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31:05

마곳킨 오브 너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740d01><#740d01><nopad>
파일:AOS 로고.png
플레이어블 진영 일람
||
[ 오더 ]
[[시티즈 오브 지그마|]][[파이어슬레이어|]][[카라드론 오버로드|]][[도터즈 오브 케인|]][[루미네스 렐름로드|]][[아이도네스 딥킨|]][[실바네스|]][[세라폰|]][[스톰캐스트 이터널|]]
[ 카오스 ]
[[블레이드 오브 코른|]][[디사이플 오브 젠취|]][[마곳킨 오브 너글|]][[헤도나이트 오브 슬라네쉬|]][[스케이븐/Age of Sigmar|]][[슬레이브 투 다크니스|]][[비스트 오브 카오스|]]
[ 데스 ]
[[소울블라이트 그레이브로드|]][[플레시 이터 코트|]][[나이트헌트|]][[오시아크 본리퍼|]]
[ 디스트럭션 ]
[[오룩 워클랜|]][[글룸스파이트 깃츠|]][[오고어 모우트라이브|]][[선즈 오브 베헤마트|]]
<colcolor=#ffffff><colbgcolor=#455106>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55106> 파일:AoS 진영 상징 마곳킨 오브 너글 화이트.svg 마곳킨 오브 너글
Maggotkin of Nurgle
}}}
파일:Warhammer AoS 팩션 포커스 마곳킨 오브 너글.jpg
1. 개요2. 설정3. 엔트로피의 행진
3.1. 신화의 시대3.2. 혼돈의 시대3.3. 지그마의 시대
4. 플레이그리전(Plague Legions)과 컨테지움(Contagium)5. 병종
5.1. 모탈5.2. 데몬5.3. 캐릭터
6.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7. 기타
[clearfix]

1. 개요

Warhammer: Age of Sigmar의 등장 진영. 카오스의 세력, 그 중에서도 질병의 카오스 신너글을 따르는 이들이다. Warhammer(구판)워리어 오브 카오스 소속이었던 너글 모델들도 본 진영에 포함된다.

2. 설정

3. 엔트로피의 행진

3.1. 신화의 시대

3.2. 혼돈의 시대

3.3. 지그마의 시대

4. 플레이그리전(Plague Legions)과 컨테지움(Contagium)

너글의 악마들이 주축이 되는 군단은 플레이그리전, 필멸자 중심의 군단은 컨테지움으로 불린다.

5. 병종

5.1. 모탈

5.2. 데몬

5.3. 캐릭터

6.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


종족 룰(배틀 트레잇)


4판 기준 종족 룰(배틀 트레잇)에는 재생, 와드(대신 유닛들 키워드에 들어가서 없어진건 아니다.) 같은게 사라지고 역병룰만 남았다.

1. 턴당 한번(아미) 항상 모든 턴이 끝날 때 Blessed by the plaguefather를 발동 할 수 있다.

세 가지 효과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infect:아군 마곳킨 너글 유닛과 교전거리내에 있는 적 유닛을 선택해 역병 키워드를 줄수 있다.
spread:역병이 걸린 적 유닛을 선택하고 그 적 유닛의 교전거리내에 있는 모든 적 유닛에게 역병 키워드를 줄수 있다.
mutate:역병 키워드를 가지고있는 모든 적에게 모탈데미지를 1씩 준다.

2. 패시브로 Burst Pustules가 있다.

만약 역병 키워드를 가진 적이 죽는다면 주사위를 하나 굴려 3+로 그 적의 9인치 이내의 적에게 역병 키워드를 줄수 있다.


3. 패시브로 Desperate Renmedies가 있다.

역병 키워드에 걸린 적이 어떠한 방식이던간에 1이상 회복을 하거나, 1이상 죽은 모델이 돌아온다면 역병 키워드는 사라지고, 대신 적은 회복이나 부활을 하지 못한다. 또한 어떠한 팩션지형이나 엔드리스스펠등은 역병 키워드를 받지 못한다.


4. 턴당 한번(아미) 항상 모든 턴이 끝날 때 Wracked with Disease를 발동 할 수 있다.

역병 키워드가 있는 모든 적에게 유닛 하나 당 주사위 하나를 d3을 2플로 굴려 모탈데미지를 줄 수가 있다.

7. 기타


[1]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