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7:46:26

마키하라 료타로

마키하라 료타로
[ruby(牧原, ruby=まきはら)][ruby(亮太郎, ruby=りょうたろう)] |Ryotaro Makihara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1980년 ([age(1980-12-31)] ~ [age(1980-01-01)]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 연출가, 애니메이터
소속 프리랜서

1. 개요2. 경력3. 특징4. 인맥5. 작품
5.1. 감독5.2. 참여작
6. 연출 샘플

1. 개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터.

2. 경력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 졸업 후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에 들어가 동화로 활동을 시작. 이후 여러 제작사 작품에 참여하며 경력을 쌓았다가 매드하우스에서 여러 굵직한 작품의 콘티와 원화를 맡으며 명성을 얻게 된다. 그 후 2011년 길티 크라운에 참여하게 된 이후 길티 크라운의 프로듀서인 나카타케 테츠야와 협업하게되어 WIT STUDIO 에서 활동한다.

3. 특징

애니메이팅 실력이 뛰어나고 영상에 감각이 있어 와타나베 아유무, 유아사 마사아키, 니시미 쇼지로, 스에요시 유이치로 등 업계 선배들이 극찬했고 빠르게 감독 자리까지 올라간 인물로 감독 작품도 뛰어난 영상을 보여주었다. 연출력이 있어 콘티 담당 에피소드도 질이 높게 나온다. 특히 길티 크라운의 연출 담당 에피소드가 호평을 받았다. [1]

그러나 감독 작품은 설명이 부족하고 대사가 아닌 영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어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극찬하는 사람들은 놀라운 영상을 보여줬다고 극찬하는 반면 이해할 수 없는 작품을 만들었다고 혹평도 많다. 특히 스토리를 중시하는 한국에서는 그다지 좋게 평가해주지 않는다. 영상 위주로 봐야하는 감독이다. 이런 점에서는 작화가 좋은 애니메이션을 선호하는 서양에서 더 인기있는 감독이며 2022년 신작 정원의 뱀파이어넷플릭스 스폰서를 받았다.

여러 가지 색의 조명을 활용하며 조명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연출을 많이 한다. 위급할 땐 붉은 조명을 쓰거나 차가운 장면은 파란 조명을 쓰는 식이다. 다른 감독들은 잘 안 쓰는 초록색 조명도 많이 쓴다.

4. 인맥

같이 일하는 감독은 아라키 테츠로, 하라 케이이치가 있다. 연출 스타일도 전반적으로 아라키 테츠로와 유사하다. 그 외 호소다 나오토와도 친분이 있다.

5. 작품

5.1. 감독

5.2. 참여작

6. 연출 샘플

하루 -HAL-
콘티, 연출 마키하라 료타로
총 작화감독 키타다 카츠히코
죽은 자의 제국
콘티 마키하라 료타로
총 작화감독 카토 히로타카
고양이가 준 둥근 행복
전편 콘티, 연출 마키하라 료타로
총 작화감독 사카노 히카리(阪野 日香莉)
정원의 뱀파이어
모든 에피소드 콘티 마키하라 료타로
모든 에피소드 총 작화감독 니시오 테츠야
개와 소년 (공식)
콘티, 1인 원화 마키하라 료타로
배경을 전부 AI로 제작. (리터칭 있음), 각본 초안이 AI


[1] 진격의 거인입체기동 연출을 잘 못해서 그다지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 다만 드라마 연출과 작화는 호평을 받았다.[2] 4부작 CM[3] 감독 본인이 AI를 써서 만들어서 AI + Human으로 크레딧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