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4:46:58

대구고등법원

대구고법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대한민국 법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법원
법원행정처 · 사법연수원 · 사법정책연구원 · 법원공무원교육원 · 법원도서관 · 양형위원회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 서울동부지방법원 · 서울남부지방법원 · 서울북부지방법원 · 서울서부지방법원 · 서울가정법원 · 서울행정법원 · 서울회생법원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 남양주지원)
인천원외재판부1 <colbgcolor=#fff,#1c1d1f>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 북부지원) · 인천가정법원
춘천원외재판부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 속초지원 · 원주지원 · 영월지원)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 안동지원 · 경주지원 · 영덕지원 · 상주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김천지원) · 대구가정법원
광주고등법원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 장흥지원 · 순천지원 · 해남지원) · 광주가정법원
전주원외재판부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 정읍지원 · 남원지원)
제주원외재판부 제주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 서부지원) · 부산가정법원 · 부산회생법원
울산원외재판부 울산지방법원 · 울산가정법원
창원원외재판부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진주지원 · 밀양지원 · 통영지원 · 거창지원) · 창원가정법원
대전고등법원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 공주지원 ·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대전가정법원 · 세종지방법원
청주원외재판부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영동지원 · 제천지원)
수원고등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 안양지원 · 안산지원 · 평택지원 · 여주지원) · 수원가정법원 · 수원회생법원
취소선: 신설확정·건설중, 1 2028.3.1 인천고등법원으로 분리 예정
특허법원
국방부 관할
군사법원 중앙지역군사법원 · 제1지역군사법원 · 제2지역군사법원 · 제3지역군사법원 · 제4지역군사법원
대한민국 검찰청 관련 틀
}}}}}}}}} ||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대한민국의 고등법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대구고등법원
大邱高等法院
Daegu High Court
}}}
<colbgcolor=#005496><colcolor=#fff> 설립일 1895년 5월 15일 대구재판소[1]
1909년 8월 1일 대구공소원[2]
법원장 46대 정용달 (사법연수원 17기)
수석판사 곽병수[3] (사법연수원 25기)
주소

대구고등법원청사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64 (범어동)
법원 보관금
취급 은행
신한은행
iM뱅크
웹사이트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1. 개요2. 역사3. 관할 구역4. 여담
4.1. 광활한 관할구역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경상북도의 법원 사무를 관장하는 제2심 법원으로서, 대구지방법원대구가정법원 및 그 산하 지원의 재판에 대한 항소, 항고사건과 검찰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재정신청사건 등을 심판한다. 과거에는 경상도 전체와 전라도, 제주도까지 담당했었다.[4] 1952년 광주고등법원의 설치로 전라도와 제주도가 떨어져 나갔고, 1987년 부산고등법원의 설치로 부울경 지역이 떨어져 나가 현재는 전국 고등법원 중 관할 인구가 가장 적다.[5]

2. 역사

3. 관할 구역

4. 여담

4.1. 광활한 관할구역

대구고등법원은, 수원고등법원을 제외한 최소 2~3개의 지방법원을 거느린 다른 고등법원들과는 달리, 대구고법 산하 지방법원은 대구지법 하나뿐이다. 대구와 경북 지역에서의 관할 인구가 490만여 명[7]으로 대전지방법원(390여만 명), 광주지방법원(320여만 명), 전주지방법원(180여만 명), 부산지방법원(330만여 명) 관할 인구보다 많고[8], 관할 면적 또한 1만9천여km²로 경기도 남부만 관할하는 수원고등법원 관할 구역은 말할 것도 없고, 춘천지방법원 1만6천여km², 광주지방법원 1만2천여km² 등에 비해 넓다. 이에 (가칭)경북북부지방법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만약 지방법원이 생길 경우 위치가 경북 북부라면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원을 승격시키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다분하다.[9] 2017년 2월에는 사공영진 대구고등법원장이 양승태 대법원장에게 경북 북부에 지방법원 신설을 직접 건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5. 관련 문서


[1] 법률 제1호 (1895. 03. 25), 칙령 제114호 (1895. 05. 10).[2] 법률 제10호 (1907. 12. 23.), 법부령 제11호 (1908. 07. 20.)[3] 법관인사규칙 10조 판사로서, 부장판사 직함이 붙지 않는다. 지방법원, 고등법원 인사 이원화에 따라 앞으로는 수석판사라는 명칭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4] 대신 1963년 1월 1일부터 강원도 관할을 두고 있었던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이관되면서 울진군 관할이 서울고법에서 대구고법으로 변경되어 있었던 사례가 있다.[5] 관할 인구가 500만 명 미만인 유일한 고등법원이다.[6] 산하 지원은 서부지원, 안동지원, 상주지원, 경주지원, 포항지원, 김천지원, 영덕지원 등이 있다.[7] 수도권에는 관할 인구 420만여명의 인천지방법원이 있는데 이보다 더 많은 수치다.[8] 약 880만 명을 관할하는 수원지법에 이어 2위이다. 정작 대구고법은 2심 법원 중 관할 인구가 전국 꼴찌라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9] 다만, 경북 북부 인구가 남부에 비해 극히 적기 때문에 효율적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하나만으로 관할 인구가 50만명이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