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4:00:24

디 아더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보드 게임}}}에 대한 내용은 [[디 아더스: 세븐 신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 아더스: 세븐 신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 아더스: 세븐 신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보드 게임: }}}[[디 아더스: 세븐 신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 아더스: 세븐 신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 아더스: 세븐 신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호러 영화상
제27회
(2000년)
제28회
(2001년)
제29회
(2002년)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디 아더스
<colcolor=#fff><colbgcolor=#000> 디 아더스 (2001)
The Others
파일:영화 디 아더스 재개봉포스터.jpg
▼ 북미 포스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Others.jpg
장르 미스터리, 공포
감독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각본
제작 페르난도 보베라
호세 루이스 쿠에르다
박선민
기획 톰 크루즈
폴리 와그너
봅 와인스틴
하비 와인스틴
릭 슈왈츠
출연 니콜 키드먼
피오눌라 플래너건
크리스토퍼 에클스턴
일레인 캐시디
에릭 사이크스
알라키나 만
제임스 벤틀리
르네 애셔슨
음악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제작사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즈
소헤시네
라스 프로둑시오네스 델 에스코르피온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로비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시네마천국[재개봉] 
배급사 스튜디오카날
파일:미국 국기.svg 디멘션 필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씨네월드, 미로비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와이드릴리즈[재개봉]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9월 17일[재개봉]
상영 시간 104분
제작비 1,7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210,002,906
북미 박스오피스 $96,578,502
대한민국 총 관객수 714,730명 (서울) / 1,512명[재개봉]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출연5. 줄거리6. 평가7. 기타

1. 개요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가 연출한 2001년 공포 영화로, 니콜 키드먼이 주연을 맡았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빛을 보지 못하는 희귀병을 앓는 두 아이와
그런 아이들을 홀로 지키며 어둠 속에서만 살아가는 여인.
어느 날 3명의 새로운 하인이 그녀의 집에 찾아왔다.

잠이 들면 들려 오는 기괴한 속삭임.
아무도 없는 방에서 흘러나오는 피아노 소리.
위 층에서 들려오는 아이들의 발소리…

그들이 이 집에 들어온 뒤,
기이한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4. 출연

5. 줄거리

제2차 세계 대전이 막 끝난 1945년, 영국 해협 채널 제도의 외딴 저택에는 독실한 천주교도 그레이스(니콜 키드먼 분)가 2차 대전에 참전한 남편 찰스(크리스토퍼 에클스턴 분)를 기다리며 빛 알레르기를 가진 두 아이들과 산다. 어느 날 집안일을 돌보는 하인들이 모두 갑자기 사라지고, 예전에 이 저택에서 일한 적이 있다는 세 명의 하인들이 찾아와 대신 일하게 된다. 그레이스는 두 아이들을 빛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커튼은 항상 쳐야 하고, 문은 항상 잠겨야 한다는 '절대 규칙'을 하인들에게 가르친다.

그러나 이와 때를 같이 해 저택에는 기괴한 일들이 끊이지 않는다. 아무도 없는 방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리고, 피아노가 갑자기 연주된다. 또한 딸 앤은 이상한 남자 아이와 할머니가 이 집에 머문다는 얘기를 반복한다. 신에 대한 믿음이 강한 그레이스는 그런 딸의 말을 믿지 않으나, 세 명의 하인들이 사라지고 그 하인들이 죽은 자로 밝혀지자[5] 두려움은 점점 더 커져만 간다. 마침내 그레이스는 그들을 위협하는 공포의 실체와 마주하는데...

===# 진실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레이스와 아이들, 중간에 잠시 돌아온 남편 찰스, 그리고 저택에 살았다던 세 명의 하인들은 모두 유령으로 밝혀진다.

새로 들어온 하인들은 과거 이 집에서 일했다고 언급하는데, 그들은 19세기 사람들로 과거 이 집에서 일하다 당시 유행한 결핵에 감염되어 죽은 뒤 그레이스 가족의 일을 듣자 사실을 알려주려 찾아온 것이다. 초반에 여자 하인이 아이들을 과보호하는 그레이스에게 '한번 시험 삼아 빛을 쬐어보라. 오래 병을 앓다 어느 날 문득 병이 낫는 것을 나도 봤다.'고 얘기하는데, 이것은 죽음을 암시하는 것이었다.[6]

그레이스와 아이들이 언제 죽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은데, 채널 제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에 점령당한 적이 있어, 독일군이 집을 수색하자 숨어 있던 그레이스가 아이들을 조용히 시키기 위해 베개로 입을 막았다 이 때문에 아이들이 질식사하자 자신도 죄책감에 총으로 자살했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훗날 저택으로 이사 온 말리시 부인이 히스테리를 부리며 "여자가 미쳐서 아이들을 죽이고 자기도 자살한 거다"라고 소리 지르는 것이나, 그레이스가 아이들에게 예민하게 굴자 앤이 엄마는 미쳤다고 불평하는 씬이 계속 나오고, 찰스가 잠깐 집에 들렀을 때[7] 앤이 엄마가 우리를 해쳤다고 아빠에게 말해 찰스가 그레이스를 추궁하는 씬을 감안하면, 편두통을 앓아 약을 복용한 그레이스의 특성상 순간적으로 폭발해 아이를 해쳤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튼 그레이스와 아이들이 어느 날 모두 죽어버리자, 자연히 집에 있을 이유가 없어진 하인들이 집을 떠난 것이고, 폐가라 수취인이 없으니 정기적으로 우편물을 배달하고 받아가는 집배원도 오지 않았으며, 그레이스가 의지한 천주교 신부 역시 교우가 죽었으니 발길을 끊은 것이다. 이에 그레이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어나 보니 아이들이 평소처럼 놀고 자신 역시 살아 있자 신이 준 기회인 줄 알고, 깨끗이 참회한 뒤 제대로 키울 생각이었다고 아이들에게 고백한다.

정작 그레이스와 가족들이 두려워한 유령들이 사실은 현재 이 집으로 이사한 살아있는 사람들이고, 또한 사람들을 놀래키는 하얀 눈을 가진 시각 장애인 노파는 영매로, 앤의 얘기를 듣고 아이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음을 파악한 영매가 너희들은 죽었다고 사실대로 말하자, 이에 경악한 그레이스와 아이들이 우리는 죽지 않았다고 소리 지르며 주변 집기들을 흔들어대고 영매가 접촉한 기록을 남긴 종이를 찢는 등 혼란해하는데, 이때 장면이 전환되어 폴터가이스트 현상처럼 집기들만 움직이고 종이가 공중에 떠 찢긴다.

결국 저택으로 들어온 새 안주인이 그레이스를 필두로 한 유령들의 협박에 기가 질려 남편에게 이제 더는 못 참겠으니 우리 애를 위해서라도 나가자고 호소해 남편도 동의하여 집을 팔고 나가는 것으로 영화가 끝난다. 이들이 떠나자 아이들은 "이젠 햇빛을 봐도 아무렇지 않아요."라고 말하고, 그레이스는 아이들을 감싸안으며 "이 집은 우리 집이야."라고 속삭인다.

6.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74 / 100 점수 8.7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f93208><bgcolor=#f93208,#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83% 관객 점수 77%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6c700,#f6c700><tablebordercolor=#f6c700,#f6c700><tablebgcolor=#fff,#1c1d1f>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가장 아름다운 하우스 호러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이 서른 살도 안 되었을 때 만든, 어쩌면 일생 최고의 작품으로 남을 수도 있을 작품, 2001년 영화니 이미 보신 분들도 많겠지만, <디 아더스>는 정말 반드시 영화관에서 봐야 할 영화다. 단 한 장면도 허투루 찍지 않은 촬영, 감독이 직접 작곡한 음악, 섬세한 사운드 효과 등이 어우러진 감각적 경험은 영화관에서만 가능하기 때문. 여기에 니콜 키드먼의 창백한 아름다움과 리얼한 연기는 화룡점정. 막판 반전은 충격적이면서도 슬프다.
김형석 | ★★★★
‘기막힌’ 반전, 소스라치게 놀라거나 실망하거나
홍성남 | ★★★
연출도, 스토리도 <식스 센스>
심영섭 | ★★★
자폐증을 앓는 시대, 은총의 빛은 언제 오는가
박평식 | ★★★☆
빼어난 기교에 더해진 우아함
김봉석 | ★★★☆
이동진 | ★★★★

주요 등장인물이 죽은 줄 모르고 집에 붙은 지박령이 됐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는 반전은 영화 식스 센스가 먼저 보여준 연출이긴 하나 그럼에도 상당한 반전으로 꼽힌다.

영화에는 그레이스와 아이들이 이미 죽었다는 복선이 꾸준히 나온다. 아이들의 선천적인 질병으로 햇빛을 받으면 안 되기에 그레이스가 하인들에게 신신당부하여 낮에는 늘 커튼을 쳐 두는데, 어느 순간부터 집의 커튼이 걷히다 급기야 집의 모든 커튼이 순식간에 사라진다.[8] 그럼에도 아이들은 아침이 될 때까지 햇빛에 노출된 사실을 모르고 잘 자며, 나중에야 커튼이 사라진 것을 알고 패닉 상태가 되는데, 빛을 보면 수 분 안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던 아이들은 멀쩡하다.

또한 그레이스가 오지 않는 천주교 신부를 만나러 가기 위해, 한 치 앞도 안 보일 정도로 짙은 안개를 무릅쓰고 길을 나섰다 남편 찰스를 만나자 함께 돌아와 가족과 상봉하는 씬도 복선이다. 마치 죽은 사람을 다시 만난 것처럼 다신 못 보는 줄 알았다며 진심으로 반가워하다 눈물을 흘리며 자신의 품에 안기는 그레이스를 본 찰스는 믿을 수 없다는 듯한 미묘한 표정을 짓는다. 그리고 아빠를 만난 앤은 그레이스에게 아빠가 죽은 사람들을 많이 봤더라는 말을 하는데, 그들 모두 정말 죽은 사람이었다. 산 사람이라면 유령이 된 자신을 알아보지 못해야 정상일 처자식이 자신을 알아보자 상당히 당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앤으로부터 엄마가 자신과 동생에게 저지른 짓에 대해 듣자, 그레이스를 추궁하다 그녀로부터 아이들을 사랑했을 뿐이라는 얘기를 듣을 찰스의 씁쓸한 모습도 곱씹어 보면 후유증이 크다. 그로서는 자신이 죽어 돌아오지 못했기에, 아내가 아이들을 죽이게 만들었다는 죄책감을 감당하기 힘들었을 것이다.[9] 실제로 그는 처자식이 자신을 몹시 기다렸다는 사실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레이스와 하룻밤을 보내자마자 바로 떠난다.[10]

스페인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고야 어워드에서 작품상과 최우수 감독상을 포함한 8개 부문을 수상했고[11], 새턴상에서는 최우수 호러 영화와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포함한 3개 부문을 수상했다.

니콜 키드먼은 2002년 제5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로 올랐다.[12]

7. 기타



[재개봉] [재개봉] [재개봉] [재개봉] [5] 관련 사진이 남아있었다. 집 안에서 발견된 사진첩에 찍힌 사람들이 모두 눈을 감은 것을 보고 그레이스가 잠든 모습을 찍었냐고 묻자 하인이 그 사진의 주인공은 진짜 시체가 맞다면서,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을 기리기 위한 일종의 종교적인 의식으로 시체를 사진을 찍는 풍습이 있었다고 설명하는데, 그 사진첩에는 하인들의 사진도 있었다. 또한 마당에 있는 세 개의 묘비는 하인이 낙엽을 쌓아 숨겨두었다.[6] 세 명의 하인 중 젊은 여자 리디아는 처음에 자신이 죽었다는걸 몰랐다고 한다. 나중에서야 그 사실을 받아들였고 이로 인해 말문을 닫게 되었다.[7] 사실 찰스도 전쟁터에서 죽었으며 망령이되어도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모른채 세상을 떠돌다가 자신이 살던 집에 잠시 들린 것이며 하루 묵은 뒤 그레이스 만류에도 집을 떠난다.[8] 이는 살아있는 거주자들이 그들 입장에선 저절로 닫히는 커튼을 도로 여는 것을 견디다 못해 어느 순간 전부 제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레이스는 뜯어진 커튼을 찾으려 하나 집안 어디서도 찾지 못한다.[9] 찰스는 이때부터 그와 온 가족이 죽었다는 것을 알아챈 것으로 보인다. 실제 그가 떠나기 전날 앉은 침대가 거울에 비춰질 때 찰스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이전 장면에는 그레이스와 아이들의 모습들이 거울에 비춰지는데,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이들은 거울에 반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본인의 죽음은 받아들였으나 자신 때문에 림보에 갇힌 아내, 자식들과 한 지붕 아래에서 살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11] 스페인어가 전혀 나오지 않는 영화의 최초 작품상 수상이다.[12] 같은 시상식에 물랑 루즈로 영화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13] 톰 크루즈니콜 키드먼은 이 작품을 포함해 총 네 편의 영화를 같이 했는데 1990년작 《폭풍의 질주》, 1992년작 《파 앤드 어웨이》, 1999년작 《아이즈 와이드 셧》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