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5:44:10

로만 돌리제

파일:DOLIDZE_ROMAN_L_08-09.png
로만 돌리제
Roman Dolidze
<colbgcolor=#000000><colcolor=#aa9872,#8c7a55> 출생 1988년 7월 15일 ([age(1988-07-15)]세)
소련 그루지야 SSR 바투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조지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조지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거주지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오데사
신체 188cm / 84kg[1] / 193cm
종합격투기 전적 19전 15승 4패
8KO, 3SUB, 4판정
1SUB, 3판정
링네임 The Caucasian
UFC 랭킹 미들급 12위
주요 타이틀 WWFC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기타 WWFC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방어 1회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전적3. 커리어4. 파이팅 스타일5. 여담

1. 개요

조지아 국적의 UFC 미들급 종합격투기 선수.

2. 전적

3. 커리어

3.1. UFC

3.1.1. 미들급

3.1.1.1. vs. 나수르딘 이마보프
2월 3일, UFC Fight Night 메인 이벤트로 나수르딘 이마보프와 맞붙는다.

이마보프가 4점니킥으로 감점을 당했으나 타격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2:0 머조리티 판정패를 당했다.

3.1.2. 라이트 헤비급

3.1.2.1. vs. 앤서니 스미스
UFC 303카를로스 울버그를 대체해 라이트헤비급에서 앤서니 스미스와 맞붙는다.

뜬금없이 윗체급에서 경기를 가지게 됐는데 심지어 이겼다. 승리 후 본인은 이제 두체급 탑 텐이라며 자랑스러워한 건 덤이지만 라이트헤비급 랭킹에 추가되지 않았다.

하지만 UFC on ABC 7 이후 알론조 메니필드가 랭킹에서 아웃되어 라이트헤비급 랭킹 15위로 들어왔다. 아이러니하게도 본인이 이긴 스미스보다 4단계 아래이다.

3.1.3. 미들급

3.1.3.1. vs. 케빈 홀랜드
2024년 10월 5일에 열리는 UFC 307에서 또 대타로 크리스 커티스를 대신해 웰터급 15위인 케빈 홀랜드와 미들급에서 싸우게 된다.

1라운드 말미 홀랜드가 스크램블 상황에서 늑골 부상을 당하며 1라운드 종료 후 기권 승리를 따냈다.
3.1.3.2. vs. 마빈 베토리 2
2025년 3월 16일 UFC Fight Night 254에서 5라운드 메인이벤트로 마빈 베토리와 2차전을 치룬다.

3라운드를 제외하고 모든 라운드를 타격에서 우세한 모습을 보이며 49-46으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3라운드 베토리의 펀치에 큰 위기를 맞았으나 생존형 테이크다운 시도로 위기를 빠져나왔다. 그리곤 흐름을 빼앗기지 않고 타격에서 우세한 모습을 이어가며 무난한 판정승을 거뒀다.

승리 이후 이스라엘 아데산야로버트 휘태커를 콜아웃하였다.
3.1.3.3. vs. 앤소니 에르난데스
2025년 8월 10일 UFC on ESPN 72에서 맞붙는다.

1라운드부터 타격, 그래플링 양면으로 압박하는 앤소니에게 고전하였고 2라운드부터는 체력에 적신호가 오며 전방위로 압도당한 끝에 4라운드에는 체력이 다하여 케이지 사이드에서 니킥을 수차례 허용했고 너무나 쉽게 목을 내주어 리어 네이키드 초크를 당하며 패배하였다.

전반적으로 앤소니의 타격 실력 발전이 돋보였으며 돌리제의 부실한 타격 방어 능력과 앤소니의 무한 체력을 기반으로 한 압박과 진흙탕 싸움에 말리며 체력이 급격히 소진된 것이 패착으로 보인다.

4. 파이팅 스타일

삼보와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베이스로 하는 그래플러 타입이지만, 경기에서는 주로 타격으로 풀어가려는 성향이 매우 강한 웰라운더 타입이다. 경기 초반 좌우 스위치를 활용해 뚜벅뚜벅 걸어들어가며 압박을 하다가 상, 중, 하로 킥을 섞는다. 상대가 들어오면 훅으로 받아치고 먼저 들어갈땐 투-훅-오른손 오버핸드를 던진다. 훅과 킥의 파워가 상당해서 넉아웃시킨 경기도 꽤나 있다. 스위치를 통해 들어갔다가 상대가 나오는 방향에 던지는 스피닝 백 피스트도 잘 던진다. 클린치 상황에서 니킥도 상당히 강하다.

주짓수와 삼보를 베이스로 하는 그래플러답게 체급 내에서 그래플링도 상당한 편이다. 특히 체급 내에서 뛰어난 그래플링 실력을 가진 웰라운더인 잭 허맨슨에게 테이크다운 당했지만 암바로 스윕에 성공했으며 2라운드땐 암바-트라이앵글 초크-카프 슬라이서로 이어지는 서브미션 콤비네이션을 활용하여 TKO승을 거두었다.

단점은 부실한 안면방어와 타격 패턴이 단조로워 훅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매 경기마다 카운터를 많이 허용하는 편이고 베토리전에서 주무기인 오버핸드로 베토리를 초반 위기에 빠뜨렸으나 베토리가 패턴을 파악하고 오버핸드를 가드나 스웨이로 막고 앞손과 앞발로 유효타를 쌓아갔고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테이크다운 성공률이 높은 편은 아니다.

5. 여담


[1] 평소 체중은 100kg[2] 다만 이건 치마예프가 탭을 치지않고 끝까지 버티다 발생한 사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