지의 고레벨과 거의 비등비등한 난이도가 된다.영상 다만 2랩에서의 미친 페이스에 비해 3랩에서 조루 보정이 빠지는 배려가 설정되어 있기는 하다.

2.4. 편도형 (버전4 이후)

버전 4에서는 드디어 초보자용 코스의 탈을 벗고 중급자용 코스로 한단계 격상되었다. 덤으로 코스 레이아웃은 SP의 진묘우기에서 헤어핀 몇 개를 더 추가한 전체 코스의 축약 버전으로 변경.
전체적으로 도로폭을 크게 넓히고 일부 코너의 R을 크게 키워 주기적으로 헤어핀이 반복되는 형태의 리드미컬하면서도 속도감이 적당히 높은, 버전3까지의 우스이를 대체하는 포지션의 코스로 자리잡았다.

또한 다운힐 기준 첫 코너의 바깥쪽 인도에 올라타는 판정이 추가되어 원작에서 레드 선즈와 나이트키즈의 교류전 에피소드에서 나온 케이스케의 인도 타기가 드디어 시도가 가능하다. 다만 아키나의 도랑타기처럼 페널티 삭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그저 원작 재현 요소에다가, 게임에서의 묘우기는 도폭이 넓어서 굳이 인도를 타지 않아도 역전하기에 충분한 여유가 있다.

버전 7에선 나카자토와 신고가 각각 힐클라임 / 다운힐을 맡고 있는데 나카자토가 워낙 어려워서 솔직히 마지막 상대보다 더 어렵다는 평도 많다. 이츠키 또한 보정이 붙는데, 덕분에 게임 내 최약의 상대임에도 불구하고 보정 때문에 따라잡지 못하는 아이러니를 종종 볼 수 있으며 날씨 설정이 사라지고, 비 코스가 따로 분리된 것도 아니라서 타쿠미 VS 켄타 때 상태를 재현할 수 없다.

참고로 버전4 당시의 모습과 버전5 이후의 모습이 조금 다르다. 다운힐 기준 1섹션의 3연속 헤어핀을 비롯해 군데군데 코너의 형태를 다시 손보았는데, 버전4의 코스는 너무 넓어서 코너링 실패시 얻는 페널티가 전무한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버전4 초창기와 카이 업데이트버전 둘 다 언더/오버 스티어가 나기 쉬운 반면 코너 CP만 잘 공략하면 언더가 나든 오버가 나든 부딫힐 일이 없었기 때문에, 괜히 감속해서 속도 떨굴 바에야 그냥 풀악셀+풀타각 스티어링으로 언더/오버 띄우고 코너 탈출까지 슬라이드해버리는 유저들이 많았다. 감속과 코너링이 중요해진 버전5부터는 코너 입구와 탈출구가 상당히 타이트하게 설정돼서 드리프트 발동 실패 페널티를 먹기 쉬워졌다. 사실상 버전4의 물리 엔진을 기준으로 만든 코스라 이후 버전5부터는 코스 레이아웃을 더 조정했음에도 코너링이 다른 초상급 코스들 못지않게 빡빡한 편이라, 시리즈를 오래 즐긴 올드비들이 역으로 기존의 고난이도 코스보다 묘우기 같은 코스에서 애를 먹기도 한다.

특히 헤어핀을 기준으로 자잘한 코너를 완만한 직선으로 펼쳐두면서 헤어핀 공략에 중점을 두게 바뀐 레이아웃덕분에, 버전4에서는 코너링시 언더/오버가 심한 차량들도 어느 정도 속도빨로 극복가능했던 구간이 버전5부터는 코너링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직선에서 보너스 손해를 보면서 속도가 안나도록 바뀐탓에 중급 난이도 치고는 코너링 실력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코스가 되면서 원작의 타쿠미가 한 대사인 "우스이와 리듬감이 비슷하다"[5]는 평가를 뒤집어버렸다.

2.5. 진 묘우기 (스페셜 스테이지)

PS2용 이식판 스페셜 스테이지에만 추가된 한정 코스. 버전4 이후 수록된 묘우기의 원본격 코스이며, 실제 레이아웃을 그대로 따온 덕분에 버전4 이후의 묘우기를 먼저 접하고 진 묘우기를 달리는 사람이라면 상당히 어색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실제 도로보다 전장이 살짝 축소되고 낮 컨디션이 없는 탓에 모든 코너들이 타각을 주기 애매하면서도 묘우기 특유의 절벽을 가로지르는 절경의 느낌보다는 아키나와 하포가하라를 섞은듯한, 섹션별 특징이 도드라지지 않는 애매한 리듬감을 가진 코스이기도 하다. 대신 원작에서 타쿠미의 발언처럼 우스이같이 좁은 도로와 쉴새없이 좌우로 몰아치는 코너들 덕분에 기존 코스에 익숙한 고수들 입장에서는 꽤 흥미로운 코스로 뽑히는 듯.

스토리 모드에서는 나이트 키즈와 교류전을 벌이는 케이스케, 교류전을 구경하러 갔다가 켄타의 복수전을 받아들인 타쿠미의 입장 둘 다 플레이가 가능하다. 케이스케의 경우에는 마지막 섹션 이전에 추월하면 패배 판정이 나는지라 마치 쿄이치의 카운터 어택을 시도하듯 마지막 섹션 전까지 나카자토의 R32를 열심히 똥침을 놓아야 하고, 타쿠미는 뒷좌석에 앉은 이츠키가 코너마다 비명을 질러대는지라 플레이에 집중이 안된다(...).

공도 모드에서는 서킷형 묘우기에서 플레이어에게 패배한 나이트 키즈 2인방이 다시 재대결을 신청한다는 설정으로 하포가하라 다음 코스로 해금된다. 이때 플레이어와는 묘한 친분을 쌓았는지 신고의 경우 진 묘우기에서 첫 대결을 하더라도 상당히 반갑게 맞이해주며, 음흉하게 비웃던 초반과 달리 자신의 그런 모습을 후회하며 제대로 된 배틀을 하고싶다는 뉘앙스로 말하는 등 모르는 사이에 친구에 가까운 사이가 된듯 하다.

버전4 이후로 추가된 묘우기는 이 진묘우기의 코너들을 대부분 둥글게 만들고 다운힐 4섹션 직선구간을 헤어핀과 직각 코너로 크게 과장해서 손을 다듬은 모습이다. 특히 코스 중간의 O자 코너는 실제 도로와 진묘우기에서는 사각형에 가까운 절벽 옆 잔도 느낌의 코너였으나 버전4에서 추가할때 굉장히 특이하게 손을 본 형태다.

2.6. 버전별 상세 정보

버전 라이벌
1 이케타니 코이치로, 다케우치 이츠키, 쇼지 신고, 나카자토 타케시
2 다케우치 이츠키, 후지와라 타쿠미[6], 쇼지 신고, 나카자토 타케시[7]
3 다케우치 이츠키, 켄지, 쇼지 신고
4 켄지, 쇼지 신고, 사토 마코 & 사유키, 나카자토 타케시
5 나카무라 켄타, 쇼지 신고, 나카자토 타케시
ZERO 나카무라 켄타, 쇼지 신고, 나카자토 타케시
THE ARCADE -
버전 반시계 시계
맑음 맑음
1 트레노 AE86 - 트레노 AE86 -
2 스카이라인
GT-R R32
카푸치노 스카이라인
GT-R R34
카푸치노
3 카푸치노 스카이라인
GT-R R32
카푸치노 스카이라인
GT-R R34
버전 다운힐 힐클라임
맑음 맑음
SP 시빅 EG6 인테그라 Type-R 인테그라 Type-R 스카이라인
GT-R R32
4 시빅 EG6 시빅 EG6 스카이라인
GT-R R32
스카이라인
GT-R R32
5 시빅 EG6 시빅 EG6 스카이라인
GT-R R32
스카이라인
GT-R R32
6 SW20 SW20 ZZW30 SW20
7 NSX-R GT - AE86
2도어
-
8 셀리카 GT-FOUR - 랜서 에볼루션 10 -
ZERO 시빅 EG6 - RX-7 FD -
ZERO Ver.2 시빅 EG6 - BNR32 -
THE ARCADE - - - -


[1] 실제 묘우기와 도로가 거의 흡사하게 만들어졌다.[2] 스페셜 스테이지의 진 묘우기를 토대로 중급 코스에 맞게 적절하게 어레인지 한 형태. 버전4 이후 중급 버전 묘우기의 모태가 되었다.[3] 실제 묘우기처럼 맵이 완전 일치하는건 아니다. 수정한 부분이 꽤 많은 편이며 버전4때의 코스를 아주 살짝 수정하였다.[4] 험난한 정도가 아니라 깎아지른 절벽인데다 묘기산 고갯길의 기본 해발고도가 700미터대부터 시작하는 산길이다. 행여나 애니메이션 따라 해보겠다고 나대다간 추락사하기 좋은 곳...이지만 이니셜D에 등장하는 고갯길들의 높이가 높이인지라 묘기는 낮은 편에 속한다(...) 아키나 시작점이 1100미터대.[5] 아카기 레드선즈와 묘우기 나이트키즈의 교류전을 관람하러 갔을때 이츠키가 묘우기를 "아키나와 비슷하다"며 평가하자 본인 기준의 감상을 말할 때 한 발언. 실제로 PS2버전에 추가된 진 묘우기는 아키나보다는 우스이와 비슷한 저중속 테크니컬 코스로 평가되었으나, 버전4부터 추가된 묘우기는 코너각을 줄이고 반직선에 가깝게 리메이크하면서 졸지에 이츠키의 평가와 비슷하게 되어버렸다.[6] 이츠키의 85를 빌려탄다. 덕분에 굉장히 약하다[7] 진 묘우기 재도전 라이벌[8] 일본의 대다수 이니셜D 관련 위키 기준을 따라 전체순위 1등의 차량만을 기록하므로, 1초 이내 콤마 단위로 늦는 통칭 '준특화 차량'은 기록하지 않는다. 또한 버전 1은 타임어택에서 빗길을 고를 수 없다.[9] 버전 7부터 타임어택에서 빗길을 고를 수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