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성리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블루 아카이브의 크리스마스 버전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성리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블루 아카이브의 크리스마스 버전 캐릭터: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미 세리나/크리스마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머메이드 프린세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름 | 소속 나라 |
루치아 → 루키아 | 북태평양 | |
하논 | 남대서양 | |
리나 | 북대서양 | |
카렌 | 남극해 | |
노엘 | 북극해 | |
코코 | 남태평양 | |
사라 → 세이라 | 인도양 |
<colbgcolor=#cef279><colcolor=#008000> 토우인 리나 洞院リナ | Rina Tōin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TVA 설정화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bgcolor=#cef279><colcolor=#008000> 본래 모습 | |||
<nopad> | |||
인간체 | }}}}}}}}} | ||
이름 |
| 토우인 리나 ([ruby(洞院, ruby=とういん)] リナ) | |
| 성리나 | ||
생년월일 | 1989년 9월 2일 | ||
별자리 | 처녀자리 | ||
신체 | 163cm[1], 50kg, AB형 | ||
취미 | 독서 | ||
특기 | 청소, 빨래 | ||
좋아하는 과목 | 수학 | ||
싫어하는 과목 | 없음 | ||
좋아하는 색 | 초록색 | ||
좋아하는 꽃 | 백합 | ||
좋아하는 음식 | 사찰 음식, 녹차, 멜론 푸딩 | ||
싫어하는 음식 | 대충 만든 음식 | ||
이상형 | 열중하는 사람 | ||
캐릭터 송 | Star Jewel, Piece of Love | ||
지위 | 북대서양의 머메이드 프린세스 | ||
성우 |
| 아사노 마유미[2] | |
| 배정미[3] |
1. 개요
|
머메이드 멜로디 피치피치핏치의 등장인물. 북대서양에 존재하는 인어나라의 공주로 초록색 진주의 소유자.[4] 인간 세계에서는 토우인 리나[5]로 활동하고 있다. 머메이드, 즉 본래의 모습일 때는 초록색 머리카락을 하고 있으며 눈은 초록색이다. 인간의 모습일 때는 검정에 가까운 초록색 머리카락이며 눈은 은회색이다. 인간의 모습일 때와 머메이드의 모습일 때의 외관은 루치아와 하논에 비해 별로 변하지 않지만 머리가 길어지고 밝고 진한 녹색이 되며 눈도 초록색으로 변한다. 하고 있는 귀걸이는 고둥.
2. 특징
쿨하고 보이시한 분위기를 가졌으며[6] 3명 중 가장 어른스러운 인상이지만 실은 세이라를 뺀 상태에서 설정상 생일에 빗대면 머메이드 프린세스 중 가장 막내 포지션이다. 어째서인지 남학생 교복을 입고 있다. 애니 1기에서 언급하길 또래 아이들보다 훨씬 커서 맞는 여자 교복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작중 공식 미녀 설정이라 처음 인간 모습으로 루치아와 하논이 다니던 학교에 등장했을 당시에 학생들로부터 모델같다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7] 루치아와 하논에 비해 스커트와 드레스 등을 입는 묘사가 압도적으로 적고 딱히 연애나 유행에 관심이 없다. 머리가 좋은 편이라 추리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눈치가 빠른 편이다.그러나 애니에서는 개그, 코미디를 비롯한 예능 프로를 좋아한다는 의외의 면도 있으며 벽걸이형 TV를 가지고 싶어한다. 개그와 벽걸이형 TV와 관련되면 개그 캐릭터로서의 망가지는 갭 모에 면모도 드러낸다.
3.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나(머메이드 멜로디 피치피치핏치)/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나(머메이드 멜로디 피치피치핏치)/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변신 후의 모습
그린 펄 보이스 グリーンパールボイス|Green Pearl Voice | |
| |
변신체 | |
| |
2단 변신체 |
그린 펄 보이스라는 구호와 함께 초록색 진주의 힘으로 아이돌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다. 의상의 기본색은 연초록색. 옷깃이 있는 롱 드레스 같은 디자인이며 오른쪽에 큰 슬릿이 들어있으며 장갑은 어깨 근처까지 있고 부츠가 아니라 여자 샌들을 신고 있는 것이 특징. 2단 변신하면 머리에 연두색의 진주가 있는 듯한 카츄사가 생기고 가슴에서 배에 걸쳐 초록색의 프릴 장식이 오른쪽에 매듭이 오게 되며 허리 부분에 넓고 짙은 초록색 리본이 추가되고 스커트의 부분에 연한 색의 부분이 증가하고 2중으로 되는 것 외에 프릴 장식이 달린 샌들로 바뀐다. 장갑의 주름 장식도 2장이 된다. 왼쪽 손목에 팔찌가 생긴다.
5. 논란 및 문제점
5.1. 부실한 나라 운영
동료이자 절친인 하논처럼 북대서양의 나라를 은폐력이 있는 국가로 방치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있다. 인어의 나라 대부분이 머메이드 프린세스의 노래의 힘을 의존한 탓에 가쿠토 일당에게 무력하게 멸망당했는데, 리나 역시 이들에게 바다에 쫓겨다니는 신세가 되었다.[8]문제는 가쿠토 일당과의 전투가 끝난 후 카렌과 노엘, 코코는 멸망당한 자기 나라를 재건하려 갔는데, 정작 리나는 루치아와 하논과 함께 육지에 남아 있었고, 멸망당한 북대서양 나라를 재건하는 모습이 없었다.[9]
5.2. 캐릭터 붕괴
후속작 aqua 편에서 절친 루치아와 하논, 세이라, 힛포랑 함께 캐릭터 붕괴를 당한 인물들 한 명이 되었다.하논과 함께 아쿠아 레지나가 된 루치아의 과오를 옹호하고, 루키아와 나무의 관계를 지지하는 태도를 보여 문제가 있다. 루치아는 로란에게 세뇌당한 세이라의 일을 딸 루키아에게 떠넘겨 방치했는데, 세이라를 데리고 온 로란이 루키아 일행을 공격하여 흩어져 버렸다. 게다가 나무에게 안겨 돌아온 루키아가 어머니의 강요와 나무의 소개를 받고 있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리나는 루치아와 나무의 행동을 두둔하는 태도를 보여 논란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하논과 함께 쿠로스나의 정체를 루치아에게 알려주고 루키아와 나무의 결혼 준비를 서둘려야 한다는 루치아의 발언을 맞장구치면서 논란이 나오고 있다. [10]
그리고 하논과 마찬가지로 루치아가 로란의 포로로 잡혀간 원인을 제공했던 세이라에게 주의를 주지 않았던 부분에서 문제가 있다. 24화에서 루치아의 일로 풀이 죽어 있는 루키아를 하논과 함께 위로해줬지만, 자신을 포함한 동료들에게 사과하지 않았던 세이라를 무사히 돌아와서 다행이라고 말만 하고 아무런 주의를 주지 않았다. 이후 루치아를 구하는 방법을 찾아보자고 동료들과 생각하는 장면이 거의 없었고, 루키아의 친구들을 데리고 놀이동산으로 놀려가는 모습만 보여 논란이 나오고 있다.
6. 기타
주역 3인방 중 가장 진중한 캐릭터다. 아무래도 쿨한 이미지가 강조되지만, 개그나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서 웃을 때는 엄청 망가지고 꽤나 개그스런 모습도 여러번 보인다. 대표적으로 21화에서 대회에 흥미 없다고 해놓고 우승상품이 최신 벽걸이 텔레비전이라고 하자 바로 우승은 자기꺼라고 말한다던가... 즉 갭 모에 캐릭터로 이런 캐릭터들이 그렇듯 꾸준한 지지를 받고 있기도 하다. 루치아나 하논에 비해 어른스러운 면모를 보이고, 중성적인 모습이 머메이드 프린세스 내에서도 차별화된 개성을 구축. 5839명이 참여한 원작 인기투표에서 10위(742표), 변신형 리나는 16위, 머메이드 리나는 25위에 이름을 올렸다.주역 3인방 중 유일하게 바지를 입고 나오는 모습이 많다. 1기는 물론 2기에서도 사복상으로 보면 바지를 입는 모습이 자주 나오는 편.
여담으로 완력이 상당히 세다. 16화에선 대학생 남자무리를 혼자 간단히 묵사발 내고 43화에선 갈치형제의 셋째를 펀치 한방에 다운시킨다. 그리고 퓨어 15화에선 조종당해서 카렌을 공격한 루이를 바로 기절시켜 버린다. 또한 루치아의 꿈 속이긴 했지만, 대형 TV를 달랑 한 손에 들고도 힘든 내색을 안 했다.
절친 하논과 마찬가지로 현재 마사히로와는 여전히 연인 관계로 지내는 중인데, 아직까지 결혼은 따로 하지 않았다. [11]
7. 설정화
[1] 한국판 한정으로 172cm으로 잘못 알려졌으나, 원작과 공식 사이트에서 163cm이 맞다고 밝혀졌다.[2] 루치아 삼인방 중에서 유일하게 전문 성우로, 방영 당시 10대의 다른 주역 2명과 달리 30대 중반의 베테랑 성우였다. 그 때문인지 몰라도 3인방중 가장 연기와 노래실력이 안정되었다고 평가받는다.[3] 아쿠아 레지나와 중복이다.[4] 그녀를 포함한 초록색 꼬리의 머메이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은 스페인 마드리드 왕궁을 모티브로 하였다.[5] 한국판 이름은 성리나이며 '성'이 성, 이름이 '리나'이다.[6] 작중에서도 그런 평가를 받는지 29화에서 여자애들에게 인어공주의 왕자역을 추천받기도 했고 24화에선 신랑역의 턱시도를 입었는데 잘 어울린다고 평가를 받았다.[7] 남성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은 편이다.[8] 이후 노엘이 리나를 대피시켰지만, 가쿠토 일당에게 포로로 잡혀갔고, 그녀의 쌍둥이 여동생 카렌은 다른 인어들로부터 리나가 쌍둥이 언니 노엘을 버리고 도망쳤다고 오해하여 리나를 적대하게 되었다.[9] 이건 요코테 미치코 작가가 스토리 진행과 메인 빌런인 미켈, 아마기 미카루를 등장시키기 위해 일부러 생략할 수밖에 없었다. 퓨어 편 한정으로 밍크고래 밍크가 편지를 전해주면서 북대서양 나라에 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북대서양 나라도 다른 나라들처럼 재건된 것 보인다.[10] 다만 쿠로스나는 리나의 친구였던 도모토 카이토에게 펜던트를 받아 루키아를 지켜주겠다는 마음으로 판타랏사인으로 각성하여 루키아를 구해줬다. 반면 나무는 세이라가 걸었던 어둠의 마법으로 쿠로스나가 공격당하고 있는 모습과 블랙 뷰티 시스터즈에게 공격당하는 루키아 일행의 상황을 방관했다.[11] 마사히로가 리나에게 프로포즈를 하려고 반지를 준비하는 에피소드가 나오나 결국 프로포즈를 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