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08:21

울산동천체육관

동천체육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홈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사직실내체육관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원주종합체육관 창원실내체육관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울산동천체육관 대구실내체육관 고양 소노 아레나 안양 정관장 아레나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 ||
파일:20241229_130721.jpg
파일:20241229_131604_HDR.jpg
<colbgcolor=#e20e0e><colcolor=#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울산동천체육관
蔚山東川體育館 | Ulsan Dongchun Gyanasium
개장 2001년 1월
첫 경기 2001년 11월 4일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VS 인천 SK 빅스
주소 울산광역시 중구 염포로 85 (남외동)
홈 구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01~ )
부산 BNK 썸 (2023)[1]
좌석 규모 5,457석
부지면적 79,287㎡(23,984평)
주차 소형 313대 / 경차 15대 / 장애인 우대 10대[2]
관리 주체 울산시설공단

1. 개요2. 교통3. 시설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울산동천체육관 챔피언 5차전.jpg
울산광역시 중구 남외동 울산종합운동장 부지에 위치한 체육관. 한국프로농구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홈구장이다.

지하 2층, 지상 2층의 체육관이다.

프로 농구 외에도 울산에서 규모 있는 각종 실내 스포츠 관련 행사는 대부분 여기서 한다. 울산 태권도 승급 심사장으로도 쓰인다.[3]

울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며, 체육 경기 이외에 취업 박람회 같은 크고 작은 행사는 대부분 이곳에서 연다.

2. 교통

버스
구분노선
종합운동장앞: 30603 - 농심메가마트앞 방면
울산 시내버스
직행좌석1114
시내버스순환11, 순환12, 순환21, 순환22, 114, 118, 128, 711, 715, 721, 724, 735, 762
종합운동장앞: 30604 - 학성초등학교 방면
울산 시내버스
직행좌석1114
시내버스순환11, 순환12, 순환21, 순환22, 114, 118, 128, 711, 715, 721, 724, 735, 762
이용구분 이용경로 소요시간[4]
<colbgcolor=#002b5c><colcolor=#fff> 고속버스
시외버스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울산시외버스터미널
1안: 고속버스터미널/외식명가 삼산정에서 순환21번 승차 → 종합운동장앞 하차 13분
2안: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삼성정형외과의원에서 711/721번 승차 → 종합운동장앞 하차 20분
3안: 시외고속버스터미널에서 북구05번 승차 → 농심메가마트앞 하차 20분
4안: 고속버스터미널앞에서 중구04번 승차 → 삼환나우빌 하차 21분
고속열차
일반열차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울산역
울산역에서 5002번 승차 → 학성초등학교 하차 39분
태화강역 1안: 태화강역(2번 정류소)에서 762번 승차 → 종합운동장앞 하차 17분
2안: 태화강역(1번 정류소)에서 중구04번 승차 → 삼환나우빌 하차 14분
북울산역 북울산역(기점)에서 225번 승차 → 울산공항에서 762번 환승 → 종합운동장앞 하차 23분
항공편 울산공항 울산공항에서 762번 승차 → 종합운동장앞 하차 12분

울산역에서 올 경우 거리가 상당한 편이라 택시비가 수만 원대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정말 급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택시는 타지 않는 것이 좋고 리무진 버스를 타서 학성초등학교 앞 정류소에서 하차하는 게 좋다.

3. 시설

체육공원 안에 위치한만큼 주변에 공원과 종합운동장,[5] 그리고 바로 앞에 MBC 웨딩홀이 있다. 체육관 내부를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이벤트와 전시관을 둘러볼 수 있다. 특히 기아 농구단 시절부터 쌓아올린 여러 우승 트로피를 포함,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트로피와 우승 반지가 모두 전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선수들의 핸드 프린팅이나 역대 유니폼도 전시되어 있으며, 현대모비스 피버스 샵에서 선수 유니폼과 각종 기념품을 구입할 수 있다. 기타 편의 시설로 수유실과 매점이 있다. 경기장 내부에는 현대기아자동차의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2024-25 시즌을 앞두고 스코어보드 전광판을 교체했다.

4. 여담


[1] 제2 홈구장[2] 자차를 가지고 왔을 때 편하게 주차를 하고 싶다면 적어도 경기관람 1시간 전에는 도착하는 것이 좋다.[3] 겨루기는 남구에 위치한 종합체육관에서 개최한다.[4] 도보속도 보통 4.5km/h 기준. 환승도보시간 포함, 환승대기시간 제외한 소요시간. 마지막 정류장에서 경기장까지 도보소요시간 제외. 평상시 소요시간이므로 도로교통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출처: 카카오지하철·카카오맵[5] 이 곳 앞에 있는 보조구장에서 MBC 쇼! 음악중심이 1년에 1번 촬영된다. 문화 지변이 빈약한 울산에 내리는 단비 같은 행사. 자세한 사항은 울산 서머 페스티벌 항목 참조.[6] 원래 동천체육관의 착공은 1991년 8월에 시작됐지만 전형적인 티스푼 공사에다 공정률 70% 정도의 상황에서 관중석의 옹벽과 옥외 휴게실 지붕 등에서 비가 새고 바닥에선 균열 현상이 발생했으며, 오른쪽 출입구의 축대가 기울어지는 증상이 발생해서 1996년 3월에 감사원의 지적에 의해 공사가 중지되고 말았다. 그 이후, 무려 3년 동안 유령성처럼 방치되어 있었으나, 1999년 2월에 공사가 재개되어, 2000년 8월에 가까스로 완공될 수 있었다.[7] 그렇지만 초반 공사시의 부실공사 상황이 워낙 심각했던지라 이후 재시공시 보강을 진행해서 체육관을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물이 새는 등의 하자가 발생해 2005년 초까지 계속 시설 보수를 해야만 했다.[8] 아직도 이 때의 부실 공사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데, 동천교 부근에서 동천체육관을 봤을 때 중앙과 좌측 출입구쪽 축대에 비해 유독 오른쪽 출입구의 축대 오른쪽이 더 기울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초기 부실 지적과 공사 중단 이후 재시공 시 해당 축대를 바로 세우지 않고 무너지지 않도록 보강만 했기에 부실공사의 흔적이 남은 것. 그래서 멀리서 동천체육관의 모습을 보면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측의 축대가 불균형하게 보인다.[9] 개최 도시는 부산이지만, 경기를 분산 개최했다. 축구경기 또한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나눠서 했다.[10] 이 때문에 창원 마산실내체육관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전 적게나마 경기가 열렸고, 진주 초전체육관에서도 몇몇 경기를 할 예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