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2:12:00

듄 실사영화 시리즈/사운드트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듄 실사영화 시리즈

1. 개요

듄 실사영화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을 다룬 문서.

한스 짐머오리지널 스코어 작곡을 맡았다. 10대일 때부터 원작의 팬이었고 머릿속으로 영화가 완성되어서 린치의 영화는 보지 않았다고 한다.[1] # 첫 만남 때 빌뇌브가 "혹시 듄이라고 알아요?"라고 말을 꺼내자 상당히 흥분해서 빌뇌브가 당황할 정도로 대답했다고 한다. 한스 짐머는 영화 편집 기간에도 수 많은 곡들을 보냈고, 영화가 완성 되었는데도 Part 2를 위한 곡을 꾸준히 감독에게 보냈다고 한다. 최근에는 파트 2 각본을 쓰고 있는 감독에게 영감을 불어넣기 위해 1시간 30분에 달하는 2편 음악을 벌써 만들어서 보내고 있다고 전해진다. 그는 이 작업을 위해서 1984년 영화 버전의 느낌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이상적인 사운드 구현의 영감을 떠올리기 위해, 유타 주에 있는 사막에서 1주일간 머무르며 사막과 바람 소리를 듣는 등 열정을 기울였고, 또한 듄 작업을 위해 오랜 동료인 크리스토퍼 놀란테넷도 고사했었고, 그의 차기작인 오펜하이머도 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열정 덕분인지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수상하며 라이온 킹 이후 무려 27년 만에 오스카 트로피를 손에 쥐었다.

2.

Dun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Dune OST.jpg
||<tablebordercolor=#a68469><table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000><rowcolor=#a68469><width=10%> 트랙 ||<width=54%> 제목 ||<width=18%> 링크 ||<width=18%> 재생 시간 ||
01 Dream of Arraki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3:08
02 Herald of the Chang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5:01
03 Bene Gesseri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3:54
04 Gom Jabba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2:00
05 The On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2:30
06 Leaving Calada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1:55
07 Arrakee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2:16
08 Ripples in the San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5:14
09 Visions of Chan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4:27
10 Night on Arraki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5:03
11 Armad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5:09
12 Burning Palm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4:04
13 Strande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0:58
14 Blood for Bloo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2:29
15 The Fal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2:32
16 Holy Wa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4:20
17 Sanctuar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1:50
18 Premoniti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3:30
19 Ornithopt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1:54
20 Sandstor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2:35
21 Stillsui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5:31
22 My Road Leads into the Deser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3:52


한스 짐머는 예고편을 위한 OST도 따로 준비했는데, 상술하였듯이 핑크 플로이드Eclipse를 삽입하였다.
<colbgcolor=#000000>
Eclipse

그 이외에도 듄의 메이킹 필름북의 9개의 챕터에 대한 각각의 OST를 담은 The Art and Soul of Dune (Companian Book Music) 앨범과 본편에 사용되지 않은 OST들을 담은 The Dune Sketchbook (Music from the Soundtrack) 앨범이 있다.

크레딧이 올라갈 때 나오는 엔딩곡은 The Dune Sketchbook (Music from the Soundtrack) 앨범의 수록곡인 'Paul's Dream'이다. 해외에서는 4분 48초에서 나오는 목소리가 "Come~ get your dinner~(저녁 먹으러 와라)"라고 들리는 몬더그린이 밈으로써 유명해졌다. 이 곡뿐만 아니라 여러 수록곡에서 비슷한 가사가 나오는데, 이는 실존하는 언어가 아닌 인공어라고 한다. #
<colbgcolor=#000000>
Paul's Dream

3. 듄: 파트 2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000000><rowbgcolor=#e38a3e><tablebgcolor=#fff,#191919> Dune: Part Two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파일:Dune Part Two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Cover.jpg
음악 : 한스 짐머 (Hans Zimmer)
발매일: 2024년 2월 2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트랙 제목 재생시간 듣기 비고
1 Beginnings Are Such Delicate Times 8:5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Eclipse 5: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25]
3 The Sietch 2: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
4 Water of Life 3:0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
5 A Time of Quiet Between the Storms 🆃 4:2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
6 Harvester Attack 3: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
7 Worm Ride 2: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
8 Ornithopter Attack 2: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
9 Each Man Is a Little War 1:2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
10 Harkonnen Arena 5:2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
11 Spice 0:3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
12 Seduction 2:0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
13 Never Lose Me 1: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6]
14 Travel South 1: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7]
15 Paul Drinks 1:4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8]
16 Resurrection 2: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9]
17 Arrival 1: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0]
18 Southern Messiah 5:2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
19 The Emperor 1:3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
20 Worm Army 3: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
21 Gurney Battle 2: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
22 You Fought Well 1:4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5]
23 Kiss the Ring 3: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6]
24 Only I Will Remain 6:4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7]
25 Lisan al Gaib 6:3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듣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 }}} ||

2편 역시 매우 좋은 평을 듣는다. 전작과 중복되는 느낌의 곡도 있고, 오리지널 느낌의 곡도 호평받는다.


파일:CC-white.svg 이 9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9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9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9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1984년작 제작 당시 한스 짐머는 경력을 시작했던지라 함부로 자기 곡 써달라고 관여하기 힘든 위치였다.[2] 프롤로그.[3] 폴이 일어나는 장면부터 변화의 전령이 칼라단에 오는 장면까지.[4] 칼라단에 온 모히암 교모와 베네 게세리트들.[5] 모히암 교모에게 시험받는 .[6] 폴과 제시카의 대화 장면.[7] 칼라단을 떠날 때 나오는 노래로, 호평이 많다.[8]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아라키스에 도착하는 장면.[9] 하베스터 인부들을 구출하는 장면.[10] 하베스터 인부들을 구출한 후, 폴이 하베스터가 있던 곳에서 스파이스를 흡입하고 챠니가 나오는 예지몽을 꾼 것을 회상하는 장면.[11] 웰링턴 유에가 방어막을 해제하고 레토 공작을 무력화시키는 장면.[12] 하코넨 가문이 아라키스를 습격할 때 나오는 전투장면 ost로, 중후반에 하코넨 가문과 사다우카의 테마도 삽입되어있다[13] 폴이 예지몽에서 본 것처럼 아라킨의 야자나무들이 불태워지고, 던칸 아이다호가 탈출하는 장면.[14] 폐허가 된 아라킨을 보는 폴과 제시카.[15] 최후의 순간, 하코넨 남작에게 독가스를 뿜는 레토. 하코넨 가문의 테마도 포함되어 있다.[16] 던칸과 카인즈 박사가 만나고, 남작이 살아남는 장면.[17] 퀴사츠 해더락이 되어 무앗딥 지하드를 벌이는 공포의 미래를 걱정하는 폴.[18] 던칸과 폴의 재회.[19] 던칸의 죽음. 여기서 던칸이 문을 닫는 순간에 나오는 멜로디는 2편에서 폴이 남작을 죽일 때 다시 활용된다.[20] 오니솝터 추격전 장면.[21] 모래폭풍으로 들어간 폴과 제시카.[22] 옷을 갈아입고 시치를 찾는 폴과 제시카.[23]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장식하는 노래로, 역시 호평이 많다[24] 첫 장면인 프롤로그와 뒤를 잇는 하코넨 병사들과의 전투 장면.[25] 1편의 예고편에서 사용되었던 핑크 플로이드Eclipse와는 제목만 같다.[26] 타브르 시치에 도착한 폴과 제시카, 그리고 스틸가 일행.[27] 생명의 물을 마시는 제시카.[28] 메인 테마곡[29] 폴과 프레멘들이 하코넨의 하베스터를 파괴하는 장면.[30] 모래벌레에 타는 데 성공한 폴.[31] 프레멘들을 공격하다 후퇴하는 라반 하코넨.[32] 검투 전, 시녀들을 대상 삼아 검의 성능을 시험해 보는 페이드 로타 하코넨.[33] 페이드 로타 하코넨의 검투 장면.[34] 폴이 예지몽 속에서 쳐니를 보는 장면.[35] 페이드 로타와 마고트 펜링의 만남.[36] 페이드 로타가 타브르 시치를 폭격하며 남부로 떠나야 할지 고민하게 된 폴과 챠니의 대화 장면.[37] 남부로 떠나는 폴과 챠니.[38] 생명의 물을 마시는 폴.[39]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한 폴.[40] 프레멘 군사 회의장으로 입장하는 폴.[41] 폴의 연설 장면.[42] 샤담 4세의 테마곡. 샤담 4세가 아라키스에 도착하는 장면과 남작을 질책하는 장면에 활용.[43] 폴과 프레멘의 아라킨 공격.[44] 거니 할렉이 라반을 처치하는 장면.[45] 페이드와의 결투에서 승리하는 폴.[46] 엔딩.[47] 엔딩 크레딧 곡. 메인 테마곡에 보컬이 약간 적용된 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