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348><tablebgcolor=#008348> | 보스턴 셀틱스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ddd | <colbgcolor=#008348><colcolor=#fff> 감독 | 조 마줄라 |
코치 | 제롬 앨런 · 브랜던 베일리 · 제이 래러나가 · 스콧 모리슨 · 제이미 영 · 샘 카셀 | |
가드 | 4 즈루 할러데이 · 9 데릭 화이트 · 11 페이턴 프리차드 · 20 JD 데이비슨TW | |
가드-포워드 | 7 제일런 브라운 · 55 베일러 샤이어만 | |
포워드 | 0 제이슨 테이텀 · 12 토리 크레이그 · 13 드류 피터슨TW · 27 조던 월시 · 28 앤톤 왓슨TW · 30 샘 하우저 | |
포워드-센터 | 8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 26 제이비어 틸먼 Sr. · 40 루크 코넷 · 42 알 호포드 | |
센터 | 88 네미아스 케타 | |
* TW : 투웨이 계약 | ||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루크 코넷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 | |
2024 |
뉴욕 닉스 등번호 2번 | ||||
모리스 은도어 (2016~2017) | → | 루크 코넷 (2017~2019) | → | 웨인 엘링턴 (2019~2020) |
시카고 불스 등번호 2번 | ||||
자바리 파커 (2018~2019) | → | 루크 코넷 (2019~2021) | → | 론조 볼 (2021~) |
보스턴 셀틱스 등번호 40번 | ||||
마이클 핀리 (2010) | → | 루크 코넷 (2021, 2022~) | → | 현역 |
{{{#FDBB30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등번호 12번}}} | ||||
타우린 프린스 (2021) | → | 루크 코넷 (2021~2022) | → | 팀 프레이저 (2022) |
<colbgcolor=#008348> 보스턴 셀틱스 No. 40 | |
<colcolor=#fff> 루크 프랜시스 코넷 Luke Francis Kornet | |
출생 | 1995년 7월 15일 ([age(1995-07-15)]세) |
켄터키 주 렉싱턴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출신학교 | 밴더빌트 대학교 |
신장 | 218cm (7' 2") |
체중 | 113kg (250 lbs) |
포지션 | 센터 |
드래프트 | 2017 NBA 드래프트 언드래프티 |
소속팀 | 뉴욕 닉스 (2017~2019) 시카고 불스 (2019~2021) 보스턴 셀틱스 (2021) → 메인 셀틱스 (2021)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21~2022) 밀워키 벅스 (2022) 보스턴 셀틱스 (2022~) |
계약 | 2022-23 ~ 2023-24 / $4,546,582 |
연봉 | 2023-24 / $2,413,304 |
SNS |
[clearfix]
1. 개요
현 NBA의 보스턴 셀틱스 소속의 농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2. 뉴욕 닉스
3. 시카고 불스
4. 보스턴 셀틱스
5.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6. 보스턴 셀틱스 2기
7.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백업용 수비형 빅맨으로 수비능력이 좋고, 리바운드, 스크린 능력 또한 준수하다. 슛은 없지만, 빅맨의 기본 소양을 갖춘 선수.
농구 역사에서 새로운 수비 기술, 일명 "Kornet Contest"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특유의 제자리 뛰기로 신체접촉 없이 와이드오픈 3점슛을 막는 동작이다. 이 수비방식은 상대선수와 가까운곳에서 블락을 하는 기본적인 수비보다는 림 근처에서 점프를 뛰어 손으로 림을 가리는 동작으로, 선수 개인 스탯은 전혀 대단치 않은 교체 선수이지만 NBA에서 제자리 뛰기를 하자 밈화되었고 NBA 5년차인 2022년에는 상대팀의 와이드오픈 3점 성공률을 25%까지 떨어뜨리기도 하여 동작의 유용함을 증명받았다.
평소에는 평범한 빅맨이지만 유독 알페렌 센군만 만나면, 센군을 완전히 틀어막는 엄청난 상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