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몬 테이머즈: 폭주 디지몬 특급 (2002) Digimon Tamers: The Runaway Digimon Express デジモンテイマーズ 暴走デジモン特急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디지몬 애니메이션 극장판 시리즈 | |||||
모험자들의 싸움 | ▷ | 폭주 디지몬 특급 | ▷ | 고대 디지몬 부활!! | }}}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 애니메이션, SF, 액션 | |||||
감독 | 카이자와 유키오, 나카무라 테츠하루 | |||||
각본 | 마사키 히로 | |||||
원작 | 혼고 아키요시 | |||||
주연 | 츠무라 마코토, 야마구치 마유미, 타다 아오이, 노자와 마사코, 오리카사 후미코, 이마이 유카 | |||||
음악 | 아리사와 타카노리 |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상영 시간 | 30분 | |||||
일본 박스오피스 | 20억 엔 | |||||
국내 스트리밍 | [[왓챠| WATCHA ]]
| |||||
상영 등급 | 불명 |
1. 개요
디지몬 테이머즈의 두 번째 극장판. 원피스 극장판 3기 《진귀한 동물섬의 쵸파 왕국》과 동시상영.초반에 등장하는 은세나가 입은 티셔츠의 하트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계절적 배경이 봄이라는 걸 보면 TV판 데리퍼 사건 이후의 시간대로 추정된다.[2]
로코몬과 패러사이몬이 처음으로 영상화되었으며, 수익은 20억 엔으로 디지몬 극장판 중 흥행 순위 3위를 기록했다.
2. 줄거리
돌연 현실세계에 리얼라이즈한 로코몬이 폭주한다. 그리고 하늘에 보이는 디지털 존. 로코몬의 목적은 폭주를 통해 시공을 비틀어 디지털 존을 여는 것이었다. 그리고 로코몬을 조종하는 건 다름 아닌 패러사이몬. 패러사이몬이 로코몬에 기생한 이유는 로코몬으로 하여금 디지털 존을 열게 하여 그곳을 통해 자신이 리얼라이즈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리하여 침략이 시작되고 궁극체로 변신한 주인공들이 싸우지만, 압도적인 물량에 의해 밀리기 시작한다. 질 수 없다고 결심한 타카토의 결심이 그라니를 불러와 듀크몬 크림슨 모드로 융합하고, 크림슨 모드의 공격 한방에 모든 패러사이몬들은 사라지고 로코몬은 디지털 세계로 돌아간다.
3. 등장인물
3.1. 디지몬
<colcolor=#000000,#dddddd> 성장기 | 성숙기 | 완전체 | 궁극체 |
길몬 | 그라우몬 | 메가로그라우몬 | 듀크몬 |
테리어몬 | 가르고몬 | 래피드몬 | 세인트가르고몬 |
레나몬 | 구미호몬 | 도사몬 | 샤크라몬 |
로프몬 | - | - | - |
임프몬 | - | - | 베르제브몬 |
- | - | 사이버드라몬 | 저스티몬 |
- | 가드로몬 | - | - |
- | - | - | 마린엔젤몬 |
- | - | 로코몬 | 그랜드로코몬 |
- | - | - | 패러사이몬 |
- 기타 : 동글몬
4. 사운드트랙
OP The Biggest Dreamer | |
일본판 | |
한국판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
작사 | |
작곡 | 오오타 미치히코(太田 美知彦) |
편곡 |
ED 夕陽の約束 석양의 약속 | ||
일본판 | ||
한국판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 |
작사 | | |
작곡 | 이즈미카와 소라(泉川 そら) | |
편곡 | 아베 야스히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한국판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시 또 그 때 그 날이 돌아오길 지는 태양도 다시 날 찾는 것처럼 노을빛에 잠드는 저 태양 속에서 좋은 날을 기다릴 거야 홀로 서는 건 쉽지 않은 걸 아무도 도와줄 수 없어 하지만 내 곁을 다정히 지켜주던 눈길이 있었어 지금도 들려오는 걸 내 맘을 돌봐주던 속삭임 마음에 남겨진 그 손길 따뜻한 느낌 아직까지도 내겐 정말 선명한데 다시 또 그 때 그 날이 돌아오길 지는 태양도 다시 날 찾는 것처럼 (어둠 속에 잠겨도 날 지켜준다는 약속 믿고 있어 눈물은 쉽게 흘리지 않을 거야 내게 남겨진 세상이 차갑다 해도)[3] 노을빛에 잠드는 저 태양 속에서 좋은 날을 기다릴 거야 |
전작 극장판에 비해서 별다른 임팩트는 남기지 못했지만 주요 테마곡이자 엔딩곡인 《석양의 약속》은 두고두고 명곡으로 회자된다. 작품에 대한 평가는 박할지언정, 이 곡만큼은 현실 팬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높은 인기를 보유하고 있어 작중에서도 유민과 레나몬이 아름다운 노래를 듣게 되어 좋다고 평가한 바 있으며, 이를 면전에서 들은 유민이 극장판 막바지에 친구들에게 세나가 노래를 잘한다고 언급한 묘사도 있다.
대부분의 시청자, 특히 더빙판을 주로 접한 시청자들은 임지숙의 엔딩 버전보다 세나의 성우인 김은아의 삽입곡 버전을 더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더빙판은 가사부터 아버지와 함께 했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느낌이 돋보이며, 삽입곡의 잔잔한 분위기 또한 그러한 느낌을 잘 살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엔딩 영상의 경우 일본판은 생일파티 이후의 모습들이 나오지만, 더빙판에서는 논크레딧 엔딩을 제공받지 못해 세나와 아버지가 나오는 장면이 또 나온다.
잘 들어보면 샤크라몬의 진화씬 테마곡의 멜로디에서 따온 것을 알 수 있다.
5. 평가
| |
신선도 없음% | 관객 점수 63% |
<nopad> |
|
|
별점 없음 / 10 |
|
별점 3.91 / 5.0 |
|
별점 7.7 / 10 |
|
별점 2.5 / 5.0 |
| |
지수 없음% | 별점 / 5.0 |
|
평점 없음 / 10 |
|
별점 4.0 / 5.0 |
|
평점 7.06 / 10.0 |
기준: / () |
6. 기타
- 디지몬 시리즈의 모든 극장판을 통틀어 히로인을 테마로 내세운 유일한 작품이다. 극장판에 개인 테마곡이 사용된 것도 이 작품이 유일하며, 개봉 이후 수십 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최상위권의 인기도를 유지하고 있는 은세나의 영향력을 다시 한 번 실감할 수 있게 해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 TV판과 달리 아이들과 디지몬들이 현실 세계에서 함께 살아가는 해피 엔딩이라 이쪽을 지지하는 팬도 많다. 이 때문에 팬들도 이 극장판을 진엔딩 겸 정사로 여겼으나 드라마 CD 2018년판에는 코나카 치야키의 언급에 의해 드라마 CD가 정사로 확정되면서 이 극장판은 결국 어나더 스토리가 되었다.
- 2D 파트가 모두 셀 작화인 마지막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