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21:34:08

동사리

동사리(뚝지,[1] 밤피, 멍텅구리, 둑지게, 꾸구리[2])
Korean dark sleeper
파일:동사리.png
학명 Obontobutis platycephala
Iwata & S. R. Jeon, 1985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망둑어목(Gobiiformes)
동사리과(Odontobutidae)
동사리속(Obontobutis)
동사리(O. platycephala)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망둑어목 동사리과 동사리속에 속하는 민물고기의 일종.

2. 특징

대한민국에서만 사는 고유종이다. 동해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 국내 대부분의 강에서 서식한다. 강 중하류의 자갈과 모래가 많은 곳에 서식하는데 둑 바닥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 습성 때문에 멍텅구리나 둑지게라고 불리기도 하며 산란기 때 수컷이 내는 소리가 어원인 꾸구리라는 이명도 있다. 몸길이는 10~20cm 정도 되는 야행성의 육식성 어류로 그에 걸맞게 이빨이 날카롭다. 가시고기에 묻혔지만 이쪽도 한 부성애로 유명한 종으로 암컷이 돌 밑에 알을 낳고 떠난 후 수컷이 수정한 뒤 홀로 알을 지키며 치어가 태어날 때가 되면 매우 쇠약해져 곧 죽는다. 꽤 살이 많아서 구이나 매운탕으로 요리해서 먹기도 하며 근연종인 남방동사리와 달리 멸종위기종이 아니라서 포획이 불법도 아니다.


[1] 뚝지가 표준어인 어류는 따로 있으며 바닷물고기다.[2] 꾸구리가 표준어인 어류도 따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