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14:10:55

레그노사우루스

레그노사우루스
Regnosaurus
파일:640px-Regnosaurus.jpg
학명 Regnosaurus Northamptoni
Mantell,, 184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조반목Ornithischia
아목 †장순아목Thyreophora
하목 †검룡하목Stegosauria
†후아양고사우루스과Huayangosauridae
레그노사우루스속Regnosaurus
  • 레그노사우루스 노르탐프토니(R. Northamptoni)모식종

1. 개요2. 발견의 역사3. 생태

1. 개요

1억 4000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전기 유럽에 살았던 검룡류 공룡의 일종. 속명은 '서식스 레그노의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이 녀석의 화석이 발견된 서식스라는 지역에 거주하는 영국 부족인 레그니(Regni)에서 유래 했다.

2. 발견의 역사

1839년 영국, 이구아노돈을 학계에 보고한 멘텔에 의해 오른쪽 하악골 일부로[1] 처음 알려졌으며 당시 멘텔은 치아 상태를 보고 이 화석의 주인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이구아노돈의 어린 개체라고 단정짓고 1841년 2월 8일에 영국 왕립학회에 논문을 제출 하였다. 하지만 리차드 오웬이 해당 화석이 이구아노돈과 연관성이 부족하다며 이의를 제기 했다.

이후 멘텔은 이구아노돈에 대한 자부심 때문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해당 화석을 이구아노돈과에서 제외시키는 대신 근연종으로 재분류하여 1848년 레그노사우루스 라는 학명을 부여한다. 몸길이는 대략 4m 정도 였을것으로 보고있으며 와이트섬에서 레그노사우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단편적인 화석이 발견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레그노사우루스와는 비교가 안되는 다른 부위라서 증명 된 바 없다.

1848년 학명이 부여된 이후 레그노사우루스는 수많은 위치 변동을 겪어야 했는데 처음에는 이구아노돈과로 분류 되었으나 1888년 리처드 리데커에 의해 곡룡류로 분류 되었고 1909년 프리드리치 본 휴네는 레그노사우루스가 곡룡류와는 거리가 멀다 판단하여 검룡류로 분류 했다.

하지만 알프레드 본 지텔은 휴네박사의 연구가 틀렸다 주장하며 1911년에 곡룡류 보다 더 원시적인 스켈리도사우루스과로 분류 했으며 이 분류는 오래 유지되다가 1956년 알프레드 로멜 박사는 스켈리도사우루스 보다 훨씬 더 진보적인 힐라이오사우루스의 동의어로 간주 했으며 이후 존 오스트롬 교수는 레그노사우루스가 어쩌면 용각류일지 모른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렇게 뒤죽박죽 분류가 이어지다 최근에 들어선 1993년 조지 올 셔스키가 다시 레그노사우루스를 검룡류라고 주장 하였으며 2년 뒤 폴 바렛과 폴 어처가 셔스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발표하면서 레그노사우루스는 잠정적으로 검룡류로 분류 되었으며 더 나아가 턱의 구조가 중국에 서식한 후아양고사우루스와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검룡류의 하위그룹인 후아양고사우루스과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학계에선 화석의 단편성을 이유로 레그노사우루스를 의문명으로 보고 있다. 만일 레그노사우루스가 검룡류가 확실하다면 녀석은 지구상에서 인류에게 최초로 알려진 검룡류가 된다.

3. 생태

당시 레그노사우루스가 서식하던 턴 브릿지 워드허스트 점토층은 발랑장절의 연대에 해당하며 그곳에서 조각류 바릴리움, 곡룡류 힐라이오사우루스, 용각류 펠로로사우루스, 소형 수각류 발도랍토르와 공존했으며 스피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대형 수각류 수코사우루스가 주요 천적 이었을 것이다.


[1] 이것이 유일한 레그노사우루스의 화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