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5:47:41

루치안 무레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0c600, #ffe100 20%, #ffe100 80%, #e0c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e100,#ffe1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아타나시에 안겔 포파 이오안 지우르지우 퍼타키 이오안 이노첸치우
미쿠클레인
페트루 파벨 아론 아타나시에 레드니크
<rowcolor=#ffe100,#ffe1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그리고레 마이오르 이오안 보브 이오안 레메니 알렉산드루
스테르카슐루치우
이오안 반체아
<rowcolor=#ffe100,#ffe1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빅토르 미할리 데 압샤 바실레 수치우 알렉산드루 니콜레스쿠 발레리우 트라이안
프렌치우
이오안 수치우[H.E.]
<rowcolor=#ffe100,#ffe100> 제16대 제17대 <bgcolor=#fff>
알렉산드루 토데아[H.E.] 루치안 무레샨[H.E.]
초대: 알바이울리아 주교
제2-8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주교
제9-17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주교 및 수도대주교
제17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 및 수도대주교
[H.E.]. 추기경
}}}}}}}}}}}}
제9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주교
초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
<colbgcolor=#9F0807,#9F0807><colcolor=#fff,#fff> 제17대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수장
루치안 무레샨
Lucian Mureșan
사제급 추기경
파일:Cardianl Lucian Mureșan.jpg
출생 1931년 5월 23일
루마니아 왕국 마라무레슈주 피리자
사망 2025년 9월 25일 (향년 94세)
루마니아 알바주 블라지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바티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바티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복수국적)
사제 수품 1964년 12월 19일
주교 임명 1990년 3월 14일 마라무레슈교구장 선출[1]
1994년 7월 4일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교구장 선출
2005년 12월 16일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교구가 상급대교구로 승격, 상급대주교 승품
재임기간 마라무레슈교구장
1990년 3월 14일 ~ 1994년 7월 4일
제9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교구장
1994년 7월 4일 ~ 2005년 12월 16일
초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교구장
2005년 12월 16일 ~ 2025년 9월 25일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수장
1994년 7월 4일 ~ 2025년 9월 25일
추기경
2012년 2월 18일 ~ 2025년 9월 25일
파일:cardinal lucian mureșan coat of arms.png
FIAT VOLUNTAS TUA
주님의 뜻대로 이루어지소서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사제 시기2.3. 주교 수품 이후2.4. 상급대주교 승품2.5. 추기경 서임과 현재

1. 개요

루치안 무레샨(Lucian Mureșan)은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제17대 수장이며 초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이다.

2. 생애

2.1. 초기 생애

루치안 무레샨은 1931년 5월 23일, 당시 루마니아 왕국 북부 마라무레슈에 위치한 피리자(Firiza) 마을에서 12남매 중 열 번째로 태어났다. 마라무레슈 지역은 오랜 세월에 걸쳐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비잔틴 전례 전통에 따라 형성된 가톨릭 영성이 지역 사회 전반에 깊이 뿌리내려 있었다. 무레샨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신앙과 성소 의식을 접하였다.

무레샨은 초등학교를 마친 뒤 바이아 마레에 위치한 게오르게 신차이 중등학교에 진학하였다. 그러나 1948년 공산 정권이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를 법적으로 해산하면서 교계제도가 해체되고 교육기관이 폐쇄되었고, 주교들은 체포되었으며 교회 재산은 루마니아 정교회에 귀속되었다. 공식적인 신학 교육은 불가능해졌고, 성소자들은 가정 등 비공식적인 장소에서 은밀히 신학을 공부해야 했다.

무레샨 역시 이러한 경로를 택하였다. 무레샨의 신학 교육 장소나 과정에 대한 공식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의 주교들과 은밀히 연결되어 교회의 전통과 신학을 전수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의 신학 교육은 국가 법률상 불법이었으나, 교회법적으로는 정당한 전승으로 간주되었으며, 모든 활동은 비공개로 이루어졌다.

2.2. 사제 시기

1964년, 루치안 무레샨은 마라무레슈 교구의 보좌주교로서 교구를 치리하던 이오안 드라고미르(Ioan Dragomir) 주교에 의해 사제품을 받았다. 당시 드라고미르 주교는 수감 생활을 마친 뒤 감시를 받는 상태였으며, 서품식이 알려질 경우 무레샨과 드라고미르 주교를 비롯하여 주변 사람들까지 위험해 질 수 있었으므로 서품식은 공적인 인정이나 기록 없이 극비리에 이루어졌다. 무레샨은 자신의 서품을 부모님에게조차 알리지 않았다고 한다. 이로써 무레샨은 지하에서 활동하던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사제단에 합류하였다.

무레샨 신부는 사목 활동을 위해 교사나 기술자 등 세속 직업을 겸하였고, 외형상 일반인으로 생활하면서 가정 공동체를 중심으로 비공식적인 성사 집전과 교리 교육을 이어갔다. 성체성사, 세례성사, 장례 등은 교회가 아니라 사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활동은 지속적인 감시와 위험을 동반하였다.

이와 동시에 그는 성직 후보자들을 위한 신학 교육에도 관여하였다. 정규 교과서나 제도적 틀이 없는 상황에서, 수작업으로 작성된 자료와 구술 교육을 통해 사제 양성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교육은 당시 교회 공동체의 생존과 미래 세대로의 계승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85년 4월 25일 이오안 드라고미르 주교가 사망한 후에는 약 1년 반 동안 교구장 서리 직책을 맡아 교구를 이끌기도 하였으며. 1986년 8월에는 당시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수장 알렉산드루 토데아 대주교에 의해 사제 신분으로 마라무레슈교구장에 임명되었다.

2.3. 주교 수품 이후

1989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무너지고 민주화 된 루마니아가 수립되자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는 법적 지위를 회복하였다. 1990년 3월 14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무레샨 신부를 마라무레슈교구장으로 임명하였고, 같은 해 5월 27일 알렉산두르 토데아 대주교의 주례와 교황대사 귀도 델 메스트리 대주교, 루고지의 이오안 플로슈카루 주교가 공동 집전으로 주교 서품이 이루어졌다. 이는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가 다시금 공적으로 주교를 서품한 첫 사례였다.

교구장으로서 무레샨 주교는 교구 행정의 재건과 함께 신학교 복원, 본당 조직 정비, 교회 재산 회복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동시에 성직자 인사 제도, 전례 교육 체계, 교구 재정의 구조화를 진행하여 교회 생활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는 교황청 및 교황대사와 긴밀히 협력하며 교구의 정상화를 이끌었고, 루마니아 전역의 다른 교구들과도 연대를 강화하였다.

1996년 7월 4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무레샨 주교를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주교로 임명하였고, 이를 통해 무레샨 주교는 당연직으로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수장이 되었다. 착좌식은 블라지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는데, 블라지 대성당은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교구의 주교좌성당인 동시에 1700년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가 로마와의 일치를 선언한 장소로, 교회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곳이다.

2000년 12월 1일, 무레샨 주교는 루마니아 국가기념일을 맞아, 루마니아 대통령 에밀 콘스탄티네스쿠(Emil Constantinescu)의 결재로 최고 등급인 대십자(mare cruce)급의 국가 공로 훈장(Ordinul naţional „Pentru Merit”)을 수훈하였다. 해당 훈장은 루마니아 공화국의 훈장 제도를 규정한 제29/2000호 법률과 헌법 제94조 및 제99조에 근거하여 수여되었으며, 수훈 대상자들은 루마니아 사회와 종교, 공공 봉사에 기여한 고위 성직자들이었다.

이 시기 무레샨 주교는 주교직을 수행하며 루마니아 정교회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소유였던 교회가 루마니아 정교회로 넘어간 것으로,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복권 이후에도 바이아 마레의 성모 승천 대성당과 겔라 주교좌성당 등 몇몇 교회들은 여전히 루마니아 정교회의 소유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2.4. 상급대주교 승품

2005년 12월 16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를 자치교회로 격상시키고,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대주교좌를 상급대주교좌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무레샨 대주교는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로 승품되었으며, 동방 교회법 제151~154조에 따라 시노드 소집, 교회법 승인, 주교 인선 제안 등의 권한을 갖게 되었다.

상급대주교 승품 이후 무레샨 상급대주교는 교회 제도의 자율성과 정체성을 강화하고, 비잔틴 전례 전통에 기반한 전례 교육, 교리 교육, 사제 양성 체계의 재정비를 추진하였다. 또한 해외 루마니아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사목 체계를 정비하고, 시노드 중심의 교회 운영을 활성화하였다.

이 시기에는 특히 2011년 8월 21일에 루마니아 총대주교 다니엘의 주도로 바이아 마레의 성모 승천 대성당의 "재봉헌"이 이루어지며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과 루마니아 정교회 사이에 교회 반환 문제가 다시 크게 불거지기도 했다.

2.5. 추기경 서임과 현재

2012년 2월 18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무레샨 상급대주교를 추기경에 서임하고, 로마에 있는 산 아타나시오 성당(San Atanasio a Via Tiburtina)의 명의사제로 임명하였다. 당시 무레샨 상급대주교는 81세의 나이로,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 유권자 자격은 가지지 못하였다.

추기경 서임 전후로 그는 동방교회성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이 직무를 통해 동방 자치 교회들에 대한 자문 및 제도 관련 업무에 참여하였다.

2015년 6월 6일, 루마니아 대통령 클라우스 요하니스(Klaus Iohannis)가 상급대주교좌 대성당인 성삼위 대성당(Catedrala Arhiepiscopală Majoră „Sfânta Treime”)에서 열린 테 데움(Te Deum) 전례에 참석하였을 때, 무레샨 추기경은 부쿠레슈티의 미하이 주교, 상급대교구청의 클라우디우 주교와 함께 대통령을 환영하였다.

이날 방문의 마지막 순서로, 요하니스 대통령은 블라지 1848 광장에 위치한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상급대교구청에서 무레샨 추기경에게 루마니아 최고 국가훈장인 '장교급(Grad de Ofițer) 루마니아의 별(Ordinul Național „Steaua României”)' 훈장을 비공개 형식으로 수여하였다.

이 자리에서 무레샨 추기경은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하며, 자신의 수훈이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신자 전체가 보여준 증언과 희생에 대한 상징적 보답이라 밝혔다. 추기경은 감옥에서 생을 마친 이들, 자유와 진리를 위해 눈물을 흘렸던 이들, 그리고 공산주의 박해에 맞서 믿음을 지켜온 교회의 역사를 언급하며, 이번 훈장은 단지 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헌신을 기억하는 표식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추기경은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사명이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여 진리와 자유, 그리고 국민 전체를 위한 봉사에 있음을 밝히며, 교회가 문화와 교육, 정의의 옹호에 있어 계속 충실할 것임을 다짐하였다.

무레샨 추기경은 [age(1931-05-23)]세인 현재도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로서 교회 시노드를 주재하고 있으며, 전례, 교리, 교회 제도 전반에 걸친 실무적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나이가 상당한 고령인 탓에 추기경이 모든 일을 주재하기 보다는 보좌주교단과 시노드 조직을 통해 교회의 운영과 사목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1]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을 비롯한 동방 가톨릭 교회의 수장들은 교황에 의해 선출되지 않고 자체적인 시노드를 통해 선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