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6:40

니콜라옙스크 사건/학계연구 및 사료 문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니콜라옙스크 사건
니콜라옙스크 사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B32341,#F8E77F> 학계 연구 & 사료 문서 역사학계 · 생존자들의 증언
관련 문서 적백내전 · 시베리아 출병 · 야코프 트랴피친 · 아나톨리 야코블리비치 구트만
}}}}}}}}} ||
1. 개요2. 역사학계3. 사료
3.1. 생존자들의 증언3.2. 비볼셰비키 언론
3.2.1. V 칠리킨3.2.2. N. 아무르스키
3.3. 볼셰비키 진영
4. 한인 참여자의 증언5. 관련 문서

1. 개요

니콜라옙스크 사건의 학계연구 및 사료 문서를 서술한 문서.

2. 역사학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니콜라옙스크 사건/학계연구 및 사료 문서/역사학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사료

3.1. 생존자들의 증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니콜라옙스크 사건/학계연구 및 사료 문서/생존자들의 증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비볼셰비키 언론

3.2.1. V 칠리킨

1920년 7월 13일 블라디보스토크에는 비볼셰비키 위원회가 있었고 그들이 니콜라옙스크에 도착해서 사건을 조사했다. 이때 블라디보스톡 기자인 E. Ech (V. Chilikin)가 같이 따라왔다. 그 기자는 거기서 현장을 조사하고 기사로 내보냈는데 다음은 그 중 일부다.

다음은 그에 대한 영어 번역본이다.
"Everywhere, as far as the eye could reach, there were only ruins of houses; here and there lonely house chimneys, the tall chimney of the blown-up electric plant, half-sunken vessels. . . . . Only on the outskirts of the town was smoke coming from the chimneys of houses that had fortunately survived. Of all the buildings within the town itself only the trade school and the prison remained intact. . . . . Almost no inhabitants were seen. Only when the steamer drew nearer, did lonely figures appear, all in black, all humped and bent. .... None of us had really entertained the thought that the destruction of the town could be as complete as it was.

“Having secured a pass from the Japanese command, I went ashore. .... The harbor shops and piers of ocean-going vessels .... were all destroyed as if they had been swept by artillery fire: heaps of brick and iron, naked steel rafters in the air. .... The lifesaving station and the steam crane were destroyed. . . . . A halfsunken barge loaded with rocks stood in the middle of the channel. We learned that along the entire channel barges were thus sunk in order to obstruct the passage of Japanese deep-sea vessels into port. .... Japanese flags waved over all the vessels and boats in the river harbor; Japanese signs were everywhere. Only one steamer, the ‘Vladivostok,' flew a Russian commercial flag. Japanese sentries, guards, patrols were everywhere and constantly crying: 'Rus! This was their way of demanding your pass. . . . . Every fifty paces the same ceremony was repeated. .....

“From fragmentary inquiries of survivors I have established the fact that even before he entered the city Triapitsyn had compiled 'black lists.' .... When these lists were exhausted, Triapitsyn issued another. . . . . The partisans began to kill all those families whose fathers, brothers, or sons had already been killed. . . . . After that, they began to murder anyone who was handy. .... They murdered even their own men .... for disobedience, for treason, etc.; in the Chnyrrakh fortress two companies of partisans were shot down simply because Triapitsyn did not trust them. .... The predominant element in Triapitsyn's forces were local and district peasants, then workers and hired Chinese and Koreans. His closest helper in everything and his Chief-of-Staff was Nina LebedevaKiashko, a woman of medium stature, about twenty-three to twentyfive years old. Nervous, agile, quickly irritated and yet conscious of her own acts and knowing something of office management .... Nina Lebedeva moved around the town armed to the teeth. She rode on horseback clad in a dark red leather suit, with two revolvers in her belt and a carbine on her back. Following her, also on horseback, went two or three partisans, as a bodyguard. ....

"One survivor said:
“'At first, when the talk of surrendering the city to the Reds began, all of us still believed and wanted to believe that perhaps the Reds were after all not as horrible as they were painted. . . . . But from the very first day we saw that we were trapped. The entrance of the Reds into town will never fade from my memory. Everywhere were red or black flags with legends :

“Down with bourgeoisie and officers.” “Down with the parasites of labor.”

“Vengeance is our duty,” and so forth. Arrests began during the first night after their entry. . . . . All those arrested were subjected to horrible; indescribable tortures. . . . . The partisans plundered, stole, laid waste everything. .. .. After the Japanese attack, when all arrested people were killed off, the terror reached its height. .... On the eve of the burning of the city, the partisans brought jars and kegs of kerosene to all wooden houses . . . . so that when the signal was given the terrible plan of Triapitsyn could be executed at once. ....

“ 'Labor duty consisted chiefly of loading rock into barges which were then sunk in the Amur channel to prevent the Japanese from entering the port.

“ 'Partisans killed children and choked them in the mother's presence, then, tying the mother and children together, threw them into the Amur—"so that she won't be lonely,” they said.

"'The chief of the prison, Jemaitis, distinguished himself by especial cruelty.

“'The partisans, always drunk, moved about the town and pursued women. ....

“'At the end of May the partisans began to send the wives and children of residents to the Amgun River district. .…

“ 'On June 1 and 2 inhabitants began to be driven to the Alekseevskaia wharf, allegedly in order to be sent to Kerbi, on the Amgun. .... These were mostly women and children. . . . . One man, who stayed in hiding under this wharf for several days, saw that from eleven o'clock at night and until dawn parties of forty to seventy people were brought to the wharf. Then and there, at the wharf, they were brutally murdered with rifle butts, sabers, bayonets. .... Later a special wooden “knocker” was invented. From one blow, a person lost consciousness and was then thrown into the Amur. ..., After a day's rest "the work” continued the next night.

“ 'This surviving witness .... crept from under the wharf only on the sixth day, for he saw that mines were being laid under the corners of the wharf. Later they were exploded with electric charges. All who were on the wharf perished.?"』[1]

해당 영어 번역본의 한국어 요약은 다음과 같다.
“어디나, 눈이 닿을 수 있는 곳에는 주택의 폐허밖에 없다. 여기저기 외로운 집 굴뚝들, 폭파된 전기 공장의 높은 굴뚝, 반쯤 가라앉은 그릇들……마을 변두에서만 다행히 살아남은 집들의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었다. 마을 안에 있는 모든 건물 중에서 무역학교와 교도소만이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대부분의 주민들은 보이지 않았따. 기선이 가까이 다가왔을 때 비로소 외로운 형상이 나타났는데, 모두 검은 옷을 입고, 모두 웅크리고 구부러져 있었다..……우리중 누구도 도시의 파괴가 그만큼 완전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진정으로 즐기지 못했다.

(……)

나는 생존자들에 대한 단편적인 조사를 통해 그가 도시에 들어오기 전부터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명단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 트랴피친은 또 다른 명부를 발행했다.……유격병들은 아버지가 형제나 아들이 이미 살해된 그 모든 가족들을 죽이기 시작했다..……그후 그들은 손재주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살해하기 시작했다..……그들이 심지어 본인들의 부하들까지도 죽였다. 불복종, 반역 등을 이유로. 츠니라흐 요새에서 뜨랴피친은 두 명을 믿을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유격병 두 사람을 쏘았다...……뜨랴삐친의 세력에서 지배적인 요소는 지방 농민과 지역 농민, 노동자와 중국인과 조선인이었다.

한 생존자가 말했다.

처음에 빨갱이들에게 도시를 내주다는 이야기가 시작됐을 때, 우리 모두는 여전히 빨갱이들이 그림처럼 끔찍하지는 않다고 믿고 싶어했다. 그러나 우리는 첫날부터 우리가.… 갇힌 것을 보았다. 빨갱이들의 마을 입구는 내 기억에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모든 곳에는 붉은 깃발이나 검은 깃발에 다음과 같은 문구들이 있었다.: "부르주아지와 장교들을 함께 쓰러뜨리자" "노동자의 기생충을 쓰러뜨리자", "복수는 우리의 의무다" 등등. 체포는 그들이 들어온 후 첫날 밤동안에 시작되었다.….…체포되는 모든 사.…람들은 끔찍하고, 형언할 수 없는 고문을 당했다..….…유격병들은 모든 것을 약탈하고, 훔치고, 낭비했다. 일본군의 공격 이후 체포된 사람들이 모두 살해당하자 공포는 극에 달했다...….…도시가 불타기 전날, 유격병들은 모든 목조 가옥에 등유 항아리와 등유 통을 가지고 와서 신호가 가면 뜨랴삐친의 끔찍한 계획인 곧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의무가 된 노동은 주로 바위를 바지선에 적재한 다음 아무르 강 수로에서 침몰시켜 일본인이 항구에 들어 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유격병은 아이들을 죽이고 어미니의 면전에서 질식시킨 다음 어머니와 아이들을 함께 묶어 아무르 강에 던져버렸습니다. "그 어머니는 외롭지는 않을 것이다.”

감옥의 우두머리인 Jemaitis는 특별한 자신함으로 자신을 구별하게 하였다.

유격병들은 항상 술에 취해 마을을 돌아다니며 여성을 쫒았습니다.….…

5월 말에 유격병들은 아내와 자녀들을 암군 강으로 보내기 시작했다.

6월 1일과 2일, 주민들은 암군에 있는 케르비에 보내지기 위해서라고 알려진 Alekseevskaia 부두로 몰리기 시작했다.….…이들은 대부분 여자와 아이들이었다. 며칠동안 이 부두 밑에 숨어있던 한 남자는 밤 11시부터 새벽까지 40~70명의 사람들이 부두로 끌려오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부두에서 그들은 소총 개머리판, 기병도(sabers), 총검으로 잔인하게 살해당했다.….…후에 특별한 나무"knocker"가 발명되었다. 한사람이 한대 얻어맞고 의식을 잃고 나서 아무르강으로 던져졌다.….…하루동안 휴식을 취한 다음 날 밤에도 '일'은 계속되었다.

이 생존한 증인은 엿새째 되는 날에야 부두 밑에서 살금살금 도망쳤다. 그는 부두에 지뢰가 깔리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뒤에 그것들은 전기로 폭발했다. 선창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죽었다.』

3.2.2. N. 아무르스키

신문 Delo Rossii의 특파원 N.Amursky은 생존자들을 최초로 만난 사람 중 하나였는데 다음과 같이 기사를 내보냈다.
『The Bolsheviks who killed children had a special theory to justify this: whenever parents are killed, it is necessary to kill any children over five years of age. Before that age they can forget. But if a child over five is left alive, he will, in time, seek revenge, so the Bolsheviks reasoned. And thus, children died along with their parents.

There is a dreadful story about how the execu-tioners would grab a child by his legs and kill him by hitting his head against the walls or against the floor.

I had a chance to talk to one of the students from the boys' school. According to him, out of 360 students in the school, not more than 50 were left. It is true that some of them were forced to go to Amgun, but there is no doubt that many perished in Nikolaevsk. Many students from the girls' school are also missing. Their fate was even more pathetic... Many children were drowned in the Amgun River. Children in the orphanage were loaded on a barge, taken to the middle of the river, and thrown overboard.

There are many cases where large families with several small children were killed. On one lot in town, where everything had burned down, there stands a large cross with an inscription indicating that seven people were killed there- a mother with her six children.

A student, Naletov, related that his father, his mother, and his small sister and brother were all taken away together to be shot.

But most eloquent of all are the small corpses washed up to the surface. When the corpse of Mrs. Nazarova, the owner of a schooner, was found, children were tied to her arms and legs. Three of the small bodies were still attached, but a knot on the arm indicated that a fourth child must have been attached and fallen off.』[2]

3.3. 볼셰비키 진영

볼셰비키 진영 내부에서도 이 사건을 문제삼았다. 케르비 읍의 군사회의 전권위원 베즈드닌은 니콜라옙스크 학살 사건을 알게 됐고 윗사람들을 상대로 이 사건이 어찌된 것인지 제대로 된 해명을 요구하였다.
군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도시에 주민들을 남기지 않았으며, 일본 포함들의 접근으로 야기된 후퇴 때 도시는 불탔고 큰 건물들과 치니라흐 요새는 폭파되었습니다. 마지막 부대들과 남은 주민들은 6월 2일 타이가로 퇴각하였으며, 3주간 유랑 끝에 우딘스크 창고 쪽으로 나갔습니다. 5월 22일 니콜라옙스크 시에서 군사혁명재판소가 해산되었고, 이 날부터 6월 2일까지 대중 테러가 전개되어 수많은 부르주아 및 반(半)부르주아 가족들과 우익사회주의 활동가들, 심지어 소비에트 권력의 지지자들까지 희생되었습니다. 동시에 이러한 테러가 암군 강변 부락들에서도 전개되었으며, 아이들도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이 사건들은 지금 완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으며, 길고 세밀한 해명을 요구합니다.
(……)
1920년 9월 8일 케르비 읍에서.
군사회의 전권위원 베즈드닌[3]

4. 한인 참여자의 증언

니항 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트랴피친(뜨랴삐친) 부대라고 알려져 있다.

트랴피친은 러시아 제국 육군 출신 군인이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일을 하며 지냈다고 한다. 그러다 시베리아 내전 상황을 보자 봉기를 일으킬 결심을 했다. 자신의 애인 레나를 포함해 뜻이 맞는 동지를 모은 후 봉기를 일으켜 세력을 모았고 "흑룡강"(아무르 강)을 들어올린다는 이야기가 돌만큼 세력을 키웠다. 그러한 과정에서 수찬에서 자치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니항으로 갔다는 것이다.
하바로프스크와 니콜라예프스크 중간쯤 지점에 쏘피아라는 조그마한 어촌에서는 단념 22세의 뜨래삐진이라는 청년이 있었다. 키가 후리후리하고 살빛이 약간 갈황색이어서 얼른 보기에는 길기스 아니면 우즈베크종인듯한 청년, 코가 그리 높지는 않지만 날카롭게 생간 콧날은 그의 강직을 말하고 움푹 패인 두 눈에서는 불꽃이 튀는듯, 머리는 흑각색, 나이는 30세 안팎이나 되어 보이는 청년, 그가 바로 한때 흑룡강물을 거슬려 올린다는 소문까지 퍼뜨린 괴웅이다.… 뜨래삐진은 제1차 대전시에 그의 조국을 위하여 종군하였다가 종전 후에 귀향하여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자기 고향에 돌아와 보니 들리는 소식은 일본군이 시베리아로 출병하여 멀리 일크쯔끄까지 점령하리라는 소식이다. 아무리 자기 조국이 패전국이라 할지라도 원숭이 같은 일군[4]에게 점령을 당한대서야 참을 수 없는 분통이 터지는 것이다. 그는 자기의 애인 레나에게 자기의 심정을 토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애인 레나는 자기 고향에서 소학교 교원으로 있었다. …그들은 비밀리에 자기네들과 뜻을 같이 할 수 있는 5인이 동지를 구하자가 돌연 행동을 개시한 것이다. 그들은 촌락을 기습하고 청장년을 모집하고 동시에 부유한 집에서는 무기와 식량을 징발하였다. 이렇게 흑룡강 하류로 내려가면서 동일한 방법으로 무기와 군인들을 마구 모집하였다. 당시 러시아 청년들은 대개 출전하였던 군인 출신이오, 시베라이 북극 지대에서 기나긴 겨울의 주야를 농촌이나 어촌에서 보내는 것이 무료하던 차에 뜨래삐진 일파들의 애국적이고 모험적인 협객 활동에 가담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그들도 뜨래삐진과 마찬가지로 군대 생활에서 또는 전선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사상, 무슨 주의는 모르지만 제정 러시아의 썩어빠진 탐관오리들의 횡포…일러 전쟁 이후로 가장 멸시하는 일본 군대까지 자기네 영토에서 우쭐대는 것을 보고는 숨이 막힐 정도로 저기압 상태에 처해있는 그들에게 '이놈의 세상을 때려부시자!'하는 뜨래삐진의 선동 구호에 공명하게 된 것은 무리가 아니다. 자기 집에 있는 연발 총이나 엽총이나를 되는대로 들고 뜨래삐진의 뒤를 따르는 것이었다. 흑룡강변 부락에서 월동하던 우리 나라 사람들도 백여명이 뜨래삐진의 무장 집단에 가담하였다.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1 ~ 322
니꼴라예프스끄 전투에서 총지도자 뜨라비찐은 제정 로시아 시대에 니꼴라예프스끄 도시에서 포병 대장으로 5년 ~ 6년 동안을 복무하던 사람으로 1917년경에 제대하여서 빼젤르부르크에 있으면서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서 혁명 운동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1920년 가을에 뻬젤부르크로 붙어 떠나서 자기가 그전에 복무하면서 낯익은 지대 니꼴라예프쓰크에 가서 혁명 운동을 하기로 결심하고서 동지 3명으로 작반하여서 발정하엿다.
혁명 당시에 파괴된 철도 교통을 천신만고로 치따시에 도착하여서 몇을동안 류숙하면서 당시 치따 총독인 크냐세프의 양딸 레베지에파와 상교 - 결혼하여 가지고 려자와 동행하게 되엿다. 그 려자는 고등 상식을 소유하엿으며 혁명적 학식과 사상이 풍부하엿으며 당시 치따에서 미인이란 칭호를 받던 녀자이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2쪽[5]
1919년 4월 블라지보스또그시에 있는 무정주의 무리가 약 30명이 있었는데 그들은 쑤찬으로 와서 그의 우두머리가 쑤챤의 지도자에게 자기들에게 모든 자유와 완전한 자치 권리를 달라고 강요하였다. 거절을 당하자 드랴삐찐은 자기의 무리를 거느리고 하바로프스끄 근처에 있는 니꼴라예프스끄 시에로 갔다,"

일휴호브, 싸무센고, 연해주에서의 빨찌산 운동, 김낙현, 빨찌산 김낙현 회상기,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429에서 재인용

이런 과정에서 니콜라옙스크 지역 빨치산들은 만나 연합했다. 반병률 교수에 따르면 1919년 11월 2일 하바롭스크 교외 아나스타시에프카(Anastas’evsk)촌에선 인근의 빨치산 부대들의 대표자 협의회가 개최됐는데 이 협의회에선 니콜라옙스크 항구를 "해방"하기 위해 부대 재편성이 결의되었다고 한다.[6] 이때 트랴피친이 참여한 건지, 아니면 이때 재편성된 빨치산 부대들과 연합한 건지는 불명확하다.

트랴피친 부대는 니항으로 입성하는 과정에서 백군과 일본군과 어느 정도 전투를 벌였다. 그 과정에서 일본군은 저항을 포기하고 2월 28일 러시아 빨치산 부대의 행동에 대해 중립을 하기로 약속하고 평화 협정을 체결하였다.[7]

입성 후 트랴피친 부대는 백위파 옴스크 정부의 관리·장교·자본가를 체포한 후 처형하였다.[8] 며칠 만에 400명 이상이 체포됐다.[9] 당시 현장에 있었던 항일 운동가들이 증언하기를 이때 '자본가'의 대부분은 유대인이었다고 한다. 처형 판결이 난 사람들은 아무르 강으로 끌고 가 얼음 구멍에 쳐넣었다.
자본가들(다수로 유태 민족)과 중들을 모착하여서 야무르강 어름 구영에 띠엇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쪽
그는 제1착으로 일본군 세력과 결탁한 유태계 자본가들과 악질적인 탐관오리들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4쪽

그리고 트랴피친 부대는 음주, 양조에 대한 절대적인 금주령과 함께 이를 위배하면 무조건 총살형에 처한다는 극단적인 포고령을 내렸다.
「뜨래삐진」은 개선 장군으로 입성함과 동시에 군대를 적소에 배치해 놓고 총사령부를 번화한 네거리 3층 건물에 좌정하고 제1호 포고령을 발하였는데 모든 물자의 판매 이동을 금지하여 경제적 통제를 선포하고 당분가 군정의 실시를 포고하였다. 그 중에서 인상이 깊은 것은 군인이나 민간인을 막론하고 음주, 양조에 대한 절대의 금주령이다. 이 포고령에 위배하는 자는 무조건 총살형에 처한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4쪽

러시아인 학살과 다르게 일본인에 대한 학살은 일본군과 일본 거류민에게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

트랴피친 부대는 3월 5일에 백군의 무장을 해제했다. 3월 12일엔 일본군에게 무기와 탄약을 요구하자 일본군은 여기에 응하지 않고 빨치산 부대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3월 11일에 빨치산 본부에선 연회가 개최됐는데 일본군들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2일 1시 30분에 빨치산 참모 본부를 기습하였다. 트랴피친은 수류탄의 폭발에 발에 부상을 입었고 참모장 나우모프는 다음날에 사망할 정도로 중상을 입었다. 빨치산 부대는 곧바로 반격하였고 일본군은 얼마 안 가 항복하였다.[10]
박(박바실리 - 옮긴이)군이 내 침실로 들어서더니 일본군이 밀리는 것 같고 이쪽에서 사냥하러 다니는 모양이라고 일러준다. 접전한지 두시간이 이렇게도 빨리 끝날 수야 있나. 「뜨래삐진」이 이럴줄 알고 미리 대비하고 있었단 말인가! 일군 간부들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7일이 전 날인 8일 새벽 두시를 기하여 일제히 출동, 사령부를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하였다. 수류탄은 사무실에서 한개가 터지고 침실에서도 한개가 터졌다. 그 파편이 뜨래삐진의 발목에 맞았다. 그는 레나의 침실 있는 으슥한 방으로 절룩거리면서 달려갔다. (……) 바로 건너편에 주둔하고 있던 호위대가 즉시 반격하였다. 동서남북 각처에 널려 있던 부대를 사방에서 몰려오면서 공격을 가하였다. 뜨래삐진 군대는 입성한 후에 큼직큼직한 개인 사택에 주둔하고 있었다. 차폐물이 없는 네거리에서 배겨낼 수 없는 일군들은 퇴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육군은 점점 밀려서 교외에 있는 자기네 병사로 도망쳐 숨고 말았다. (…) 병영에 쫓겨간 일군을 뜨래삐진 군대가 멀찌감치 눈속에 참호를 파고 포위해버렸다. 그 이튿날부터는 찐비랍흐 포대로 부터 일군에다 대고 포격을 개시하였다. 그 병영은 붉은 벽돌로 튼튼히 지은 2층 건물이기 때문에 대포 몇방에 부서질 염려는 없다. 그러나 몇 방만에 지붕을 뻥 뚫어 놓고는 북쪽으로 향한 창문을 모조리 부수어버렸다. 출입구쪽으로 포위병들의 총구가 총집중 돼 있다. 보일러가 터지고 파이프가 얼어붙었다. 죽은 병정이 점점 늘어났다. 그들도 이를 악물로 견뎌 보려고 했겠지만 5일만에 흰기를 들고 나와 항복하고 말았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5
뜨랴삐진은 무장 해제된 일본 장교들과 타협, 륭화책을 쓰엇다. 저녁이면 일본 장교들을 청래하여 자기의 참모부에 모아서 유희, 무도를 하면서 유쾌하게 놀았다.
하로 저녁 11시 되어서 유희, 무도로 유쾌하게 노는 참모부 유리창을 마스고 폭탄이 들어왔다. 폭탄이 터져서 뜨라비찐은 중상을 당하였으며 전 시가에는 시가전이 시작되어서 개인집에 산재한 무장 빨찌산 2000며은 무장이 충분치 못한 일본 군대와 이튼날 아츰 동이 틀 때까지 전투하여서 폭동 일본 군대를 진압하엿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
시내에 있는 일본 부대들은 빨찌산 사령부들, 병영들, 빨찌산 포병 부대들을 배신적으로 동시에 습격하였다. 왜놈들은 기관총으로 사격하였고 유리창들로 수류탄을 들이뜨렸으며 사령부가 있는 건물, 병영 기타 빨찌산들이 차지하고 있는 집들에 불을 질렀다. (…) 나는 그날 밤에 집에서 자게 되었는데 밤중에 어머니가 나를 깨우면서 시내에서 화재가 나서 화광이 충천하고 총소리들이 요란하게 들린다고 말하였다. 나는 제꺽 일어나서 옷을 입고 밖으로 나갔다. 빨찌산 사령부 건물과 병영들이 불타고 있었다. 나는 달음바질로 나의 부대가 있는 도시 중앙으로 가는데 중도에서 한 20명 되는 빨찌산들이 나를 따라나섰다. 백파놈들과 일본 거류민들은 집안에 숨겨서 거리에 있는 빨찌산들을 총으로 쏘았다. 나는 상관으로서 빨찌산들을 거느리고 저들이 숨어있는 집들에서 놈들을 격멸하는 작전을 하면서 2시 ~ 3시 지나서야 우리 부대가 있는 도시 중앙에 이르게 되었다. (…) 약 350명 되는 왜놈들이 자기들이 있던 병영에 남아서 맹렬히 대항하고 있었다. 왜놈들의 진지는 병영과 채 준공되지 못한 병영 건물들에 엄폐되어 있기 때문에 보총들을 가지고는 쳐 없일 수 없었다. 그 이튿날 아침에 츠니르 요새에 있던 대포들이 당도하였다. 빨찌산 사령부는 일병 사령부에 투항하라는 최후 통첩을 하였다. 그러나 왜놈들은 "사무라이 전통에 의하여 천황 폐하의 군인들은 투항하지 않는다."는 대답을 보내었다. 이런 대답을 받고 빨찌산들은 대구경포로 심한 포격을 하여 왜놈들이 엄폐하여 있는 병영 건물들은 죄다 허물어 버리었다. 게다가 35도 ~ 40도의 추위는 왜놈들이 견디어 낼 수 없었다. 약 300명이 되는 사무라이들이 흰 기를 들고 투항하였다.

김낙현, 빨찌산 김낙현 회상기,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402 ~ 403

이 과정에서 많은 거류민들도 무장하여 빨치산들을 공격하였다. 이것은 한국 측만 주장하는 게 아니라 일본 측 전문가의 책에도 나오는 것인데 하라 테루유키(原暉之)가 쓴 『シベリイヤ出兵-革命と干涉, 1917년 - 1922년』, 524쪽에도 이런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11]

이 과정에서 빨치산들은 저항하던 거류민이던 민간인이던 더 이상 구분하지 않고 무차별로 학살한다. 학살이 너무 잔인했는지 한국인 거류민이 일본인 거류민을 살려주는 일까지 일어났다고 한다.
시가지에서 일인집들과 러시사아 장교집들을 철저히 수색했다. 최후의 발악으로 일인 거류민들도 최후까지 항거했다. 그러나 그것은 전가족의 몰살로 끝났다. 시가에 소탕전이 약 1주일 후에야 끝났다. 박이나 나는 1주일 동안 집안에서 딩굴었다. 공연히 나다니다가는 유탄에 맞아 죽기 알맞기 때문이다. 일군의 항전은 포로 30여명의 생존가 남았을 뿐 그 외에는 모두 학살당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일본 군인인지 거류민인지 헐벗은 일본인이 문모라는 우리 나라 사람 집에 달려들어서 살려달라고 애걸하더란 것이다. 그래서 할 수 없이 하루밤을 재워 보내면서 여벌의 외투까지 주었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5 ~ 326
뜨라비찐는 일본인은 로소남녀를 물론하고 모조리 학살하라고 명령하엿다. 이 명령을 충분히 실현되엇다. 은행과 상점들을 압수하엿다. 상점에 싸이어 있던 피물로 2000명 빨찌산 군복을 하여 입게 되었다.
이 때에 전설에 의하면 한 유대 녀자가 자기는 죽이어도 자기의 어린 아들을 살과달라고 애걸하엿다. 그러나 그 어린 아이를 그 녀자 보는데 몬저 죽이고 다음에 그녀를 죽이엇으며 한 일본 은행 사무원은 일본도 베게 두개만한 체적을 가지고 눈길에 시외 몇 낄로 멧틀에루 도망간 것을 고려인 빨찌산 두명은 그 자취를 따라가니 일본인이 자기에게 있는 돈을 줄 것이니 자기의 생명을 살과달라고 애걸하엿다. 그러나 그 돈을 일본인이 보는데서 불에 태워버리고 다음으로 일본인을 죽이엇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

이 사태가 끝난 뒤에 일본인 136명이 살아남았는데 여자, 아이들, 부상자들이었다. 빨치산들은 이들은 감옥에 가두었다. 감옥에 가둔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철수할 때 모두 처형했다.[12]

일본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일어난 건 분명 사실이고 이건 당연히 정당화할 수는 없다. 다만 여기엔 일본군이 먼저 화친하는 척하다가 뒤통수를 치고 민간인도 무장하고 교전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참작할 만한 부분은 있다. 문제는 이후에는 그런 참작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본군까지 처리하니 빨치산들에게는 더 이상 거리낄 것이 없었다. 사태가 정리되자 빨치산들은 주민들에게까지 행패를 부렸고 주민들은 공포에 빠졌다. 이것은 한인 부대도 마찬가지였다.
홍(홍의표 - 글쓴이가 덧붙힘)군의 의미싱장한 말 한마디로 우리들은 긴장해지기 시작했다. 홍군의 말인 즉 이번 사건이 좀 평정해지면서 우리 한인 부대 군인들의 횡포가 심해져가고 가고 그들이 안하무인격으로 주민들에게 대한다는 것이다. 자기 집에 와서도 그렇게 우쭐대는 것을 보니 다른 집에 가서는 행패가 더 심하리라는 것이다. 고 중대장(고명수 - 글쓴이 덧붙힘)과 홍군 아버지와는 형님 동생하는 친한 사이였다. 한인 군인들의 행패를 막기위해서는 무슨 대칙이 있어야 하겠다는 것이다. 자기도 하도 분해서 고 중대장을 찾아서 자기 집에 총을 메고 와서 "술을 내놔라 일본놈을 내 놔라"하고 여자들에게 총을 들이대고 당장 쏴 죽일 것처럼 행패를 부리니 어디 그럴 수 있느냐고 대들었더니 고 중대장도 미안하다고 하면서 사과는 했지만 무지막지한 그놈들이 어디서 무슨 짓을 저지를는지 알 수 없으니 그 대책을 강구해야 하겠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6

이후 트랴피친 부대는 다음과 같은 포고문을 내렸다.
혁명군 총사령관 '뜨래삐진", 혁명군 참모 총장 "레나"라는 두 사람의 이름으로 2호 3호 연달 포고문이 나 붙었다.
1. 새 화폐의 발행
1. 노동의 의무제
1. 모든 선박의 징발
1. 개인 주택의 징발
1. 특수 물자의 배급제
등등의 포고문을 매일 같이 신문에 게재하였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6

이런 분위기에서 박바실리는 이후 트랴피친이 벌인 계획을 알게 되었고 자유단원들에게 전했다. 이지택의 증언은 다음과 같다.
그러는 사이에 날은 점점 따뜻하여가고 눈은 녹아서 길바닥이 낮아지고 있었다. 벌써 바닷물이 가까운 하류 강어구에는 얼음이 녹았단다.
강물만 녹게 되면 일본의 군함이 즉각 강어구쪽에서 올라올 것이다. 하바로프스크 쪽에서 군함이 밀려 내려올 것이다. 강어구에서 올라오는 것은 찐비랍흐 요새 근처에 좁은 물목을 메워 막는다. 내려오는 것은 군대를 보내서 싸운다. 그 동안에 군인들 가족과 선량한 시민들은 흑룡강 지류인 암군강 상류에 잇는 날비로 피난시킨다. 모든 악질적인 비협동 족속들을 숙청해버린다. 그리고 이 시가도 초토해버리고 만다. 뜨래삐진은 … 스케일을 자놓고 착착 실천에 옮기고 있는 것이다. 박병길(박바실리 - 글쓴이가 덧붙힘)군의 정보로 이러한 뜨래삐진의 속셈을 알게 된 우리…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7

이런 상황에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방식은 관리, 백군, 유대인 자본가들과 같았다. 총검을 찔러 얼음 속으로 처박는 것이었다.
Triapitsyn was now free from restraint and set about systematically eliminating any of the population that could conceivably have represented a threat. One of the main methods for doing this, ammunition being in short supply, was to stab the victims with a bayonet and thrust them through a hole in the ice of the river.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년에 대한 캠브리지 대학 서평, Polar Record, Volume 31, Issue 176 January 1995년, pp. 73 - 75

이것 때문에 젊은 항일 청년들은 상당히 고민했다. 이 시절 니콜라옙스크에는 자유단이라는 단체가 있었는데 항일 청년들이 조직한 집단이었다. 이 자유단의 청년들은 박병길(박바실리)·김께샤·이지택을 대표로 해서 트랴피친에게 갔다. 자신들이 군대에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대신 여러 조건이 달렸는데 그 중 하나가 "한인 군인 가족들의 처우도 러시아인 군인 가족들과 마찬가지로 대우할 것"이었다.[13]

이지택의 증언에 따르면 지원한 이유엔 빨치산들에게 버림받고 일본군에게 보복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뿐만은 아니었다. 박바실리는 당시 트랴피친이 도시를 초토화시킬 것을 알았고 그걸 자유단 청년들에게 전했다. 자유단의 청년들은 이 때문에 굉장히 긴장하였다. 또 한인 부대들을 믿을 수 없었다는 게 지원 이유중 하나였다고 한다.[14] 한인 부대를 포함해서 트랴피친 부대에게 공포를 느낀 것이 협조 이유 중 중요한 이유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 청년들의 예상은 들어맞았다.

당시 일본군은 니콜라옙스크에 접근하기 힘들었다. 이동할 수 있는 아무르 강이 얼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5월이 되면서 그 얼음이 녹아서 풀리기 시작했다. 트랴피친 부대는 철수 준비를 하였다. 트랴피친 부대는 모든 마을을 불태우고 없앨 예정이었기 때문에 주민들을 껠비촌으로 피난 가게 하였다. 많은 주민들이 피난을 갔다. 하지만 모든 주민들이 피난 가지는 않았다. 일부 주민들은 그것을 거부했을 것이고 일부 주민들은 사정이 좋지 않아 가지 않았을 것이고 상황을 잘 몰랐던 주민들도 있었을 것이다. 트랴피친 부대는 피난을 가지 않은 주민들을 모두 처형했다. 이 학살엔 남녀노소 구분이 없었다. 모조리 살육해 버렸다.[15]
“대중테러가 발생하여 수많은 부르주아 및 소부르주아 가족과 우익 사회주의 활동가들 심지어는 소비에트 권력의 동조자들까지도 희생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테러는 암군강가의 마을에서도 벌어졌으며 아이들까지도 죽임을 당했다. 이 사건들은 어떠한 변명으로도 용납될 수 없으며 계속된 완전한 해명을 요구한다

Уполномоченный Военсовета Беуднин,Доклад о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м по ложении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1920.9.9,с Керби(군사 소비에트 전권 위원 베우드닌, 사할린 주 군사 정치 정세에 대한 보고,1920년 9월 9일,켈비),РГВА ф.170,оп.1, д.35,л.14-18об.,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120쪽에서 재인용

이후 마을은 모두 불태워지고 파괴됐다. 이때 한인 마을들도 폐허가 됐다고 한다.[16]

훗날 트랴피친은 자신이 니콜라옙스크에 모인 군인들에게 쿠데타를 당해 처형되었다. 트랴피친은 당시 이런 학살극을 벌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니항을 파괴한 것은 해빙되어서 일본군이 남하하면 또다시 그 적군의 근거지가 될 것이므로 전략상 부득이한 일이었소. 인명의 살상은 있었으나 무고한 인민을 죽인 일은 없고 군령에 불복종하든가 이적 행위를 감행한 자를 처단했을뿐, 혹시 있었다면 부하가 한 것이기 때문에 자기가 책임진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4

이후 트랴피친 부대는 암군강가로 이동했다. 위에서 베우드닌이 쓴 보고서에도 언급되듯이 이들 부대는 여기서도 심각한 학살을 벌였다.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했던 군인들은 여기에 경악하거나 분노했던 것으로 보인다.
테러는 암군강가의 마을에서도 벌어졌으며 아이들까지도 죽임을 당했다.

Уполномоченный Военсовета Беуднин,Доклад о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м по ложении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1920.9.9,с Керби(군사 소비에트 전권 위원 베우드닌, 사할린 주 군사 정치 정세에 대한 보고,1920년 9월 9일,켈비),РГВА ф.170,оп.1, д.35,л.14-18об.,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120쪽에서 재인용
뜨래삐진이 날비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행동을 하는 것 같아서 늘 불만이 만만하였다. 한가지 예를 들면 날비에 가서도 뜨래삐진의 부하들이 사람을 어찌나 죽이던지 하루에도 한둘의 시체는 강물위로 떠내려오고 있었다. 우리도 이따금식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일이었지만 심지어 감시대라는 것을 두어서 강으로 오르내리면서 강변에 걸린 시체나 떠오르는 강상의 시체를 거두어서 강변에 묻어주는 일을 하게까지 하였으니 그 살인적 행위는 불문가지였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3

결국 트랴피친 반대 세력은 쿠데타를 일으키기로 했다. 이 쿠데타를 주도한 인물은 알렉세이란 인물이었는데 이 인물 역시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했던 사람이다. 한인 측에선 박바실리를 비롯한 자유단 측이 참여했다. 이들의 특징은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한 사람들이란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던 지역이 파괴당한 사람들이기도 하였다.

트랴피친은 주변 마을에서 식량을 강제 징발하기 위해 기병대를 보냈다. 쿠데타 세력은 이때 쿠데타를 일으켰고 성공했다. 이지택의 소감에 따르면 상당히 허무하게 성공했다고 한다.[17] 트랴피친과 부인 레나 등 7명이 처형됐다. 10명은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치타로 호송됐다.[18]

5.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Fisher, Harold Henry, 및 Elena Varneck 편집,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5, 354~356쪽[2] Gutman, Anatoli i I Akovlevich 씀, Wiswall, Ella Lury 번역, Pierce, Richard A 편집,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 Fairbanks, Alaska ; Limestone Press, 1993, 111쪽[3] 이완종, 『러시아문서 번역집 14』,선인, 2014, 28~32쪽[4] 이지택이 이런 표현을 쓰는 것은 본인이 직접 그런 비하가 있다는 건 러시아 측에서 들었기 때문이지, 이지택이 딱히 그런 비하를 만든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수기를 보면 이지택에게 그런 느낌은 받지 않았다.[5] 112쪽에선 이 문헌이 니꼴라옙스크 사변이란 말이 없다. 다만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3쪽에선 이 문헌의 이름을 알 수 있다.[6] 반병률, 제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 아지역 항일 무장 투쟁, 19쪽[7]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4쪽[8] 반병률, 같은 책 24쪽[9]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19쪽[10]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4쪽[11]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5[12]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5 ~ 26[13] 이재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7쪽;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1 ~ 22[14]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7쪽[15]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5 ~ 26[16] 김주용, 박환, 조재곤, 한시준, 한철호, 제59권 국외 항일 유적지, 144[17]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2 ~ 344[18]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