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8:23:03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돈파치 시리즈
<rowcolor=#000000> 정규 시리즈 개정판/외전
돈파치
도돈파치 도돈파치 블루 레이블
도돈파치 2
도돈파치 대왕생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EXTRA
도돈파치 대왕생 혼
도돈파치 대부활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
도돈파치 맥시멈
A.I am Monster(가제)
도돈파치 최대왕생 도돈파치 일면번장
도돈파치 최대왕생 EXA 레이블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怒首領蜂 大往生 ブラックレーベル
DoDonPachi Dai-Ou-Jou Black Label
<nopad> 파일: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케이브
유통 AMI
플랫폼 아케이드
장르 탄막 슈팅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년 10월 25일
한국어 지원 미지원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변경점4. 이식판5. 기타

1. 개요

2002년에 발매된 도돈파치 대왕생의 난이도 및 버그 수정 버전. '블랙 레이블'이라는 별도 표기 버전명과 타이틀 화면[1] 때문에 기존에 발매된 도돈파치 대왕생은 백판(백왕생),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은 흑판(흑왕생)으로 부르기도 한다.

공략 DVD에 부속된 가이드북에 따르면 이케다 츠네키는 당시 백판의 난이도 때문에 나왔던 많은 말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고,[2] 이를 종식시키기 위해 블랙 레이블을 만들었다고 한다.

2. 특징

난이도 및 버그 수정 버전이라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출하 대수는 백판에 비해 극히 소수이고[3] 가격도 몇 배나 더 비싸다.[4] 그도 그럴 것이 일단 출하 대수가 굉장히 적고 '블랙 레이블' 버전은 기존 백판 버전의 게임이 기판에 내장되어 있어 첫 기동시에 백판 버전/흑판 버전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사실 기판 가격이 비싼 이유는 두 가지 게임 버전 내장이라기보다는 출하 대수가 적어서인 이유가 더 강하다.

난이도 수정 버전이라고는 하나 히바치 혹은 그 근처까지 간 사람에게나 희망적일 뿐 어려운 건 마찬가지다(...).

물론 백판과 비교해보면 하이퍼 아이템을 주구장창 써도 탄속은 그다지 올라가지 않는 편이고 일부 적이 쏘는 탄막이 약간은 옅어져서 쉬워졌다는 게 눈에 보이긴 한다.[5]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점은 1주 클리어 이후 정산할 때 모든 잔기를 몰수해가던 백판과 다르게 이 블랙 레이블에선 잔기를 그대로 가지고 갈 수가 있다는 점. 여기에 1스테이지 보스 스자쿠와 2스테이지 보스 뱟코가 전부 너프가 되어 2주차 진출 초반부터 순식간에 게임 오버될 일은 줄어들었다.

그래도 베이스 자체는 백판이라 난이도를 수정했다고 깔보면 큰 코 다친다. 게다가 아래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면 백판보다 더 어려워지는 상황도 나온다.

이를 봐도 흑판의 전일을 장기간 유지했던 HFD는 인간이 아니다(A 타입 35.4억, B 타입 33억). 어찌 보면 유세미라든지 BGR-44보다 더욱 무서운 사람. 하지만 그도 세월의 흐름을 이기지는 못했다.[6]

3. 변경점

기본적인 시스템은 같으나 다음과 같이 버그와 몇몇 난이도 조정 및 자잘한 게임 시스템 변경이 이루어졌다.

4. 이식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EXTRA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EXTR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EXTR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1] 기존 버전의 타이틀 화면은 흰색 바탕화면이지만, 이 버전은 검은색 바탕화면이다.[2] 케츠이 발매 인터뷰에서도 "대왕생 2주 때문에 많은 플레이어들의 입문을 막아버린 것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었습니다" 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런데 케츠이도 상당히 어려운 게임이라는 게 함정.[3] 200대 정도 만들어졌으나 일본에서도 모습을 감추는 추세인지 레어 기판이 되었다는 얘기가 있다.[4] 본래는 오사다 선인이 자기 혼자 11억을 내고 있던 그 스코어 트라이얼의 우승 상품으로 1대만 내놓을 예정이었으나 한정 생산으로 예정이 변경. 스코어 트라이얼 우승자인 오사다 선인은 흑판의 프로토 타입격인 기판을 받은 것 같다. 전반적으로 흑판과 비슷하나 약간 다른 부분이 존재해서 별개의 기판으로 취급되며 선인판, 선인 버전 등으로 부른다. 도돈파치 청판처럼 일반 오락실에서 가동한 적이 있는 듯하다. 참고로 블랙 레이블의 디폴트 랭킹은 스코어 트라이얼의 점수를 단위를 축소시켜 저장해놓은 것이다.[5] 하지만 이건 1주에서나 통하는 이야기이고 2주부터는 한 면 넘어갈 때마다 눈에 띄게 팍팍 오르는 탄속을 볼 수 있다.[6] 처음 갈렸을 당시의 기록은 35.8억. 이후로도 계속 갱신되어 2022년 2월 기준 A 타입은 38.3억, B 타입은 37.23억까지 나왔다.[7] 하이퍼를 발동해도 탄소거와 하이퍼 효과음 및 연출만 나온다. 게다가 이후에 봄 버튼을 눌러도 봄이 안 나간다. 단, 2주차에서 나온 하이퍼 아이템을 습득했을 경우는 이 버그가 풀림.[8] 봄을 사용하고 무적시간 풀리기 전에 하이퍼 아이템을 사용하면 하이퍼 아이템 사용 시 걸리는 무적시간이 취소된다.[9] 원본 2주 코류와 다르게 발악도 정상으로 다 나온다.[10] 재미있는 것은 익스텐드 하나 안 먹은 쪽과 다 먹고 미스 한 번 난 쪽이 같은 잔 5임에도 랭크가 다르다(전자가 랭크가 더 높다). 아마 미스로 인한 랭크 변동폭이 큰 탓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