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8 01:36:42

등산화

파일:external/www.7peak.co.kr/007041000008.jpg

수입 등산화 브랜드 아쿠(이탈리아)의 타이가.

1. 개요2. 한국의 등산화3. 특징
3.1. 견고성3.2. 접지력
4. 중등산화와 경등산화5. 등산화 고르기6. 관련 항목

1. 개요

등산할 때 신는 신발을 등산화라고 통칭하지만 등산이라는 행위의 종류나 난이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당연히 특정한 형태의 신발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암벽 등반을 하는 사람들은 암벽에 접근할 때까지는 일반적인 등산화 혹은 어프로치화 또는 릿지화라고 부르는 경량의 등산화를 신고 암벽을 오를때에는 암벽에 대한 접지력이 극대화된 신발을 신는다. 고산 등반가들의 경우 무게는 무겁지만 방수 투습 기능이 극대화되어있는 등산화를 신는다. 이런 신발들을 모두 등산화라는 카테고리에 포함할 수 있겠지만 신발의 형태나 기능, 용도는 구두와 운동화 이상의 차이가 있다.

2. 한국의 등산화

한국에서 등산이라고 불리는 행위는 서구권의 하이킹(Hiking)에 가깝다. 장시간 하이킹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신발들을 보통 등산화라고 부른다.

백두산, 한라산 같은 것이 아니라면 한국에서 등산이라고 하면 5시간 이내에 관악산 정도에서 잘 정비된 등산로를 걷는 수준이기 때문에 운동화로도 가능은 하다. 한국의 등산로는 대부분 지자체와 등산객들에 의해 흙이 평탄하게 눌려져 있으며, 일부 등산로는 나무틀까지 깔려있다. 이 정도의 등산로를 건강한 청소년~성인이 걷는다면 등산화보다는 운동화를 싣는 쪽이 더 가볍고 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바위나 자갈길이라면 운동화보다는 등산화를 사용하는 쪽이 더 좋다. 바위를 밟으며 내려올 경우, 바위의 모서리 하나하나가 당신의 발바닥을 지압봉마냥 찔러대는 운동화와 튼튼한 밑창의 등산화는 체감이 매우 다르다. 이런 경우 운동화는 바위길 위에서의 지지력과 안정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여차하는 사이에 발목을 삘 확률이 매우 높다. 안전 이외에도, 운동화가 지저분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파손되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흔히 평상시 착용하던 캐주얼 운동화라면 매우 난감하다. 자주 등산을 즐긴다면 트래킹화는 한 족 정도 장만해 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단순한 운동화 신고 북한산 백운대 정도만 가도 "등산화 '꼭' 구매해야지" 하는 생각이 든다.

3. 특징

3.1. 견고성


파일:external/www.townbreakstirling.com/Running-Shoe.jpg
일반적인 운동화(러닝화)는 패브릭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파일:external/gearx.com/akurocklite.jpg
목이 없는 등산화임에도 패브릭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쪽에 덧대어져 있는 고무 같은 것이 바로 토캡이다.

3.2. 접지력

한국의 산은 암릉이 많기 때문에 릿지화 수준의 접지력이 있는 등산화를 신는 것이 좋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한국은 대개의 경우 등로가 매우 잘 정비되어 있어 접지력이 떨어지는 신발을 신는다고 해서 큰 고생을 한다든지 사고가 난다든지 하는 일은 거의 없다.단 암릉이나 등산로의 정비가 미흡하고 작은 바위들이 혼재된 경우에는 비브람 창의 경우는 미끄럽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1]

가끔은 비브람과 같은 외산 아웃솔은 화강암이 혼재된 한국산악 지형에 잘 맞지 않다는 의견이 있는 편이나 비브람에서 Mega-grip 창이 출시되며 암릉에서의 접지력도 대폭 개선되었다. 비브람의 경우 해외 산악 지형에 맞는 제품들이 초기에 많이 들어왔는데, 앞서 언급한 메가그립이 아닌 이상 화강암 지형의 국내 산악지형에서의 접지력은 떨어지는 편이나 그럼에도 내구성은 대부분 좋은 편이다.

메가 그립 같은 경우는 아직까지는 국내 등산화에 많이 적용되어 있지는 않으나 암릉 지형에서의 접지력이 대폭 개선되었으며, 흙길에서의 효용성도 높아 비브람의 접지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실제로 비브람 메가 그립은 국산 캠프라인의 Ridge-Edge와 비교했을 때 바위에서의 접지력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 수준이며 흙길에서는 더 나은 부분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일장일단이 있기는 하나 사실상 동급인 셈이다

등산화를 구입할 때 접지력은 중요한 구매요인 중 하나이긴 하나 본인의 산행능력과 체력이 뛰어나거나 암릉 위주의 산행이 아닐 경우 일반적인 비브람 창도 충분히 제 역할을 한다. 눈길이나 혹한의 기후에서는 부틸고무 소재의 창의 접지력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으나 겨울산행이나 눈길에서의 산행에서는 아이젠을 착용하므로 장기산행시 발의 피로도가 덜한 비브람 창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접지력 외에 내구성, 착화감, 장시간 산행시 발의 피로도, 발목 보호, 하산시 발의 쏠림방지, 어퍼의 소재, 등등 등산화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산행경력과 선호하는 코스, 계절, 본인의 족형에 맞는 신발, 디자인 등 여러 목적에 적합하고 가격이 적합한 제품을 구매하면 된다.

4. 중등산화와 경등산화

파일:20200107_AA3E7E087F76A6A5.jpg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중등산화와 경등산화로 구분하기도 한다. 중등산화는 기능이 많고 더 튼튼하며 장거리 산행에 적합하지만 무게가 무겁고 비싸다. 또한 외피 가죽이나 소재가 견고하고 밑창이 딱딱하며[2]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10시간 이상의 장시간 산행, 1박 이상의 산행 등 장기간 및 무거운 짐을 매고 등반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편이며 반면 경등산화의 경우 기능이 적고 덜 튼튼하지만 신발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기간이 없어 바로 편하게 운동화처럼 신고 다닐 수 있으며 5시간 수준의 산행시에는 중등산화에 비해 더 편하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고 무게도 가볍다.

당일 산행 위주의 가벼운 등산이라면 경등산화로 충분하다. 굳이 비싼 돈을 들여 중등산화를 구입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무거운 짐을 지고 장거리를 걷거나 지리산 종주와 같은 장거리 산행을 자주 하거나 발목이나 무릎이 좋지 않은 경우 중등산화도 좋은 선택이 된다. 그러나 중등산화는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등산경력과 동시에 어느 정도 체력이 되어야 진가를 느낄 수 있다.[3] 그 전에는 그냥 무겁고 딱딱한 신발일 뿐.

5. 등산화 고르기

유명 등산로 입구에는 흔히 등산화하면 연상되는, 빨간색과 회색이 어우러진 중국산 경등산화를 판매하고 있지만 굳이 이런걸 사기보단 적어도 이름값하는 회사의 것을 사는게 낫다. 오래 신지 못하고 금세 낡아버리는 이름없는 중국산 등산화보다 훨씬 튼튼하며, 창갈이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AS가 용이하다. 가격도 이월상품이나 할인기간 등을 잘 찾아보면 튼튼한 등산화를 비교적 싼 가격에 구매할 수도 있다.

패브릭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있거나 통가죽으로 된 등산화가 좋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정상적인 등산화들은 이렇게 만들어져 있다.

설산이나 우중 산행을 하지 않더라도 산에서 신발이 젖을만한 상황은 꽤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방수 기능이 있는 등산화를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산이든 냇가를 건너거나 할 경우는 분명히 발생할 수 있다. 겨울에 신발에 물들어가서 발이 얼어붙는 기분은 겪어봐야 안다.[4]

초기 구매 가격은 비싸지만 가죽을 많이 쓴 등산화가 내구성이 좋은 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 발과의 궁합이다. 아무리 기능과 브랜드, 평판이 좋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본인 발에 맞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일단 신어보고 발이 편한 것으로 구매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이즈도 꽤나 중요한데, 발 앞부분에 조금 여유가 있어야 한다. 앞부분에 여유가 없다면 하산길에 신발 앞부분을 발가락 끝으로 계속 차고 누르는 상황이 되어 하산길 내내 무지무지 고통스러울뿐만 아니라 지속될 경우 발톱에 피멍이 들거나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으로 구입한 경우, 배송비 아깝고 귀찮더라도 필히 교환하여 맞는 사이즈로 신자.

다이얼식 조임끈을 요즘 등산화에 많이 적용하는데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다이얼이 고장날 경우 아주 골치아픈 상황이 생기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굳이 편의성을 중시하겠다면 AS가 잘 되는 브랜드 제품으로 구입하자. 다만 2010년대 다이얼들도 고장나는것보다 밑창이 달아 떨어져버리거나 아예 윗몸과 분리되어버리기 시작하는게 먼저였다보니 하드코어한 등산이 아닌 일상이나 가벼운 등산이라면 별 상관없는 문제이다.

등산화를 살 때 여분의 끈이 달려 오는 데 웬만하면 배낭에 넣어두자. 산행중에 끈이 끊어지거나[5] 아웃솔과 미드솔이 분리되는 가수 분해 현상 발생시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6. 관련 항목



[1] 다만 서울관악산이나 북한산과 같이 정상까지 가는 길에 암릉을 거쳐야 하는 일부 루트를 선호하는 중급자라면 접지력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2] 중등산화의 대표적인 조건이다[3] 가령 캠프라인 사의 블랙스톰 시리즈는 전투화보다도 무겁다! 대신 등산에서의 안정성은 전투화보다 더 우위이다.[4] 겨울이 아니더라도 신발 안에 물이 차는 것은 장기 산행에 있어서 치명적이다. 발의 피부가 물에 불어서 약해지는 것은 물론이요, 마찰이 많아져 물집도 잘 나게 되어 걷는 게 기본인 등산에서 치명적이다. 거기다 체력도 엄청나게 소모되게 된다. 겨울에는 물론 동상의 위험이 매우 높기에 지금 바로 움직여야 할 정도로 급박한 상황이 아니라면 당연히 양말을 갈아 신든가 한 후에 이동을 해야 한다. 동절기의 설악산의 경우 영하 40도가 될 때가 있을 정도로 매우 춥기 때문에 그러지 않으면 거의 100% 동상에 걸린다.[5] 다만 웬만해선 끊어질 일은 없다. 클라이밍이면 모를까 일반적인 트래킹 수준에선 끈이 끊어지기 전에 밑창이 닳아서 등산화를 바꾸게 된다.[6] 대부분의 등산화 브랜드는 안전화를 같이 파는데. 등산화에서 밑창을 고무와 파일론, 폴리우레탄을 조합해서 견고하게 만들고 앞코를 철판으로 덧대면 안전화가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