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45:34

도널드 창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미국의 배우에 대한 내용은 도널드 창(배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미국의 배우:
도널드 창(배우)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홍콩 특별행정구 휘장.svg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행정장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퉁치화 도널드 창 렁춘잉 캐리 람 존 리
영국령 홍콩 총독 }}}}}}}}}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제2대 행정장관
도널드 창
曾蔭權 | Hon. Sir Donald Tsang
GBM KBE
파일:Donald-Tsang-Hong-Kong.jpg
<colbgcolor=#ee1c25> 영어 이름 Donald Tsang Yam-kuen[1]
중국 이름 曾蔭權 (짱얌퀸, 증음권)
출생 1944년 10월 7일 ([age(1944-10-07)]세)
일본령 홍콩
재임기간 행정장관 권한대행
2005년 6월 21일 ~ 2007년 7월 1일
제2대 행정장관
2007년 7월 1일 ~ 2012년 7월 1일
학력 Wah Yan College, Hong Kong
하버드 대학교 MPA
가족 아내
슬하 2남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 개요2. 일생3. 성향4. 여담

[clearfix]

1. 개요

홍콩의 정치인으로, 홍콩의 제2대 행정장관을 지냈다. 흔히 영어식 이름인 "도널드 창"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광둥어 이름은 "짱얌퀸"이다. 드물게 표준 중국어 발음인 "쩡인취안"으로 불리기도 한다.

홍콩 섬 출신들 중에서 구도심인 센트럴, 셩완, 완차이, 케네디타운 출신들이 대개 그렇듯 가톨릭을 믿는 기독교 신자다.[2]

2. 일생

1944년 일본 치하 홍콩에서 홍콩 경찰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본적은 광둥성 포산이다. 일본군이 점령하던 시절 홍콩 경찰은 일본 헌병대의 꼭두각시로 그의 아버지가 할 수 있던 일은 거의 없었고 그럭저럭 평범한 삶을 살았다.[3]

1964년 홍콩 화런 천주교 학교(Wah Yan College)의 예과를 졸업한 후 홍콩대학 건축학부에 합격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진학을 포기하였고, 이후 화이자 판매원으로 잠시 근무한 적이 있다. 그는 1967년에 행정관으로 공직에 취임했다. 미국으로 유학가서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1982년에 행정학 석사 학위(MPA)[4]를 취득했다..

유학생활 후 귀국, 홍콩 정부에서 재무와 관련된 일들을 하다가 1995년 재무사사장으로 임명되었고 이어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뒤인 2001년 사임한 앤슨 찬의 뒤를 이어 정무사사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2005년 사임한 퉁치화의 뒤를 이어 홍콩특별행정구 행정장관으로 취임했고 2007년 무난히 재선되어 2012년까지 재직했다.

그러다가 2016년 홍콩 부동산 재벌 신홍기부동산과 엮인 부패 혐의로 구속되었고 이어 2017년 징역 1년 8개월 형을 선고받아 홍콩 역사상 처음으로 구속된 행정장관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써 버렸는데[5] 이후 2019년 홍콩 종심법원에서 하급심에서의 절차적 문제를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며 풀려났다.

하지만 홍콩 우산 시위로 이미 평판이 땅에 떨어진 렁춘잉을 당시 행정장관으로 두고 있었던 홍콩인들의 눈에는 그저 애교로 보였던 건 물론 이젠 아예 폭탄을 터뜨린 캐리 람과 이보다 친중 성향이 더욱 강한 존 리가 있어서 홍콩인들은 도날드 창이 그립다는 여론이 매우 강하다.

3. 성향

친중파이긴 하지만 홍콩 행정장관 중 가장 온건한 성향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령 홍콩 시절 크리스 패튼 총독 밑에서 재무장관을 지냈던 경력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경제관료 출신이라 정치적 입장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후임 행정장관인 렁춘잉이나 캐리 람, 존 리 등은 강경 친중 성향이다. 이 때문에 오히려 재임중에는 강경 친중파들에게 공격받기도 했으나, 후진타오의 강력한 신임 덕에 입지를 지켰다.

그가 재임하던 시기 홍콩은 학생비자, 취업비자 등 각종 비자도 잘 나오고 가장 외국인을 잘 받는 곳이었다. 중국의 국익에 맞아 떨어지는 것이 홍콩의 외국인 인재 유치였으며 이에 호응하고자 한국인에게 대거 취업비자를 발급해주고 한국과 워킹홀리데이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후임 행정장관들로 갈수록 홍콩의 각종 비자가 까다로워졌다.[6]

4. 여담


[1] 홍콩식 이름이기 때문에 Donald가 영어 Tsang Yam-kuen이 광동어 이름이다.[2] 별개로 홍콩은 영국의 영향으로 성공회의 영향력이 강하다.[3] 사실 저항하는 경찰간부들은 전원 일본군에 의해 끌려가 살해당하거나 망명을 택했으며 홍콩 왕립경찰 자체가 해산 후 일본 치하 홍콩 점령지 경찰로 재조직되었다. 일본인 헌병장교들이 이것저것 감 놔라 대추놔라 하며 간섭하며 재량권이 없었다.[4]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이라는 과정으로 주로 중견급 공무원들이 국비유학을 통해 취득하는 학위다.[5] 공교롭게 동시기 대한민국에서도 박근혜가 탄핵당하고 감옥으로 직행했다.[6] 이는 시진핑 정부의 배타적 외교정책 탓에 로컬사람 우선을 내세워 그런 면이 크다. 2022년 존 리로 행정장관이 교체된 뒤 인재유출이 현실화되자 로컬사람 우선 원칙은 재검토 대상이 되었다.[7] 하지만 도널드 창이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역임한 정무사장은 홍콩 경무처의 상부인 홍콩 보안국을 산하에 두고 있어 동생의 상사로 지냈던 적은 있다.[8] 영국을 포함한 영연방 국가의 시민들만 2등급 이상 훈장에 수훈될 시에 기사 작위가 나온다. 일례로, 강영훈국무총리대영제국 훈장 2등급인 KBE에 서훈되었으나, 영연방 소속이 아닌 대한민국 시민권자인 관계로 명예 훈장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기사 작위에는 서임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