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21:35:45

목도루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대보 및 좌·우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동명성왕대
<colbgcolor=#c5b356> 대보 <colbgcolor=#fff,#191919> 협보
제3대
대무신왕대
우보 을두지 | 송옥구
좌보 을두지*
제6대
태조대왕대
우보 고복장
좌보 목도루
제7대
차대왕대
우보 미유
좌보 어지류
* 우보에서 승차.
고구려 국왕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고구려 좌보
목도루
穆度婁
주군 태조대왕차대왕
관등 패자(沛者)
직위 좌보(左輔)
이름 목도루(穆度婁)
생몰연도 연도 미상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2세기 전반 고구려의 인물이다. 태조대왕의 통치기에 좌보에 임명되었다.

2. 상세

123년 음력 10월 좌보에 임명되어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 및 수성,遂成,과 함께 국정에 참여했다.[1]

132년 음력 7월에 수성과 그의 측근들이 왜산,倭山,에서 회합한 자리에서 수성의 만류에도 측근들이 찬탈을 종용했다. 이를 접한 목도루는 수성이 딴 마음을 품었음을 알고 병을 칭하여 칩거했다.[2]

147년 음력 7월 수성이 왕위를 승계받고 2년이 지난 때에 나이가 많고 병이 있다는 사유로 좌보에서 물러났다. 후임은 왜산에서 찬탈을 모의했던 환나부,桓那部,의 우태,于台, 어지류,菸支留,가 임명되었다.[3]

3. 기타



[1]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71년 10월 「七十一年 冬十月 以沛者穆度婁爲左輔 髙福章爲右輔 令與遂成叅政事」[2]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80년 7월 「八十年 秋七月 遂成獵於倭山 與左右宴... 於是 左輔沛者穆度婁知遂成有異心 稱疾不仕」[3]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차대왕 2년 7월 「秋七月 左輔穆度婁 稱疾退老 以桓那于台菸支留爲左輔 加爵爲大主簿」[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71년 10월 註002[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루부 (桂婁部)[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4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 8년 註002[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20년 2월 註 002[8]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차대왕 2년 2월 「二年 春二月 拜貫那沛者彌儒爲左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