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7:46:51

대만-니카라과 관계

니카라과-대만 관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볼드체 표시는 대만의 수교국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아프리카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트메 프린시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관계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메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대만 니카라과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

대만니카라과의 관계.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대만과 니카라과는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부터 외교관계를 맺었다. 청나라가 몰락한 이후, 중화민국이 들어서면서 니카라과와 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 중국 본토에 국공내전이 일어나고 그 결과 공산당이 정권을 잡고 국민당 정권이 대만으로 피한 뒤에도 중화민국과 니카라과의 관계는 계속 유지되었다. 1985년에 니카라과의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이 중국과 수교하고 대만과는 몇년동안 관계를 단절했지만, 1990년 정권이 교체되며 다시 재수교했다. 대만은 콘트라 반군을 지원하기도 했다.#

2.2. 21세기

2020년대 초까지만 해도 대만과 니카라과의 관계는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니카라과는 중국측이 경제적인 공세를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1] 비슷하게 중국의 경제적 공세를 받던 다른 중미의 국가들인 파나마,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가 대만과의 외교관계를 끊고 중국과 수교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지만 2020년대 초까지만 해도 니카라과에선 전혀 단교에 관한 얘기는 나오지 않고 있었다.

대만은 친미 친서방 국가이고 니카라과는 반미 반서방 친러 친중국가로 두 나라는 완전히 다른 성격의 국가이며 니카라과에 다니엘 오르테가 같은 좌익정권이 들어섰음에도 2021년 단교 이전까지 양국은 관계를 이어나가면서 기묘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중국이 니카라과에 경제적 지원을 대가로 대만과의 단교를 요구한 적이 있는데 당연히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고 중국과 사이가 좋던 니카라과이기 때문에 모두가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니카라과 정부는 중국의 경제지원은 감사하지만 대만과는 외교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중국의 제안을 거절하였고 오히려 차이잉원 총통을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 취임식에 국빈으로 초대했다. 국빈으로 참석한 차이잉원 총통과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이 손을 맞잡고 우호를 과시했는데, 대만을 상당히 당황시켰다.[2][3]

니카라과에 오르테가의 반미 정권이 들어섰음에도 그 당시 수교를 유지했었던 이유에는 일단 경제적으로는 친중행보를 걷던 니카라과의 당시 정부가 유치한 중국의 투자가 중국 자국내 경제 악화로 인해 엎어지는 문제가 발생했었고, 외교적으로는 대만이 니카라과에 제공하는 경제원조가 만만치 않고 니카라과가 대만을 방패삼아 미국의 제재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양국 관계 유지에 큰 힘이 되었었다.[4]

니카라과 입장에서는 괜히 중국과 수교했다가 미국의 분노만 사느니 대만과 국교를 유지하며 대만으로부터 경제지원도 받고 동시에 미국의 공세를 방어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었다. 게다가 2020년부터 타이완 동맹 보호법의 시행으로 미국의 투자까지 기대해볼 상황이었기에 대만과 니카라과의 관계는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현 오르테가 정권의 친중행보, 선거 관련 등으로 인해 점차 주변 중미 국가들, 서방 국가들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결국 2021년 12월 9일 결국 대만과 단교했다.# 지난달 재선에 성공한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이 부정선거 논란으로 제재 압박까지 당하며 미국 등 서방 국가와의 관계가 심각하게 악화된것이 이번 결정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니카라과측이 대만과의 단교에 이어 대사관 철수요구, FTA 폐기를 실시했다.# 대사관 건물을 압류해 중국으로 넘긴다.#

우진무(吳進木) 전 니카라과 주재 마지막 대만 대사가 니카라과 국적을 획득했다.#

3. 관련 문서



[1] 니카라과 운하에 중국자본의 투자를 받는 등 중국과 교류는 활발히 하고 있었다.[2] 니카라과는 인구가 600만에 영토 역시 꽤 큰 나라라 대만이 상당히 신경을 쓰기는 했지만 과테말라, 파라과이, 팔라우, 바티칸보다는 덜 쓴 경향이 있었는데 오히려 니카라과가 대만과 잘 지내고 싶다고 하니 당황스러운 것이다.[3] 사실 대만이 니카라과 지원에 그렇게 신경을 안 쓴 것도 아니다. 니카라과가 신축야구장을 짓는데도 무려 3400만 달러를 지원해 준적도 있었다. 2017년 말에 니카라과에서 제일 큰 최신식 야구장으로 완공되었고 완공되자 몇 년 안 지나서 바로 먹튀하듯 중국과 외교를 맺었다.[4] 실제로 미국이 니카라과에 대한 경제재재를 시행하려고 했을 때 대만이 미국과 니카라과를 중재하여 무산시키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
, 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