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7:38:07

마르크 플레컨


1 플레컨ㆍ4 콴사ㆍ5 바데6 에세키엘7 호프만 · 8 [[로베르트 안드리히|안드리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0021b; font-size: .8em"]]ㆍ9 에체베리10 틸만
11 테리에ㆍ12 탑소바 · 13 아르투르ㆍ14 시크16 타페17 벤 세기르ㆍ18 사르코ㆍ19 포쿠
20 그리말도ㆍ21 루카스 V.23 텔러ㆍ24 가르시아ㆍ25 팔라시오스 · 28 블라스비히 · 30 마자
31 모나마이35 코파네36 롬프44 벨로시앙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마르크 플레컨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VDV로고.png
}}} ||
파일:Mark Flekken(25-26).png
<colbgcolor=#d0021b><colcolor=#fff> 바이어 04 레버쿠젠 No. 1
마르크 플레컨
Mark Flekken
출생 1993년 6월 13일 ([age(1993-06-13)]세)
림뷔르흐주 케르크라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4cm / 체중 87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colbgcolor=#d0021b><colcolor=#fff> 유스 WDZ 보홀츠
로다 JC 케르크라더 (~2009)
알레마니아 아헨 (2009~2012)
선수 알레마니아 아헨 (2012~2013)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2013~2016)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II (2013~2016)
MSV 뒤스부르크 (2016~2018)
SC 프라이부르크 (2018~2023)
브렌트포드 FC (2023~2025)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5~ )
국가대표 10경기[1] (네덜란드 / 2022~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수상
5.1. 우승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네덜란드 국적의 바이어 04 레버쿠젠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MSV 뒤스부르크

알레마니아 아헨 성인팀에서 프로데뷔를 하게 되고, 다음해에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로 이적했지만, 1군팀에선 많이 뛰지 못하고 리저브팀에서도 서브키퍼로 뛰다 MSV 뒤스부르크로 이적했는데 주전키퍼로 뛰며 37경기에 출전하게 된다. 게다가 1골도 기록했는데, 2016년 8월 7일 VfL 오스나브뤼크전에서 마지막 코너킥 찬스에서 공격에 가담해 득점했다.

하지만 2017-18 시즌 FC 잉골슈타트 04전에서 엄청난 실수를 하고 말았는데, 골이 들어간 줄 알고 물을 마시다가 골문을 무방비로 내준것. 경기는 다행히 2대1로 승리했다.

2.2. SC 프라이부르크

2018년 5월 14일, 분데스리가SC 프라이부르크로 이적했다. 알렉산더 슈볼로의 뒤를 이어 세컨골리로 뛸 것으로 보인다.

2.2.1. 2019-20 시즌

2019년 10월 19일,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퍼스트 골리였던 알렉산더 슈볼로가 부상을 당해 11월까지는 플레컨이 큰 실수를 하지 않는 이상 주전으로 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예상대로 9라운드 RB 라이프치히전 선발명단에 올랐다.

이후로도 슈볼로브의 빈자리를 잘 메워주고 있다. 특히 11라운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엄청난 슈퍼세이브들을 보여주며 팀의 1대0 승을 이끌었다.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오히려 슈볼로브의 주전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13라운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전 전반 3분 라슬로 베네스의 프리킥에 이은 라미 벤세바이니의 헤딩을 다이빙을 떠서 잡으려다 땅에 떨어지며 놓쳤고, 그걸 그대로 마르쿠스 튀랑이 차넣으며 어이없게 실점하고 말았다. 하지만 이후 48분 브릴 엠볼로의 페널티킥에 이은 플로리안 노이하우스의 슈팅을 환상적인 반사신경으로 막아냈다.

이후 전반기가 끝날 때까지 주전골리로 뛰었으며, 후반기에 슈볼로가 복귀하자 다시 세컨골리로 물러났다.

2.2.2. 2020-21 시즌

2020-21 시즌을 앞두고 알렉산더 슈볼로헤르타 BSC로 이적하며 주전자리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후 카를스루어 SC에서 베냐민 우포프가 영입되었지만, 골키퍼 코치인 클레멘스 하르텐바흐의 인터뷰에 따르면 일단 주전골리는 플레컨일 것이라고 한다.

DFB-포칼 1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전을 앞두고 워밍업 도중 갑작스럽게 팔꿈치 부상을 당하며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로도 출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구단은 플로리안 뮐러를 영입했다.

33라운드 FC 바이에른 뮌헨전 복귀전을 치렀다. 여러차례 슈퍼세이브를 보여주며 바이언을 상대로 2대2 무승부를 거둬내는데 크게 기여했다.

2.2.3. 2021-22 시즌

이번 시즌 뮐러가 VfB 슈투트가르트로 이적하며 주전으로 뛸 것으로 보인다.

예상대로 주전으로 출전중. 분데스리가 탑급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전반기가 끝난 현재 팀이 3위에 안착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리그, 포칼 가리지 않고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으며, 4월 21일 기준 리그에서만 10개 클린시트를 기록중이다.[2] 프라이부르크가 원래는 상위권 전력이 아니라고 평가받았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중이다.

2.2.4. 2022-23 시즌

2라운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전에서 후반 중반까지 무실점으로 골문을 잘 지키다가 76분에 바이노기튼스의 평범한 중거리 슛을 아킨페예프가 빙의한 마냥 잘못 쳐내면서 어이없게 동점골을 내주었다. 이후, 그의 실수가 스노우볼이 되었는지 전의를 상실한 프라이부르크는 10분안에 두 골을 더 내주며 1:3으로 역전패하였다. 경기 후, 플레컨은 죄책감에 한동안 일어나지 못하면서 팀 동료들이 다가가 위로해준 끝에 일어날 수 있었다.

5월 7일 기준 리그에서 31경기 12클린시트를 기록했으며, 5월 15일, 파브리지오 로마노브렌트포드 FC다비드 라야의 대체자로 플레컨을 영입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브렌트포드는 이미 플레컨의 바이아웃 지불을 완료했으며, 5년 계약 합의를 완료했다고 한다. 이적료는 €13M.

34R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2실점을 하며 고별전을 치렀다.

2.3. 브렌트포드 FC

2023년 5월 31일, 브렌트포드 FC로 이적했다. 4년 계약.#

2.3.1. 2023-24 시즌

1R 토트넘 홋스퍼 FC전에서 선발 출전하며 브렌트포드 소속으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2골을 실점했다. 경기는 2:2 무승부.

23R 맨체스터 시티 FC전 선발 출전 했다. 닐 무페이의 선제골을 도왔고 무려 12 선방이란 미친 폼을 보여주었다. 경기는 포든의 해트트릭으로 3:1 패배.

2.3.2. 2024-25 시즌

이번 시즌 수비수들의 호러쇼로 14R까지 69선방을 기록하면서 미친 폼을 보여주고 있다.

리그 37경기 153선방 선방률 73.6%라는 좋은 활약을 보이며 시즌을 마쳤으며, 이 활약을 바탕으로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의 이적이 유력해진 상황이다. 플로리안 플레텐베르크에 따르면 이적료는 €10m.

2.4.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5년 6월 3일,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의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다.

2.4.1. 2025-26 시즌

프리시즌에서는 등번호 26번을 받고 경기에 출전했지만 원래 1번을 달고 있었던 주장 루카시 흐라데츠키AS 모나코 FC로 이적하면서 입단 2개월 만에 주전 골키퍼를 상징하는 1번으로 변경되었다.#

프리 시즌 경기와 포칼컵 1라운드, 리그 1라운드 호펜하임전에서는 나름 준수한 활약을 했으나 SV 베르더 브레멘와 맞붙는 2차전에서 공격수를 막겠다고 박스 바깥까지 뛰쳐나오는 무리수를 두다가 이어없게도 골을 허용해버리며 팀의 승리를 놓치고만 주범이 되버렸다. 사실 해당 경기에선 감독 텐하흐의 전술과 수비진들의 미스 역시 어이없긴 매한가지였다.

3. 국가대표 경력

소속팀에서의 좋은 활약 때문에 2022년 3월 27일, 덴마크와의 친선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무려 2실점이나 하며 혹독한 데뷔전을 치렀지만 팀은 스티븐 베르흐베인등 공격수들의 맹활약으로 승리한다.

이후 독일과의 친선경기에서도 선발 출전했다. 이대로 월드컵 본선까지 승선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부분. 일단 39인 본선 예비 명단에서 5명의 골키퍼의 일원으로 포함이 되었다.

그러나 출전한 A매치 경기에서 인상적이지 못한 모습과 최근 리그에서도 좋지 않은 폼으로 인해 결국 26인 최종 명단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였다.

이후 UEFA 유로 2024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에 복귀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골키퍼로서 플레컨은 큰 키를 갖췄음에도 움직임이 상당히 민첩하다는 점이 돋보인다. 박스 안팎으로 빠르게 위치를 잡고 선방하는 선수로, 상대 선수의 각을 좁히는 것에 능하다. 뛰어난 위치 선점을 이용해 1대1 상황에서 빠르게 뛰쳐나와 각을 좁혀서 선방하는 것에도 강점을 드러낸다. 뛰어난 민첩성을 이용해 다이빙을 떠서 선방을 시도한 이후에 곧바로 일어나 세컨 볼을 선방해내기도 한다. 특히, 마누엘 노이어처럼 긴 다리를 일자로 찢어서 포스트를 가리지 않고 낮게 깔리는 슈팅을 선방해내는 풋 세이브가 돋보인다.

선방력뿐만 아니라 롱 킥을 이용한 전개에 있어서도 준수한 모습을 보인다. 롱 킥의 비거리와 정확도가 매우 뛰어나고, 박스 안에서 공을 소유하면서 상대 공격수를 자신에게 끌어당긴 뒤 킥을 처리하기에 킥의 위력또한 좋다.또한, 수비 라인을 직접 통솔하고, 선방 후에는 파이팅을 많이 외치는 등 리더십이나 수비조율 등의 멘탈리티도 매우 좋다.

다만, 전체적인 능력치와 경기력에 기복이 있는 편으로, 폼이 안 좋을 때에는 선방 능력부터 위치 선정과 롱 킥까지 실수가 나오는 모습을 보인다. 이 때문에, 간혹 치명적인 실수로 실점의 빌미를 제공한다. 또한, 여타 골키퍼들과 비교해서 팔의 길이, 리치가 짧은 편인데, 이로 인해 크로스 같은 공중볼 처리에 있어서 어려움을 드러낸다. PK 선방에 있어서도 아쉬운 모습을 드러낸다.

5. 수상

5.1. 우승

5.2. 개인 수상

6. 여담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d0021b>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Lukáš Hrádecký(24-25).png
파일:Piero Hincapie(24-25).pn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Mario Hermoso(24-25).png
파일:Jonas Hofmann(24-25).png
<rowcolor=#fff> 1 (C) 3 4 5 7
루카시 흐라데츠키
Lukáš Hrádecký

파일:핀란드 국기.svg|GK
1989.11.24 ([age(1989-11-24)])
2018~2026
피에로 잉카피에
Piero Hincapié

파일:에콰도르 국기.svg|DF
2002.01.09 ([age(2002-01-09)])
2021~2029
자렐 콴사
Jarell Quansa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DF
2003.01.29 ([age(2003-01-29)])
2025~2030
마리오 에르모소
Mario Hermoso

파일:스페인 국기.svg|DF
1995.06.18 ([age(1995-06-18)])
2025[1]
요나스 호프만
Jonas Hofmann

파일:독일 국기.svg|MF
1992.07.14 ([age(1992-07-14)])
2023~2027
파일:Robert Andrich(24-25).png
파일:Martin Terrier(24-25).png
파일:Edmond Tapsoba(24-25).png
파일:Arthur(24-25).png
파일:Patrik Schick(24-25).png
<rowcolor=#fff> 8 (3C) 11 12 13 14
로베르트 안드리히
Robert Andrich

파일:독일 국기.svg|MF
1994.09.22 ([age(1994-09-22)])
2021~2028
마르탱 테리에
Martin Terrier

파일:프랑스 국기.svg|FW
1997.03.04 ([age(1997-03-04)])
2024~2029
에드몽 탑소바
Edmond Tapsoba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DF
1999.02.02 ([age(1999-02-02)])
2020~2028
아르투르
Arthur

파일:브라질 국기.svg|DF
2003.03.17 ([age(2003-03-17)])
2023~2028
파트리크 시크
Patrik Schick

파일:체코 국기.svg|FW
1996.01.24 ([age(1996-01-24)])
2020~2027
파일:Matěj Kovář(24-25).png
파일:Alejo Sarco(24-25).png
파일:Nathan Tella(24-25).png
파일:Alejandro Grimaldo(24-25).png
파일:Amine Adli(24-25).png
<rowcolor=#fff> 15 16 17 18 19
마체이 코바르시
Matěj Kovář

파일:체코 국기.svg|GK
2000.05.17 ([age(2000-05-17)])
2023~2027
알레호 사르코
Alejo Sarc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
2006.01.06 ([age(2006-01-06)])
2025~2029
네이선 텔러
Nathan Tella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
1999.07.05 ([age(1999-07-05)])
2023~2028
알레한드로 그리말도
Alejandro Grimaldo

파일:스페인 국기.svg|DF
1995.09.20 ([age(1995-09-20)])
2023~2027
아민 아들리
Amine Adli

파일:모로코 국기.svg|FW
2000.05.10 ([age(2000-05-10)])
2021~2028
파일:Victor Boniface(24-25).png
파일:Aleix García(24-25).png
파일:Exequiel Palacios(24-25).png
파일:Granit Xhaka(24-25).png
파일:Niklas Lomb(24-25).png
<rowcolor=#fff> 20 21 22 23 24
빅터 보니페이스
Victor Boniface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
2000.12.23 ([age(2000-12-23)])
2023~2028
알레시 가르시아
Aleix García

파일:스페인 국기.svg|MF
1997.06.28 ([age(1997-06-28)])
2024~2029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Exequiel Palacio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
1998.10.05 ([age(1998-10-05)])
2020~2028
그라니트 자카
Granit Xhaka

파일:스위스 국기.svg|MF
1992.09.27 ([age(1992-09-27)])
2023~2028
니클라스 롬프
Niklas Lomb

파일:독일 국기.svg|GK
1993.07.28 ([age(1993-07-28)])
2012~2027
파일:Jeanuël Belocian(24-25).pn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rowcolor=#fff> 25 # # # #
주누엘 벨로시앙
Jeanuël Belocian

파일:프랑스 국기.svg|DF
2005.02.17 ([age(2005-02-17)])
2024~2029
마르크 플레컨
Mark Flekk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GK
1993.06.13 [age(1993-06-13)]
2025~2030
악셀 타페
Axel Tape

파일:프랑스 국기.svg|DF
2007.08.10 [age(2007-08-10)]
2025~2030
이브라힘 마자
Ibrahim Maza

파일:알제리 국기.svg|MF
2005.11.24 [age(2005-11-24)]
2025~2030
압둘라예 파예
Abdoulaye Faye

파일:세네갈 국기.svg|DF
2004.09.22 [age(2004-09-22)]
2025~2030
구단 정보
의장: 페르난도 카로 / 감독: 카스페르 히울만 / 구장: 바이아레나
출처: 바이어 04 레버쿠젠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AS 로마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6600><tablebgcolor=#ff6600>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바르트 페르브뤼헌
(Bart Verbruggen)
2002년 8월 18일 ([age(2002-08-18)]세) 2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13 로빈 루프스
(Robin Roefs)
2003년 1월 17일 ([age(2003-01-17)]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선덜랜드 AFC
23 마르크 플레컨
(Mark Flekken)
1993년 6월 13일 ([age(1993-06-13)]세) 10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DF 2 얀 폴 반 헤케
(Jan Paul van Hecke)
2000년 6월 8일 ([age(2000-06-08)]세) 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3 위리엔 팀버르
(Jurriën Timber)
2001년 6월 17일 ([age(2001-06-17)]세) 19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4 버질 반 다이크 파일:주장 아이콘.svg
(Virgil van Dijk)
1991년 7월 8일 ([age(1991-07-08)]세) 84 1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5 네이선 아케
(Nathan Aké)
1995년 2월 18일 ([age(1995-02-18)]세) 55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6 스테판 더프레이
(Stefan de Vrij)
1992년 2월 5일 ([age(1992-02-05)]세) 77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5 마테이스 더리흐트
(Matthijs de Ligt)
1999년 8월 12일 ([age(1999-08-12)]세) 51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6 미키 판더펜
(Micky van de Ven)
2001년 4월 19일 ([age(2001-04-19)]세) 14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22 덴젤 둠프리스
(Denzel Dumfries)
1996년 4월 18일 ([age(1996-04-18)]세) 67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MF 7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2003년 4월 21일 ([age(2003-04-21)]세) 29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8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Ryan Gravenberch)
2002년 5월 16일 ([age(2002-05-16)]세) 21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12 퀸턴 팀버르
(Quinten Timber)
2001년 6월 17일 ([age(2001-06-17)]세) 7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4 티자니 라인더르스
(Tijjani Reijnders)
1998년 7월 19일 ([age(1998-07-19)]세) 25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9 셈 스테인
(Sem Steijn)
2001년 11월 17일 ([age(2001-11-17)]세) 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 예르디 스하우턴
(Jerdy Schouten)
1997년 1월 12일 ([age(1997-01-12)]세) 15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
21 퇸 코프메이너르스
(Teun Koopmeiners)
1998년 2월 28일 ([age(1998-02-28)]세) 25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 프렝키 더용
(Frenkie de Jong)
1997년 5월 12일 ([age(1997-05-12)]세) 60 2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FW 9 바웃 베호르스트
(Wout Weghorst)
1992년 8월 7일 ([age(1992-08-07)]세) 47 1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10 멤피스 데파이
(Memphis Depay)
1994년 2월 13일 ([age(1994-02-13)]세) 104 52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코린치안스
11 코디 각포
(Cody Gakpo)
1999년 5월 7일 ([age(1999-05-07)]세) 42 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17 노아 랑
(Noa Lang)
1999년 6월 17일 ([age(1999-06-17)]세) 14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8 도니얼 말런
(Donyell Malen)
1999년 1월 19일 ([age(1999-01-19)]세) 45 1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
- 저스틴 클라위버르트
(Justin Kluivert)
1999년 5월 5일 ([age(1999-05-05)]세) 8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4일(목)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025년 9월 7일(일) 원정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페르브뤼헌 · 2 헤이르트라위다 · 3 더리흐트 · 4 버질 · 5 아케 · 6 더프레이 · 7 사비 · 8 바이날둠 · 9 베호르스트
10 멤피스 · 11 각포 · 12 프림퐁 · 13 베일로 · 14 라인더르스 · 15 판더펜 · 16 페이르만 · 17 블린트 · 18 말런
19 브로비 · 20 마트센 · 21 지르크지 · 22 뒴프리스 · 23 플레컨 · 24 스하우턴 · 25 베르흐베인 · 26 흐라벤베르흐
파일:UEFA EURO NED.png 로날드 쿠만
파일:UEFA EURO NED.png 에르빈 쿠만 · 파일:UEFA EURO NED.png 드와이트 로더웨저스 · 파일:UEFA EURO NED.png 패트릭 로드베이크

[1] 2025년 6월 11일 기준[2] 마누엘 노이어, 로빈 젠트너와 함께 분데스리가 클린시트 1위이다. 출전 대비 클린시트 1위는 노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