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 사립 | <colbgcolor=#fff,#191919> |
경기 | |||
강원 | |||
대전 | |||
충북 | |||
전남 | |||
전북 | |||
경북 | |||
부산 | |||
경남 | 국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가야캠퍼스 | 양정캠퍼스 | |||
대학 정보 | ||||
역사 | 역대 총장 | 상징 | 학부 | |
대학원 | 학교생활 | 총동문회 | 총학생회 | |
출신 인물 | 교통 | 학내문화 | 학내활동 | |
학사제도 | 국제교류 | 동아리 | 사건 사고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57a6> ||
펜싱부 | 야구부 | 축구부 | 배드민턴부 | 태권도부 |
유도부 | 여자배구부 | 카바디 | 미식축구 | 플라잉디스크 |
부속 기관 | |
동의의료원 | 동의어린이집 |
| ||||||
인문사회과학대학 | ||||||
의료보건생활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예술디자인체육대학 | 동의지천교양대학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한의과대학 | }}} |
1. 개요
동의대학교의 한의과대학에 관련된 문서.2. 상세
한의과대학 College of Korean Medicine |
|
한의학관 |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은 부울경 지역 최초의 한의과대학으로 출발하여 이 지역의 한의사 대부분이 동의대 출신일 정도로 설립 이래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한의학 인재를 배출하고 있고, 동의대학교 간판이라고 불린다.
상당수의 교수들이 병원에서 치료와 연구를 진행하는 한의사라는 점과 학생들 또한 임상 실습에 참여해야 하는 한의대의 특성상, 다른 학과와는 달리 양•한방 복합병원인 동의의료원이 있는 양정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3. 학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은 총 2개의 학과에서 학부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3.1. 한의예과/한의학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소개영상 |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6가지 졸업역량 통합진료능력, 사회적 책무성, 소통과 협력, 직업전문성, 자기개발, 문제해결과 연구역량 등을 함양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의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의학 인재로 성장하여 인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하며 학과의 사명은 질병과 건강에 대한 통합적 의료역량으로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한의사를 육성하는 것이다.
- 학과개설연도 : 1987년
4. 교육과정
4.1. 한의예과
인체공부인 해부학, 근육학, 신경학, 생리학, 생화학 등을 통한 기초공부를 목표로 한다. 한의대는 선택할 수 있는 교양이 없고, 대신에 기초과학 과목 등의 몇몇 예과 필수교양은 가야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다.[1]4.1.1. 예과 1학년[2]
- 한의학과 논리
- 기초물리학
- 기초생물학
- 기초한자
- 명상과 기공
- 한방식품학
- 의학영어
- 기초화학
- 의료와 윤리
- 의료와 사회
- 논리적 사유와 글쓰기
- 인체발생학
- 생화학 I
- 고급한자
- 중국어강독
- 한의인간경영
- 심리학의 원리
유급을 조심해야 하는 과목 : 한의학과 논리 / 의학영어 / 생화학
4.1.2. 예과 2학년[3]
- 양방생리학
- 본초학
- 본초학 실습
- 미생물학
- 생화학2
- 원전
- 의학한문
- 조직학
- 생리학(한방)
- 해부학
- 해부학실습
- 경서강독
- 직업전문성과 로드맵
- 의학과 과학의 역사
4.2. 한의학과
본과에서 침, 뜸, 추나 등 임상적인 치료술을 하기 위해서 본격적인 실습을 하게 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습 비중이 많이 높아지게 된다.4.2.1. 본과 1학년
- 본초학
- 본초실습
- 생리학실습
- 면역학
- 생리학
- 양방생리학
- 양방병리학
- 원전
- 의사학
- 조직학및실습
- 경락경혈학
- 경락경혈학실습
- 예방의학및양생학
4.2.2. 본과 2학년
- 방제학
- 방제학실습
- 병리학
- 병리학실습
- 상한론
- 양방병리학
- 예방의학및실습
- 진단학
- 진단학실습
- 경락경혈학
- 경락경혈학실습
- 침구과학
- 진단학실습
4.2.3. 본과 3학년
- 한방종양학
- 추나학및실습
- 간계내과학
- 부인과학
- 비계내과학
- 사상체질의학
- 소아과학
- 신경정신과학
- 신계내과학
- 심계내과학
- 안이비인후과학
- 의학통계
- 임상실습
- 침구과학
- 폐계내과학
- 피부외과학
- 재활의학과학
- 산과학
- 방사선과학및실습
4.2.4. 본과 4학년
- 방사선과학및실습
- 임상병리학및실습
- 의료와법
- 약침학
- 간계내과학및실습
- 부인과학및실습
- 비계내과학및실습
- 사상체질의학및실습
- 소아과학및실습
- 신경정신과학및실습
- 신계내과학및실습
- 심계내과학및실습
- 안이비인후과학및실습
- 재활의학과학및실습
- 침구과학및실습
- 폐계내과학및실습
- 피부외과학및실습
- 응급의학및실습
5. 동아리
한의과대학은 양정캠퍼스에 있어서 가야캠퍼스 내 중앙동아리에 참가하는 한의대생은 거의 없다. 가야캠퍼스와 멀리 떨어져 있고, 수업과 공부량이 많아 중앙동아리 병행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앙동아리에서 활동하기보다는 한의대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동아리들을 조직해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댓바람 (학술)
- 침맥 (학술)
- 황지도연숙 (학술)
- ARC (공연 - 댄스)
- DOMO (공연 - 오케스트라)
- SOOM (공연 - 밴드)
- 다스름 (공연 - 풍물)
- 한아솜 (공연 - 연극)
- 농락 (농구)
- 양정 시티보이즈 (야구)
- 오장육부 (축구)
- 봄곰 (독서토론)
- 빛모아 (사진예술)
- CMF (전국 연합 개신교 동아리)
6. 여담
- 양정캠퍼스가 가야캠퍼스와 마찬가지로 부산 중심지역인 서면과 지하철 3정거장 거리에 있고[4], 매우 경사진 곳에 존재한다. 버스가 동의의료원까지 밖에 올라가 자차가 없는 재학생들은 양정역, 시청역, 기숙사 등의 출발지에서 4명끼리 모여 택시를 타고 학교까지 올라가는 ‘택시팸’을 구성하여 등교를 하는 경우가 많다.
- 예과 1학년과 예과 2학년 1학기까지는 가야캠퍼스와 양정캠퍼스를 번갈아서 다니므로 운이 좋으면 가야캠퍼스에서 한의대생을 볼 수 있다. 예과 2학년 2학기부터는 양정캠퍼스에서만 수업을 듣는다.
- 의외로 한의학과 학과사무실은 양정캠퍼스에 있지만 한의예과 학과사무실은 가야캠퍼스 창의관에 있다.
- 사족으로 대전대, 대구한의대와 함께 유급을 매우 많이 시키던 한의학과 중 하나였고 유급으로 번 등록금으로 학교를 운영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고 있었다.
본과 4학년이 되고나면 남아있는 동기가 절반이 채 안된다..특히 특정 과목의 교수가 타노스 급으로 유급을 시켰었다. 그런데 유급 남발하던 교수님들이 은퇴하시면서 2023년부터 유급이 거의없다고 한다. 몇년째 국가고시 100%의 합격율을 보이고 있다. - 한의대를 편입하려면 대부분 한자자격증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한자자격증 없이도 편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우석대, 세명대, 동신대처럼 나이는 전혀 보지 않고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