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의 장편소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람의 아들 |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 젊은 날의 초상 |
황제를 위하여 | 대륙의 한 | 영웅시대 | |
레테의 연가 | 미로의 날들 |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 시인 | 변경 | |
오디세이아 서울 | 선택 | 아가 | |
호모 엑세쿠탄스 | 불멸 | 리투아니아 여인 | }}}}}}}}} |
제목 | 리투아니아 여인 |
작가 | 이문열 |
장르 | 장편소설 |
발표 | 중앙일보 2010.7.10 (연재 시작) 중앙일보 2011.4.23 (연재 종료) |
출간 | 리투아니아 여인 (민음사, 2011) |
제15회 동리문학상 수상작 | ||||
최인호 (2011) | → | 이문열 리투아니아 여인 (2012) | → | 강석경 (2013) |
1. 개요
이문열의 장편소설.2. 상세
중앙일보에서 연재를 마친 뒤에 출간된 작품. 리투아니아계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여성 예술가의 삶을 그렸다.모델은 음악감독 박칼린. 이문열이 극본을 쓴 뮤지컬 명성황후[1]의 해외공연길에 동행하면서 알게 된 박칼린에게서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 후 쓰게 된 소설.
3. 내용
작품 자체는 90년대에 이미 쓰일 계획이 잡혔지만 본격적으로 집필이 시작되었을 때 박칼린이 매스컴을 타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서, 이문열은 시류에 편승해 쓰인 소설로 보이길 원하지 않았는지 중앙일보에서 연재를 끝마친 뒤에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에 책으로 엮어내었고, 한 인터뷰에서는 박칼린의 이름을 지면에 노출시키지 말아달라고 기자에게 당부한 일도 있었다. 이문열은 이 작품이 <시인>이나 <금시조>를 쓰던 비교적 초창기의 작품 세계로 회귀하여 쓰인 작품이라고 자평했고, 독자층에서도 이에 부응했는지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하지만 작품 말미에 주인공 여성 예술가가 진보진영의 악의에 찬 인신공격을 당해 좌절하는 내용이 나오는 점을 들어서 이념성의 흔적이 그대로 살아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박칼린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그녀에 대한 비판의 상당수는 본인 스스로에게 책임이 있는 편이다.4. 기타
이 책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던 2012년 봄 어느 대학의 문학답사팀에서 작가와 대담할 기회를 얻었다. 이 때 한 대학생이 "마지막 작품으로 평가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2]라는 작가의 말을 인용하며 "선생님의 현재 마지막 작품인 리투아니아 여인으로 스스로에게 점수를 매기신다면 몇 점이나 주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한 적이 있었다. 이때 이문열은 "이 작품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해본 적 없다"고 답했다.[1] 박칼린이 그 뮤지컬의 음악감독을 맡았다.[2] TV, 책을 말하다에서 한 인터뷰에서 작가가 한 말. 이 말의 의미는 "중간에 쓴 작품으로 평가받으면 그 뒤의 작품들은 범작 이하밖에 안 된다는 뜻이므로 마지막 작품이 최고의 걸작이 되는(점점 나아지는) 작가가 되고 싶다"는 뜻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