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22:14:31

도큐 8500계 전동차

파일:TokyuCorp_Logo_notext.svg 도큐 전철 소속 전동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TK-TY.svg 도요코선 파일:TK-MG.svg 메구로선
1000계 · 5000계(2대) · 5050계SH(4000번대) 3000계(2대)SH · 3020계SH · 5080계SH
파일:TK-DT.svg 덴엔토시선 파일:TK-OM.svg 오이마치선
2000계 · 2020계 · 5000계(2대) 6000계(2대) · 6020계 · 9000계 · 9020계
1000계 · 7000계(2대)
파일:TK-SG.svg 세타가야선 검측차
300계 7500계(TOQ i)
퇴역
3000계(초대) (3300계 · 3600계 · 3700계) · 5000계(초대) · 5200계 · 6000계(초대) · 7000계(초대) (7200계 · 7600계 · 7700계) · 8000계 · 8090계 (8590계) · 8500계
취소선 : 타 노선으로 이적
SH : 도큐 신요코하마선 입선 차량
}}}}}}}}} ||
파일:도큐 전철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도큐 8500계 전동차
Tokyu 8500 series
東急8500系電車
}}}
파일:Tokyu8500series 8606F.jpg
외부
파일:Tōkyū 8500 series 8636F.jpg
외부(행선기 개조 및 배장기 장착차량)
차량 정보
운영기관 도큐 전철
도입시기 1975년 ~ 1991년
제작사 도큐차량제조
운행시기 1976년 ~ 2023년(정기)
과거 운행노선
(운행종료 당시)
도큐 전철 파일:TK-DT.svg덴엔토시선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한조몬선
도부 철도 파일:Tobu-TS.svg파일:Tobu-TI.svg이세사키선, 파일:Tobu-TN.svg닛코선
운행노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도시권 광역전철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형식 통근형 전동차
편성 10량 1편성 (덴엔토시선)
5량 1편성 (오이마치선)
궤간 1,067㎜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최고속도 설계 120㎞/h
영업 110㎞/h
가속도 3.3㎞/h/s
감속도 상용 3.5km/h/s
비상 4.5km/h/s
편성정원 1424명 (10량 편성)
704명 (5량 편성)
차량정원 선두차 136명 (좌석 48~56명)
중간차 144명 (좌석 51~64명)
중량 전동차 31.0~36.0t
부수차 28.3~30.0t
전장 20,000㎜
전폭 2,800㎜
전고 4,100㎜
차체 스테인리스 스틸
대차 에어스프링대차 TS-807M·A·C, TS-815M·A·C
동력장치 직류복수전동기 130kW
8642F 일부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170kW
구동방식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기어비 5.31
제어방식 히타치 계자초퍼제어
(개조편성) 히타치 VVVF-GTO
보안장치 ATC-P, CS-ATC, 도부TSP
제동방식 ATC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 비 8M 2T, 4M 1T
}}}}}}}}} ||
파일:Tokyu-8641F.jpg
오이마치선의 8500계

1. 개요2. 기술
2.1. 차체2.2. 주요 장비2.3. 종별안내기2.4. 내부2.5. 차체 도색2.6. 데하 8700, 8800형의 차량 번호
3. 주요 제원4. 편성
4.1. 편성의 특징
5. 편성표
5.1. 신타마가와선 개업 당시 (1977년 4월)5.2. 도요코선 당시5.3. 덴엔토시선5.4. 현재 편성
6. 운용
6.1. 덴엔토시선의 운용6.2. 영단 지하철에 차출6.3. 도요코선의 운용6.4. 신타마가와선 투입6.5.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 운용6.6. 도부선 직통, 폐차 시작 및 오이마치선 이적6.7. 도부선 운행 감소, 덴엔토시선-오이마치선 직통급행
7. 갱신공사8. 전면 스커트 장착9. 대체 및 폐차
9.1. 5000계에 의한 대체9.2. 2020계에 의한 대체9.3. 재조합
10. 양도
10.1. 나가노 전철 양도차10.2. 이즈급행 양도차10.3. 인도네시아 철도공사 양도차
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75년에 출시된 도큐 전철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기존 8000계 전동차를 개량한 덴엔토시선-영단 지하철 한조몬선 상호연결 직통용 사양 차량이었다, 1969년에 생산된 8000계와 사양 및 차체 등 대부분이 비슷하여 8000계의 한 종류로 분류하기도 한다. 1975년부터 91년까지 400량이 생산되었다.

도큐는 1969년 당시 착공한 지하철 '신타마가와선' (현재의 덴엔토시선 시부야~후타코타마가와 구간) 전용차량으로, 지하철 화재대책기준 'AA기준'을 충족한 8000계를 우선 도요코선에 순차도입하였다. 그러나 그 후 시부야역에서 도쿄 시내 방면으로 직통운행을 할 예정이었던 한조몬선의 진입 충족을 위하여, 도큐와 에이단 간의 일반적인 차량규격이 작성되었다. 또한 이 규격에 충족하기 위하여, 노선 식별 용도의 빨간색 띠 도색 도입, 기기 취급 변경, 동력차 비율 향상을 위한 선두차의 동력차화 등의 마이너체인지를 도모한 8500계를 한조몬선 및 신타마가와선용으로 1975년부터 도입하기로 하였다.

1976년에 통근열차로서는 상당히 진보적으로 발전하여서 도큐 차량중에는 처음으로 철도친우회 로렐상을 수상하였다.

8500계는 8000계의 마이너체인지 사양이어서 8000계의 일부로 다루어지지만,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따로 8500계로 불리게 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8000계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1975년 등장 당시에는 신타마가와선이 미개업 구간이었기 때문에(신타마가와선은 1977년 개통), 덴엔토시선 (오이마치~스즈카케다이)와 도요코선에 투입되었다. 신타마가와선 개업시 8500계 대부분의 차량이 이적하였지만, 아직 차량수가 부족했기 때문에 1976년부터 8000계와 8500계 차량대응 개조를 실시하여 8500계에 8000계의 중간차를 혼합하여 열차량수를 확보하였다. 또한 이중에는 8000계의 선두차량도 존재하고, 간지나도록 관통덮개도 설치되었다.

이후 8500계의 중간차가 증비되면서 8000계는 다시 도요코선으로 돌아갔고, 1987년에 혼합편성은 다시 없어졌다. 또한 당시에는 도요코선과 덴엔토시-신타마가와선 간 차량을 골고루 운용하고 있었으며, 1991년 3월까지는 도요코선에서도 운행하고 있었다.

1979년부터 시작된 덴엔토시선-신타마가와선-한조몬선 전열차 직결운행에 의한 운행범위 확대 및 다이어 개정, 편성량수 강화에 따라 1991년까지 400량이 도입되어 도큐 내의 최대 량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2003년에 시작된 덴엔토시선-한조몬선-도부철도선 3개사의 직통운전 시작에 따라 운행범위가 광범위해졌다. 이 직결운행에 사용되는 차량으로도 최다 재적수였다.

2002년부터 후계차인 5000계가 등장하여 초기차부터 폐차가 진행중이다. 이후 5000계 17편성이 전부 도입되자 잠시 폐차가 멈춰졌다가 2020계의 등장으로 다시 폐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1월 남색 도색이었던 37편성을 마지막으로 영업운전을 종료하였다. 그러나 도큐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37편성이 2024년 가을에 4량 편성으로 임시나 단체열차로 운전을 다시 부활한다고 했다.

2. 기술

2.1. 차체

전면은 8000계보다 150mm 높은 운전대를 채용하였으며, 정면 창문이 작아진 것 외에는 왼쪽창문 위에 종별표시 롤지를, 오른쪽 위에 차량번호표시 롤지를 설치하였다.

또한 한조몬선 운행 규격에 근거하는 노선 식별방법으로서, 도큐의 스테인리스 차체에서는 처음으로 선두차 전면에 도큐의 경계색과 심볼색을 겸한 빨간띠를 넣어 등장하였다. 또한 이때부터 등장하는 도큐의 차량은 선두차 전면에 빨간색 띠가 적용되게 되었다.

설계초기에는 오다큐 9000형 전동차와 흡사한 디자인 안도 있어 모형까지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사회와 높으신 분들의 방침에 따라 박공 공법으로 바뀌었고 제작되었다. 당시에는 9000계가 임시 형식칭호였다.

차체는 도큐가 7000계에 사용되었던 올 스테인레스 차체이다. 1981년도 분으로 도입한 13차차에서 미국 버드사의 기술을 바탕으로 도큐가 독자개발안 경량 스테인레스 차체를 사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였다. 이 차량은 8631F부터 후기차 전체와 8630F 전의 일부 중간차에도 포함되어 있다.

2.2. 주요 장비

8000계의 전동객차 M과 부수차 T 구성비는 6량 편성시 4M2T (기동가속도 3.2km/h/s) 이며, 신타마가와선은 대응하였지만, 한조몬선의 급구배, 급경사 구간에서는 고장 선행열차의 구원을 위해 MT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5량 편성시 4M1T, 6량 편성시 5M1T, 10량 편성시 8M2T 구조로 되어 있다. 한조몬선 내에서도 충분한 성능이며, 가속도는 높지만 우천 및 대설 등에는 공전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전동차 비율 향상과 한조몬선에 사용되는 유도무선 IR 안테나를 설치하는 중간 부수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 선두차를 8000계의 부수차 (쿠하 8000형)에서 전동차 (데하 8500형, 데하 8600형)으로 변경하고, 중간 부수차 (사하 8900형)을 새롭게 편성하였다. 중간차는 8000계의 데하 8100형, 데하 8200형에 해당하는 데하 8700형, 데하 8800형을 편성하였다.

M차중 데하 8500형 및 데하 8700형에 제어장치를 탑재하고, 연결되어 있는 옆 데하 8600형, 데하 8800형도 함께 제어한다. 그러나 사정으로 일부 열차는 데하 8500형 및 데하 8700형이 단독으로 연결되었다.

8000형과 같은 계자초퍼제어 차량이지만, 1989년에 계획하고 있던 8500계의 VVVF제어 업데이트 및 신형차량 도입을 향한 시작차로서 처음으로 2량 (데하 8799, 0802형)이 VVVF 제어로 개조되었다.

그 후, 1991년에 후기차 신조분중 2량은 신조 당시 VVVF 제어가 채용되어 8642F에 편성되었다. 8642F는 이로서 계자초퍼+초기 VVVF+양산 VVVF라는 3가지 짬뽕 제어장치를 탑재하게 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토부선 직통운행이 시작되었으나, 8642F는 복잡한 제어장치 및 고장 조치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도부선에 입선하지 않으며, K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다 2019년 7월 19일부로 폐차되어 사라졌다.

M차의 대차는 8000계와 같은 TS-807형을 채용하였다. 또한 T차의 대차는 중량 경감을 위해 8000계의 TS-708형이 아닌 TS-815형을 사용한다.

도부선 대응차는 무선 안테나를 3개, 비대응차는 2개를 탑재한다.

2.3. 종별안내기

종별·목적지 지시자는 제작 당시와는 다른것으로 되어 있다. 처음에는 롤지식으로 일본어 표기만 되어 있었지만, 1990년 한조몬선의 스이텐구마에역 임시열차 운행시 스이텐구마에 행 표시에만 영어가 추가되었다. 또한 일부 열차에서는 일어+영어 표기가 되어 있었다. 당시의 문자는 소+대문잘로 표기되었다. 1994년부터 8603F를 시작으로 LED 개조가 시작되어, 교체 표기하는 구성으로 변경되었다. 이 글꼴은 처음에는 명조체였지만, 2003년 3월 19일 한조몬선 오시아게역 개업 및 도부선 직통운전에 따라 지시자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할때 시인성이 좋은 고딕체로 변경, 같은시기에 자막식으로 잔존하던 8606F, 8607F, 8610F는 영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한 새로운 롤지식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측면에, 영어 표기가 들어가게 되었다.

8616F는 목적지 지시자가 2005년 3월26일부터, 그 후에 8634~8636F, 8638~8641F가 3색 LED에서 풀컬러 LED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8616F, 8634F~8636F는 3색 LED로 반환되었다.

8606F는 8500계 중에서 제일 마지막까지 LED로 개조 당하지 않고 롤지로 남아있다. 또한 8607F와 8610F도 폐차때까지 롤지식으로 남아있었다.

8638~8641F는 오이마치선 용이며, 한조몬선 과는 관계가 없고, 소프트웨어도 교환하지 않았다. 따라서 3색 LED 행선표시 글꼴은 명조체였다. 8640F와 8641F는 전면만 롤지, 측면은 LED 식이었지만, 덴엔토시선 직통급행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에 입차했을때 LED로 개조를 받아 출차하였다. 현재는 오이마치선 차량들도 풀컬러 LED이며, 모든 오이마치선 8500계가 각역정차 청/녹색 표시화와 시인성을 향상시킨 고딕체로 변경완료하였다.

2.4. 내부

8000계와 동일한 구조이며, 의자는 8인용으로 엔지니어링 색, 베이지 계열의 바닥판, 천작에 선풍기와 냉방장치가 있다.
등장시부터 냉방장치 (8000kcal/h x4개)를 탑재하지만, 신타마가와선에 신조된 일부 차량은 냉방 준비차량으로 냉방장치를 달고 나오지 않았다.

1981년 증비분으로부터, 8090계의 개선방안을 적용하여 7인용으로 단축, 그물선반 형상을 변경하여 출고되었다. 기존의 차량도 후에 그물선반이 개조되었다.

1986년 이후에 등장한 8637F 이후에 도입되는 차량은 9000계에 준한 설비로 변경된다. 천장에 보조송풍기로 스윕 팬을 설치, 냉방장치설비 업그레이드 (10000kcal/h), 7인용 의자 중간에 칸막이 설치, 의자 2색화, 전동 와이퍼, 전자 혼 설치등 사양이 변경되고있다.

이후 의자의 2색화는 1988년부터 기존 차량에 대해서도 개조되었다. 기존 차량에는 중간 칸막이가 없어 적갈색 오렌지와 대비를 억제한 배색이 사용되었다.

8639F는 보조 송풍기가 시범적으로 개선품으로 교체, 이후 8642F와 9000계 9002F부터 본격적으로 개조되었다.

2.5. 차체 도색

2.6. 데하 8700, 8800형의 차량 번호

데허 8700, 8800형은 8799, 8899 호 다음 번호가 0700, 0800 식으로 부여되었다. 이것은 당시 도큐 차량관리 시스템에서 기존 4자리 관리체계에서 5자리 관리체계로 가기에는 큰 부담이 있었기 때문이다.

3. 주요 제원

4. 편성

덴엔토시선
<- 시부야 츄오린칸 ->
데하 8600 데하 8700 사하 8900 데하 8800 데하 8700 데하 8800 데하 8700 사하 8900 데하 8800 데하 8500
오이마치선
<- 오이마치 미조노쿠치 ->
데하 8600 데하 8700 사하 8900 데하 8800 데하 8500

4.1. 편성의 특징

5. 편성표

5.1. 신타마가와선 개업 당시 (1977년 4월)

<- 시부야 후타코타마가와, 사기누마 ->

8616-8716-8916-8816-8722-8516
8617-8723 + 8033-8817-8133-8517
8618-8724-8034 + 8217-8134-8518
8619-8725 + 8035-8818-8135-8519
8620-8726-8036 + 8218-8136-8520
8621-8727 + 8037-8819-8137-8521
8622-8728-8038 + 8219-8138-8522
8623-8729 + 8039-8235-8139-8523
8624-8730-8040 + 8220-8140-8524
8625-8731 + 8041-8236-8141-8525
8626-8732-8042 + 8221-8142-8526

5.2. 도요코선 당시

5.3. 덴엔토시선

5.4. 현재 편성

6. 운용

6.1. 덴엔토시선의 운용

1975년 등장 당시 덴엔토시선 (나가츠타~에 운행되었으며, 4량 1편성으로 구성된 10개 편성이 투입되었다. (8601F-8610F) 당시 MT비는 3:1이었다.
이듬해인 1976년에 증비된 편성 (8611F~8616F)는 T차인 사하 8900형 대신 M차인 데하 8800형으로 제조되었다. (MT비 4:0) 이것은 당시 사하 8900형에 탑재된 대용량 SIV의 개발 및 제조가 늦어져, 보조기를 탑재한 데하 8800형으로 대신 편성하였기 때문이다.

그 후 1976년에 시행된 덴엔토시선 5량화에 따라 객차가 증비되었다. 증비된 객차는 8000형에서 편입되었으며, 2호차에 편입되었다.

또한 5량 편성은 편성기준 등을 참조하여, 1977년 개업한 신타마가와선 계통과는 다른 노선에 운행되었다.

1979년 8월 12일 이후에는 한조몬선, 신타마가와선, 덴엔토시선 운행계통이 일원화되어, 현재의 오이마치선 구간인 오이마치~후타코타마가와엔 구간의 운행을 철수하였으며, 신타마가와선에 배속되었던 차량들이 6량, 8량화 되고 일부편성은 도요코선으로 재배치되었다.

6.2. 영단 지하철에 차출

파일:33118019618_ce8194e6f7_o.jpg
8500계는 1978년부터 1989년까지 영단 소속으로도 차출되어 한조몬선에서 운행했었다. 이때 당시 한조몬선은 노선 개통은 했는데 차는 없어서, 1981년부터 8000계 전동차를 1981년부터 도입하기 전까지는 모든 운행을 도큐 열차로만 해결하였다.[2] 이러한 운행 형태는 1981년에 8000계를 도입한 이후에도, 1989년 한조몬역 ~ 미츠코시마에역 구간이 개통될 때까지 지속되었으니 총 11년 동안 도큐의 전동차를 빌려서 운행한 셈이다. #

6.3. 도요코선의 운용

도요코선에서는 신타마가와선 용 차량 2편성 12량이 투입되었다. 이후 1977년 4월 7일 신타마가와선 시부야~후타코타마가와 구간이 개업할 때 까지 잠정적으로 도요코선에서 운용하게 된다.

다만 이때, 8500계 만으로는 필요한 차량수 확보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1976년부터 8000계를 8500계의 규격에 대응하는 개조를 실시하였다. 이때 8000계 열차가 8500계에 재편성되어 필요한 차량 수를 확보하였다.

또한, 이런 열차 들 중 일부는, 중간차 대용으로 8000계의 선두차에 덮개를 장착한 차량이 등장하였다. 중간차 대용의 선두차는 1982년에 사용이 중지되었으나, 8000계 중간차는 1988년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었다.

신타마가와선 개업용 외에 도요코선용 8500계도 새로 제작 및 배속되어 운행하였다. (8630F 6량, 8634F 7량, 8642F 8량)

도요코선 내에서는 주로 급행운행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6량편성이던 차량은 1980년 급행의 7량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각역정차 운용으로 변경되었다. 1982년 급행이 8량화가 진행되고, 재적중이던 열차는 8량 급행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각역정차가 8량화 된 이후에는 각역정차로 운용되었다. 또한 1985년 시점에서 6량, 7량 편성은 각역정차로만 운행하고 있었다.

덴엔토시선에서 사용한 측면 지시자 및 목적기 표시기는 미사용하였고, 급행이나 보통 등 종별만 표시하였다. 다만 8500계의 최후 제조분인 8642F는 원래 덴엔토시선이 아닌 도요코선 신제 배속분이었기에, 도요코선의 행선지를 달고 운행하였다.

신형 열차인 9000계가 등장한 이후에 8500계는 더 이상 도요코선에서 운행 할 이유가 없어져서, 1990년대에 도요코선의 운용을 이탈, 다시 덴엔토시선으로 재 전속하게 된다.

6.4. 신타마가와선 투입

1977년 4월 7일 신타마가와선 개업 당시부터 도요코선의 6량 1편성, 11개 편성 66량이 전속 및 신타마가와선 전속열차로 운행되었다. 거의 전 구간이 지하선이었기 때문에, 전 열차가 냉방차로 운행되었다.

6.5.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 운용

1986년에 제작된 8638F, 8639F, 8640F, 8641F는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 둘쪽에서 공통으로 운행 할 수 있도록 5량편성으로 제조되었으며 2 편성이 병결운행하는 형태 였다. 따라서 이 4편성의 승무실은 다른 사양으로 되어있다.

오이마치선 운용은 8640F + 8641F로 운행하고, 오이마치선용 종별 및 목적지 표시기, 도어컷 스위치 등 을 설치하였으며, 덴엔토시선용 ATC를 설치 후에도 도큐식 ATS를 계속 놔두었다.

또한 오이마치선 운용 외에 코도모노쿠니선용 7000계 열차 대체용으로도 운행되어, 임시로 운행하기도 하였다.

6.6. 도부선 직통, 폐차 시작 및 오이마치선 이적

2003년 3월 19일, 한조몬선 스이텐구마에~오시아게 구간 및 도부 철도 이세사키선과의 상호 직통운행이 시작되었다. 원래 덴엔토시선과 한조몬선은 상호 직통운전을 시행중이었기에, 덴엔토시선 소속의 8500계는 덴엔토시선에서 한조몬선을 통해 도부 이세사키선과 닛코선을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2006년 3월 18일부터 기존의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운행한 것 외에 쿠키역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원래 도부선 직통 당시에는 8500계에 도부선 전용 ATS가 추가로 설치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간에 입장을 바꿔, 2002년 5월 2일부터 2003년 2월 21일까지 신형 5000계가 투입되었다. 5000계의 운행으로 8500계는 굳이 전 차량에 ATS를 설치 할 이유도 사라졌고, 8500계의 빈 자리를 채우는 대체열차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8500계는 초도차부터 폐차되기 시작한다.

8601F, 8602F가 폐차되고, 5량+5량 분할편성의 8638F+8639F, 8640F+8641F가 5량 편성으로 재편되어 오이마치선으로 전출되었다.

오이마치선에 전출된 4편성은 8000계의 8045F~8051F를 대체하였다. 또한 전출 당시 선두차의 연결기덮개와 에이단ATC를 제거하였다. 팬터그래프는 전출 당시 더블암이었다가 후에 싱글암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전출이나 폐차당하지 않고 계속 운행되는 차량은 예정에 따라 8615F~8637F에 도부선 직통대응 공사를 실시하여, 상호 직통운전에 대비하였다. 그후, 5000계 6도어 차량 도입에 따른 부족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2004년에는 8613F와 8614F도 직통대응 공사를 실시하였다. 개조공사를 받지 않은 미개조 차량은 식별을 위해 이때부터 운전석 비상관통문 유리창 우측 위에 'K'라고 쓰여진 스티커를 부착하고 다닌다. (이것이 서클K)

6.7. 도부선 운행 감소, 덴엔토시선-오이마치선 직통급행

2006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으로,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 열차는 이세사키선쿠키역까지 연장되었다. 또한 이 다이어개정으로 도부선 비대응 편성은 평일 아침 RH시간대에만 운행하고, 낮 시간대에는 운행갯수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 대용으로 휴일의 오시아게 행 및 키요스미시라카와역행으로 운행 하기도 한다. 다만 낮 시간대보다 밤 시간대에는 1왕복 정도 추가되었을 뿐이지만, 2008월 3월 28일 다이어 개정으로 공휴일 오시아게~츄오린칸 운행이 부활 (36K-38K)하고, 36K와 37K는 RH시간대에만, 38K는 하루종일 운행이 짜여있다.

또한, 2009년 6월 6일 다이어 개정 이후, 휴일 다이어에서 도부선 비직통용 운행은 아침 A34K, 밤 P35K만 운행하게 되고, 낮 내내 운행하는 비직통용 열차는 평일 44K만 남게 되었다.

오이마치선 소속의 5량 편성은 2006년 3월 18일 휴일 오이마치~덴엔토시선 직통 급행에 사용되게 되었다. 이 직통급행 설정에 맞춰 색상을 빨간색에서 적색-황색 그라데이션으로 재도색하고, 동시에 관통문 및 측면에 오이마치선을 나타내는 인식 스티커를 부착하였다.

다만 오이마치선의 고속 운전은 2008년 3월 28일 다이어 개정부터 시작되머, 오이마치선 직통급행도 이때부터 신 급행용 차량인 6000계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를 기점으로 8500계는 오이마치선 급행 운용에서 다시 완행으로 돌아오게 된다.

7. 갱신공사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노후 차량의 차체 및 차내 갱신공사가 시행되었지만, 이후 2000년에 신제차량 5000계의 양산 계획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몇 편성만 갱신공사를 받게 되었고 이후에 공사가 중단되었다. 또한 공사도 8000계와 같이 진행하였고, 편성단위가 아닌 객차단위로 진행을 하였기 때문에 갱신공사도 뒤죽박죽이 되어 버렸다.

8000계와 공사 내용은 변화가 없다. 다만 일부 차량은 갱신공사와 차내 업데이트를 동시에 진행한 차량도 있다.
또한 갱신공사와는 별도로 [노약자, 장애인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원활화의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해 공사를 한 편성도 존재한다.
업데이트 공사 외에는 차내 냉방커버가 개량되었다. (종래에 있던 송풍구 외에 구멍을 뚫어 찬바람이 더 많이 나오도록 개량하였다. 팬터그래프 바로 아래에 있던 선풍기를 제거하고, 냉풍송풍구나 보조송풍기를 장착하는 공사도 진행되었다.

외에도 기기의 부분적인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8. 전면 스커트 장착

도부철도 직통 운전 개시를 앞두고 2002년 말기부터 2005년까지 걸쳐 일부열차를 대상으로 선두차 전면 하단에 배장기 설치공사가 시작되었다. 2018년 3월 기준 배장기 미설치 편성은 8606F 뿐이다.

9. 대체 및 폐차

9.1. 5000계에 의한 대체

5000계 도입 및 8590계, 2000계의 전입으로 2003년부터 폐차가 시작되었다.원래 5000계는 35편성이 덴엔토시선에 도입 될 예정이었으나, 총 18편성만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24편성이 잔존하게 되었다.

9.2. 2020계에 의한 대체

2017년 3월, 도큐 전철은 덴엔토시선에 신형 2020계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8500계 잔존 24편성도 2023년까지 대체되었다.
오이마치선에서 운용되던 편성도 2020계 도입에 따른 9020계 전속으로 인하여 폐차되었다.

9.3. 재조합

운행에서 이탈한 편성 중에 연식이 덜 된 차량은 다른 편성에 재조합되었다.

10. 양도

10.1. 나가노 전철 양도차

파일:gm-31897-1200x800-240115.jpg
파일:1200px-Nagano_8500_T6.jpg
2005년에 6량 (3량 편성 2개) + 부품수급용 차 2량 등 총 8량을 우선 양도. 이후 2006년에 6량 (3량편성 2개), 2008년도에 6량 (3량편성 2개)가 각각 나가노 전철에 양도되었고, 나가노 전철 8500계 전동차가 되었다. 인수인계에 맞춰 기동가속도는 재조정하였다.

10.2. 이즈급행 양도차

파일:Tokyu-Izunatu-8614f.jpg
2005년에 이즈 급행에 1량이 양도되었고, 이후 8000계에 편성되어 운행중이다.

10.3. 인도네시아 철도공사 양도차

파일:20190130214035.jpg
2006년에 8량 편성 3개 (8604F, 8608F, 8611F중 8량X3개 = 24량), 2007년에 8량 편성 2개 (8607F, 8610F중 8량X2개 = 16량), 2008년에 8량 편성 2개 (8612F, 8618F중 8량X2개 = 16량), 2009년에 8량 편성 1개 (8613F중 8량)이 인도네시아 철도 회사인 [PT. Kereta Api、PT Kereta Commuter Indonesia]에 양도되었다. KCI 관내에서는 냉방있는 각역정차 'Commuter Line'에 운행된다. 2009년에 양도된 8613F만 이 회사의 자회사인 'PT KCI'의 소유 열차며, "JALITA"라는 애칭이 붙어있다. 또한, 양도 후에 인도네시아에서 결함을 일으켜 오랫동안 휴차처리 중이었던 8613F는 부품조달차로 격하되었고, 2014년 9월에 폐차되었다.

파일:GOFQ0YfbMAA7Ev6.jpg
현재는 노후화로 일부 편성이 폐차처리를 밟고 있는데, 현재 차량은 모두 KAI 소속이다. 현재는 신도색을 적용받고 운행 중.

11. 관련 문서



[1] 타마가와 전기철도, 덴엔토시선의 전신이 된 구 타마가와선의 운용회사이며, 현재 도큐의 전신이 되는 회사중 하나다.[2] 8000계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8000계는 한조몬선 개통 전 이미 목업과 개통 기념 승차권의 일러스트까지 만들어진 상태였다. 영단에서 한조몬선의 초기 개통구간이 짧아서 의도적으로 차량 도입을 연기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