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 | 누리호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하위 문서 | 개발 및 경과ㆍ발사 기록 및 계획 1차 · 2차 · 3차 ㆍ필요성에 대한 찬반양론 | |
엔진 | 누리호 75톤급 엔진 (연소 시험)ㆍ누리호 7톤급 엔진 (연소 시험) | ||
기타 | 시험발사체ㆍ누리호 성능검증위성(PVSAT)ㆍ차세대소형위성 2호(NEXTSat-2)ㆍ도요샛(SNIPE) |
1. 개요
누리호의 발사 기록과 계획을 정리한 문서.2. 발사 절차
누리호 발사 시뮬레이션 |
누리호 비행 경로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0047a0><rowcolor=#ffffff> 발사 절차 (700km 궤도) ||
<rowcolor=#ffffff> 시간 | 절차 | 고도 |
<rowcolor=#ffffff> 발사 전날 | ||
T-32:40:00 |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발사체 이송 | 0 km (지상) |
T-31:30:00 | 발사체 발사대 도착 및 기립작업 시작 | |
T-29:00:00 | 발사체 기립 및 고정완료 | |
<rowcolor=#ffffff> 발사 당일 | ||
T-08:00:00 |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 최종 점검 | 0 km (지상) |
T-04:00:00 | 연료 및 산화제 충전시작 | |
T-01:30:00 | 발사시간 발표 | |
T-01:20:00 | 연료탱크 충전 완료 | |
T-01:00:00 | 발사체 기립장치 철수 시작 | |
T-00:50:00 | 산화제탱크 충전 완료 | |
T-00:30:00 | 발사체 기립장치 철수 완료 | |
T-00:10:00 | 발사자동운용(PLO) 시작 | |
T+00:00:00 | 발사 | |
T+00:00:10 (10초) | 피치기동시작 | 0.3 km |
T+00:00:51 (51초) | 음속돌파 | 6.8 km |
T+00:01:04 (64초) | 최대 동압(Max-q) | 11 km |
T+00:02:07 (127초) | 1단 분리 및 2단 엔진 점화 | 59 km |
T+00:03:53 (233초) | 페어링 분리 | 191 km |
T+00:04:34 (274초) | 2단 분리 및 3단 엔진 점화 | 258 km |
T+00:14:57 (897초) | 성능검증위성 궤도 투입[2차] | 700 km |
T+00:16:07 (967초) | 위성 궤도 투입 | 700 km |
T+01:10:00 | 발사결과 브리핑 | - |
3. 기록 및 계획
누리호 발사 기록 | |||||
<rowcolor=#ffffff> 순차 | 발사일시 | 발사장 | 위성 | 결과 | 비고 |
1 | 2021년 10월 21일 17:00 |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LC-2) | 1.5톤 위성모사체[2] | 실패[3] | 시험 발사 |
2 | 2022년 6월 21일 16:00 | 1.3톤 위성모사체 성능 검증위성 (큐브위성 4기 포함)[4] | 성공 | ||
3 | 2023년 5월 25일 18:24 | 차세대소형위성 2호 도요샛 4기, 민간 큐브위성 3기 (총 0.24톤) | 성공 | 상용 발사 | |
4[5] | 2025년 11월 | 차세대중형위성 3호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 큐브위성 6기[6] | - | ||
5 | 2026년 6월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2호 초소형위성 2, 3, 4, 5, 6호 | - | ||
6 | 2027년 9월 | 차세대소형위성 3호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3호 초소형위성 7, 8, 9, 10, 11호 | - |
3.1. 시험 발사
3.1.1. 1차
1차 발사 슬로건[7] |
1차 시험비행 절차 |
- 2021년 10월 21일 16시 발사된다. 발사예비기간은 10월 22일~10월 28일이다. 1차 발사에는 1.5톤 위성모사체가 탑재된다. 21일 10시부터 발사대 반경 3km는 접근이 제한되며, 코로나19로 인해 우주발사 전망대는 21일 14시 이후 폐쇄된다.
- 20일 7시 20분부터 누리호가 발사대로 이송이 시작됐다.
누리호 발사대 기립 및 지상 고정 완료 |
* 8시 45분경 누리호가 발사대로 이송 완료되었다.
* 11시 30분경 발사체 기립 및 지상 고정 작업이 완료되었다.
* 20시 40분 기준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점검 등 발사 전날 준비 과정이 모두 완료되었다.
* 11시 30분경 발사체 기립 및 지상 고정 작업이 완료되었다.
* 20시 40분 기준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점검 등 발사 전날 준비 과정이 모두 완료되었다.
* 21일 14시 20분부터 산화제 및 연료 충전을 시작했다.
* 14시 30분, 5차 발사관리위원회 브리핑을 통해 하부 시스템 문제와 밸브점검에 추가적인 시간 소요로 17시로 발사시간이 결정되었다.
* 17시 00분 발사되었다.
* 17시 00분 발사되었다.
누리호 1차 발사 생중계 | ||
멀티뷰 |
3.1.1.1. 결과
1차 시험 결과 | |
비행 및 고도 도달 | 성공 |
위성모사체 분리 | 성공 |
위성모사체 궤도 안착 | 실패 |
누리호 동체탑재 카메라 영상 |
누리호 위성 궤도 안착 실패 원인 |
- 발사 1시간여 뒤인 18시경 문재인 대통령은 발사 데이터 분석 결과 누리호가 위성 모사체 분리에는 성공했지만 정상 궤도 진입에는 실패하였다고 발표하면서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 발사 당일 19시,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누리호가 모든 비행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였고, 목표 고도인 700km에는 도달하였으나 목표 속도인 7.5km/s에는 미달하여 위성모사체의 최종 궤도 진입에는 실패하였다'고 발표했다. 이후 항우연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전반적인 계측 데이터를 정밀히 분석한 뒤 1차 발사의 종합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해당 브리핑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누리호 전 비행과정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 다만, 3단에 장착된 7톤급 액체엔진이 목표된 521초보다 이른 475초에 조기 연소 종료되어 위성모사체가 당초 목표였던 고도 700km에는 도달하였으나 궤도 유지에 필요한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여 지구저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 결국 위성모사체는 6.9km/s로 분리된 뒤 궤도 유지를 하지 못하고 약 45분 만에 호주 남부 해상에 추락하였다고 한다. #
- 국내 독자개발 발사체의 첫 비행시험으로서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이행[8]하고, 핵심기술을 확보 했음을 확인하는 의의를 남겼다.
- 12월 29일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는 누리호 1차 시험 발사의 위성 모사체 궤도진입 실패원인으로 "누리호의 3단 산화제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헬륨탱크의 고정장치 설계시 비행 중 부력 증가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고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9] 최환석 조사위원장(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은 “3단 산화제 탱크 내부에 장착된 헬륨 탱크 고정장치를 설계할 때 지상에서의 부력은 고려했지만 실제 비행할 때엔 최대 4.3G(G는 표준 중력 가속도 단위·1G는 지상에서의 중력) 가속도가 발생했다”며 “지상 상황의 부력만 고려하다 보니 최대 가속도인 4.3G에서의 부력을 고려하지 않은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고정환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장은 “지상에서만 실험을 진행하다 보니 비행 상황에 대한 고려가 조금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 최종 조사결과 발표 전문 #
- +00:00:00 - 발사
- +00:00:10 - 피치기동시작
- +00:00:51 - 음속돌파
- +00:01:04 - 최대 동압 통과
- +00:02:03 - 1단 엔진 점화 정지
- +00:02:07 - 1단 분리
- +00:02:09 - 2단 엔진 점화
- +00:03:53 - 페어링 분리
- +00:04:32 - 2단 엔진 정지
- +00:04:33 - 2단 분리
- +00:04:34 - 3단 엔진 점화
- +00:07:55 - 3단 엔진 점화 종료
3.1.2. 2차
2차 발사 슬로건 |
2차 발사 미션 패치 |
2차 시험비행 절차 |
누리호 2차 시험 발사일 확정 |
- 누리호 개발 사업의 마지막 단계이자 마지막 시험발사다. 1차 발사와는 달리 실제 위성을 싣고 쏘게 되며, 이때 모든 미션이 성공적으로 완료 될 경우 3차 발사부터는 실용 위성을 쏘게 된다.
- 당초 2022년 5월 19일에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1차 시험발사에서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헬륨탱크 하부지지부의 고정장치 강화와, 맨홀덮개 두께 보강 등의 작업으로 인해 발사 예정일은 본래 계획으로부터 한 달가량 연기된 6월 15일로 결정되었다. 잠정발사예정시간은 16시이며, 날씨 등의 변수에 따라 1차 발사 때와 마찬가지로 15시에서 19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10] 발사 예비일은 6월 16일~23일이다.
- 6월 14일 오전 6시에 비행시험위원회가 개최되었으며 당일 기상 정보을 통해 당일 나로우주센터 주변에 다소 강한 바람(초속 8~12m)이 불며 발사대 근처의 경우 초속 15m의 바람이 관측되어 발사대 기립작업 중 자칫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상 이유로 발사일을 하루 순연하기로 결정했다. #
누리호(2차) 발사대 기립 및 지상 고정 완료 (2022.6.15) |
- 6월 15일 오후 5시 15분에 개최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브리핑에서 오후 2시 5분경 1단부 산화제 탱크 레벨 측정 시스템에 이상이 발견되어 기립 상태에서 원인파악을 시도하였지만 장소 특성상 어려움이 많아, 오후 5시경 발사관리위원회에서 누리호를 조립동으로 다시 이송시킨 뒤 점검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누리호 발사 또한 연기되었다.
- 발사 예비일(16일~23일) 내 발사가 가능할지에 대한 여부는 불확실하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원인 파악과 조치를 마친 후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15일 22시 30분 누리호를 다시 조립동으로 옮기는 작업이 완료되었다. 16일부터 원인을 파악 중이며, 조치가 완료된 이후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발사일을 정할 예정이다.
- 16일 사전작업 후 15시부터 점검창을 열고 본격적인 점검에 착수하였다. 점검창을 통해 전선과 신호처리박스를 점검하게되며, 당일 문제여부 파악 완료를 목표로 하고있다. 만약 레벨센서가 문제일 경우 1단 분리 후 점검해야하기에 시간이 더 소요된다.
- 6월 17일 17시 30분에 언론 브리핑을 통해 누리호 1단 산화제 탱크 내부에 있는 레벨 센서[11]의 센서 코어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외에 레벨 센서와 연결된 컨트롤 박스 및 이와 관련된 전기신호 부품 문제에는 이상이 없었다.
- 당초에는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단 분리를 하려고 했으나, 단 분리 없이도 교체가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 분리 없이 부품을 교체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부품 교체가 완료된 후 레벨 센서가 정상 작동되는 것을 확인하고, 더불어 1, 2, 3단 전체의 전기적 검토도 완료되어 발사관리위원회는 오후 4시 30분 최종 이상없음을 판정하였다. 이에 따라 6월 21일에 누리호 2차 발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누리호(2차) 발사대 기립 및 지상 고정 완료 (2022.6.20) |
- 6월 20일 7시 20분부터 보완 조치가 완료된 누리호를 발사대로 재이송하기 시작하였다.
- 20일 11시 10분, 누리호의 기립 및 고정 작업이 완료되었다.
- 20일 18시 37분, 전원 및 추진제 등을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 작업을 모두 완료했다.
- 6월 21일 10시 30분경 발사관리위원회는 오전 회의를 통해 당일 발사 운용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다.
- 14시 30분경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브리핑을 통해 예정대로 당일 16시에 발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하였음을 발표하였다.
- 15시 10분경 연료 및 산화제 충전이 완료되었다.
- 16시 00분 누리호가 발사되었다.
3.1.2.1. 탑재 위성
탑재 위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문서 참고하십시오.누리호 2차 시험 발사 탑재 위성 공개 |
누리호 탑재 위성 세부 정보 [12] | |||||
<rowcolor=#ffffff> 개발 기관 및 위성명 | 임무 | 크기 | 임무 수명 | ||
AP위성 PVSAT | 발사체 투입성능 검증, 큐브위성 사출, 우주핵심기술 검증탑재체[13] | [14] | 2년 | ||
STEP Cube Lab-II | 전자광학 / 중적외선 / 장적외선 다중밴드 지구관측 | 6U[15] | 1년 | ||
SNUGLITE-II | 정밀 GPS 반송파 신호를 활용한 지구대기관측 GPS RO 데이터 수집 | 3U | 1년 | ||
MIMAN | 200M 해상도로 1000km x 1000km 영역 미세먼지 모니터링 | 3U | 6개월 미만 | ||
RANDEV | 초분광 카메라를 활용한 지구 관측 | 3U | 6개월 |
성능검증위성(PVSAT)과 4기의 큐브위성들 |
1.3톤의 위성모사체와 함께 AP위성에서 제작한 (PVSAT) 및 성능검증위성에서 사출되는 큐브위성 4기[16][17]가 탑재된다. 이렇게 탑재체 2개가 발사체로부터 2번에 걸쳐 탈착 제어 및 궤도 안착이 진행된다.
발사 이후 성능검증위성이 먼저 분리된 뒤, 위성모사체가 분리된다. 성능검증위성에서 나오는 첫 신호는 발사 42분 23초 뒤, 남극 세종과학기지에서 수신한다. 두 번째 신호 수신은 발사 100분 이후로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에서 신호를 수신 받게 되며 , 세번째 수신은 발사 140분 이후 이며 다시 남극 세종기지가 신호를 받게된다. 발사 4시간 뒤 세종과학기지에서 자세정보를 수신하며, 발사 11시간 뒤부터는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에서 지속적으로 교신하며 위성의 상태를 점검한다. 여기까지가 누리호가 맡은 임무다. 큐브위성부터는 성능검증위성의 임무지 누리호가 맡은 임무가 아니기 때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되어있는 큐브위성 4기는 6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조선대-KAIST-서울대-연세대 위성 순으로 사출된다. 마지막에는 큐브위성 모사체(더미)[18]도 내보내, 성능검증위성에 설치된 5개의 큐브위성 사출 발사관의 성능을 모두 점검한다. 성능검증위성에는 사출 장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VCS)가 조선대에서 제작한 큐브위성이 담겨진 사출 발사관 바로 아래에 달려있어[19] 큐브위성이 떨어져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사출 시뮬레이션
성능검증위성이 큐브위성까지 성공적으로 사출하게 되면 국내에서 개발한 발열전지, 자세제용 구동기, S-band 안테나를 실제 우주환경에서 검증하는 작업을 수행 할 예정이다.[20] 성능검증위성의 초기운영절차
=====# 생중계 #=====
누리호 2차 시험 발사 생중계 | ||
멀티뷰 | ||
(TV특보 / 딩딩대학 특별편성) | ||
(누리호 특보| / 특집 뉴스TOP10 / 뉴스A) |
3.1.2.2. 결과
누리호 발사 성공!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촬영한 지구 |
2차 시험 결과 | |
비행 및 고도 도달 | 성공 |
성능검증위성 분리 | 성공 |
성능검증위성 궤도 안착 | 성공 |
3단 엔진 정지까지 완료 후, 최종 교신 시도까지 전체적인 결과는 한국 표준시 기준 17시 10분에 발표 되었다. 4시 14분 성능검증 위성, 4시 16분 위성 모사체가 각각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누리호에서 분리된 성능검증 위성은 남극 세종과학기지와의 교신도 성공했다. 이 교신은 4시 42분 23초부터 11분간 이어졌다. 그리고 17시 10분,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누리호 2차 발사가 국민의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6월 22일 오전 3시경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에 성공해 누리호의 위성궤도투입 성능은 완전하게 확인됐다. #
=====# 비행 타임라인 #=====
- +00:00:00 - 발사
- +00:00:10 - 피치기동시작
- +00:00:51 - 음속돌파
- +00:01:04 - 최대 동압 통과
- +00:02:03 - 1단 엔진 점화 정지
- +00:02:06 - 1단 분리
- +00:02:08 - 2단 엔진 점화
- +00:02:36 - 고도 100 km 통과
- +00:03:53 - 페어링 분리
- +00:04:03 - 고도 200 km 통과
- +00:04:29 - 2단 엔진 정지
- +00:04:35 - 2단 분리
- +00:04:37 - 3단 엔진 점화
- +00:04:50 - 고도 300 km 통과
- +00:06:11 - 고도 400 km 통과
- +00:07:30 - 고도 500 km 통과
- +00:09:02 - 고도 600 km 통과
- +00:10:11 - 고도 650 km 통과
- +00:13:55 - 3단 엔진 점화 종료
- +00:15:24 - 성능검증위성 분리
- +00:16:29 - 위성 모사체 분리
3.2. 실용 발사
3.2.1. 3차
3차 발사 슬로건 |
|
3차 발사 절차 |
3차 발사 |
2023년 5월 25일 18시 24분[21] |
첫 실용 발사이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여 제작한 발사체의 마지막 발사이다.[22] 이후 발사체 제작은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관으로 제작하게 된다.[23] 투입고도는 550km 태양동기궤도로, 국산화된 소형 SAR이 장착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4기, 민간 우주기업 루미르, 저스텍, 카이로스페이스의 위성이 각각 1기 씩 탑재되어 총 8기의 위성을 싣고 날아오를 예정이다. 첫 번째 실용 발사로, 이때부터 비로소 페이로드에 실용위성을 싣고 쏘게 된다. 이번 발사에서 처음으로 누리호 탑재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중계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지난 2차 시험발사 결과, 누리호가 예상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 700km궤도 기준 탑재중량이 1.5t에서 1.9t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늘어난 탑재중량은 페어링보강에 활용될 계획이다.# 다만, 3차 발사체의 실제 위성부 탑재중량은 총 504kg(주탑재 위성 180kg, 부탑재 위성 7기 도합 60kg, 위성사출장치 및 어댑터 264kg)이다.
5월 24일 오후 3시 30분경 기술적 문제가 발생해 즉시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약 25분간 진행되었다.
5월 24일 오후 4시경 발사 설비 제어 컴퓨터 통신 장애가 생겨 결국 발사가 연기되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발사대 헬륨탱크 PLC장치에서 제어프로그램의 명령어가 전송 과정에서 충돌하여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를 확인했고 명령 간 간격을 넓혀주는 작업을 진행하여 반복시험을 통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5월 25일, 24일에 발사가 계획되었던 시간과 같은 18시 24분에 발사가 재개되었다.
누리호 3차 발사 장면 |
5월 25일 18시 43분경 누리호가 모든 절차를 마치고 비행을 종료했다.
3.2.1.1. 발사 시도
발사 시간 | 발생[24] 시간 | 원인 | 결과 |
2023-05-24, 18:24 | 2023-05-24, 15:30 | 발사 제어 컴퓨터와 발사 설비 컴퓨터 간 통신 장애 | SCRUBBED |
2023-05-25, 18:24 | - | - | SUCCESS |
3.2.1.2. 탑재 위성
누리호 탑재 위성 | |||||
<rowcolor=#ffffff> 개발기관 | 위성명 | 임무 | 크기 | 임무 수명 | |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 차세대소형위성 2호(NEXTSAT-2) | 소형영상레이다 기술 검증, 근지구 궤도 우주방사선 관측, 핵심 과학기술 검증 등 | 974 x 1340 x 820 | 2년 | |
한국천문연구원 | 도요샛(SNIPE)[25] | 근지구 우주 공간 플라즈마 미세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동시 관측 | 6U[26] | 1년 | |
카이로스페이스 | KSAT3U | 지표면 편광 특정을 통한 기상현상 관측, 우주쓰레기 경감 기술 실증 | 3U | 1년 | |
루미르 | Lumir-T1 | 우주방사능 측정 및 우주방사능에 대한 오류 극복기능 우주시연 | 6U | 6개월 | |
져스텍 | JLC-101-v1-2 | 지구관측 영상활용을 위한 광학탑재체(4m급) 우주검증 영상 획득, 자세제어 시스템 우주검증 | 3U | 6개월 |
3.2.1.3. 위성 투입
- 누리호 3단에서 분리된 성능검증위성의 사출관에 삽입된 큐브위성 4개가 2~3일 간격으로 하나씩 분리되었던 2차 발사와 달리, 이번에는 누리호 3단이 이륙 783초 후 주탑재위성 X축(수직) 분리를 시작으로 각각 20초 간격으로 먼저 개별 큐브위성 3기에 이어 군집위성 4기를 순차적 Y/Z축(수평) 사출을 통해 직접 분리하게 된다.#
2차 발사 위성 사출 | 3차 발사 위성 분리 |
3.2.1.4. 생중계
누리호 3차 발사 생중계 | ||
멀티뷰 |
- 한편, 이번 중계부터는 중계신호 제작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직접 진행하였다. 이중 신호 분배만 지상파 방송사 한 곳의 도움을 받았고 다음부터는 신호 분배도 직접할 계획이라고 한다.# 2012년 10월에 나로호 3차 발사[27] 당시 지상파 방송사는 개국 초창기인 종합편성채널(종편)을 견제하던 시기여서, KBS가 대표로 제작한 중계신호를 종편에만 제공하지 않아 종편들은 급하게 자체 중계를 제작했어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항우연도 난처한 상황에 빠졌던 것이 계기로 추정된다.
3.2.1.5. 결과
3차 발사 결과 | |
비행 및 고도 도달 | 성공 |
주탑재위성 분리 | 성공 |
큐브위성 분리 및 교신 | 부분 성공[28] |
주탑재위성 궤도 안착 | 성공 |
주탑재위성 지상국 교신 | 성공 |
발사체 1, 2단 분리 및 페어링 분리의 전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목표 고도 도달과 위성 분리, 사출에 성공하였다. 발사 1시간 뒤인 7시 7분, 남극 세종 과학기지의 위성 비콘 수신소에서 신호가 수신되었으며, 7시 50분 진행된 브리핑에서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이 선언되었다. 7시 58분엔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도 위성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시간을 동기화하는 등 초기 교신에 성공했다. 다만, 주탑재위성 이외에 추가로 탑재된 큐브위성 가운데 6번째로 사출된 도요샛 3호기는 카메라로 사출을 확인할 수 없어 통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LUMIR-T1은 오후 7시 53분, 도요샛 1호기(가람)는 오후 8시 3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됐다. #
5월 26일 오전 11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도요샛 2호기(나래)가 26일 오전 6시 40분경 위성신호 수신과 양방향 교신을 수행했으며, KSAT3U는 25일 오후 11시 7분에 비콘 신호를 수신했다고 밝혔다. 다만 도요샛 4호기(라온)와 사출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3호기(다솔)는 여전히 위성신호를 받지 못해 지속적으로 교신을 시도하겠다고 발표했다.남은 도요샛 2기와 그 외 큐브위성 1기는 신호 수신과 교신 시도가 계속될 예정이다. # 설령 도요샛 4기 중 2기가 끝까지 교신이 되지 않더라도, 이재진 천문연 우주과학본부장의 말에 따르면 “현재 위성 신호 수신이 확인된 2기만 가지고도 이론적으로 종대·횡대 편대비행 시도가 가능하다”고 한다. #
이후 같은 날 오후 6시 24분경, 한국천문연구원에서 4호기(라온)의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남은 것은 사출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도요샛 3호기와 민간 위성 1기(JAC)이다.
5월 30일, 누리호 프로젝트의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기 데이터 분석 결과, 3호 다솔은 위성사출 장치에서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29] 자세한 내용은 세부 데이터 분석을 거쳐 추후 브리핑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5월 25일, 호주의 여행작가 Dianne Bortoletto가 이 3차 발사 때 누리호의 3단 잔해가 액체산소를 방출하면서 일으킨 황혼현상을 사진에 담았다. 사진 원본 호주 언론의 페이스북
=====# 비행 타임라인 #=====
- +00:00:00 - 발사
- +00:00:10 - 피치기동시작
- +00:00:51 - 음속돌파
- +00:01:00 - 최대 동압 통과
- +00:02:03 - 1단 엔진 점화 정지
- +00:02:08 - 1단 분리
- +00:02:12 - 2단 엔진 점화
- +00:02:31 - 고도 100 km 통과
- +00:03:45 - 고도 200 km 통과
- +00:03:56 - 페어링 분리
- +00:04:30 - 2단 엔진 정지
- +00:04:32 - 2단 분리
- +00:04:33 - 3단 엔진 점화
- +00:04:54 - 고도 300 km 통과
- +00:06:13 - 고도 400 km 통과
- +00:08:15 - 고도 500 km 통과
- +00:12:14 - 3단 엔진 점화 종료
- +00:13:05 - 차세대소형위성 분리
- +00:13:31 - JAC 분리
- +00:13:51 - LUMIR-T1 분리
- +00:14:11 - KSAT3U 분리
- +00:14:31 - 도요샛 1호(가람) 분리
- +00:14:51 - 도요샛 2호(나래) 분리
- +00:15:11 - 도요샛 3호(다솔) 분리[30]
- +00:15:31 - 도요샛 4호(라온) 분리
3.2.2. 4차
4차 발사 |
2025년 11월 |
누리호 초기 계획엔 4차 발사를 2024년으로 잠정했으나, 동 발사부터 민간기업이 수행하게 됨에 따라 누리호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면밀한 준비를 위해 2025년에 진행된다.[31]
누리호 4~6호 제작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한다. #
3.2.2.1. 탑재 위성
누리호 4차 발사 주탑재 위성 | |||||
<rowcolor=#ffffff> 개발기관 | 위성명 | 임무 | 크기 | 임무 수명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차세대중형위성 3호 | 우주과학 및 기술검증 | 500kg | - |
누리호 4차 발사 부탑재 위성 | |||||
<rowcolor=#ffffff> 개발기관 | 위성명 | 임무 | 크기 | 임무 수명 | |
스페이스린텍 | BEE-1000 | 제약 단백질 결정성장 플랫폼 우주실증 및 우주 제약 데이터 확보 | 6U[1U] | 2개월 이상 | |
한컴인스페이스 | 세종4호 | 다분광영상 촬영 및 탑재컴퓨터 등 핵심부품 우주검증 | 6U | 2개월 이상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ETRISat | 저궤도 초소형위성 기반 Pre-6G IoT-NTN 위성탑재체 개발 | 6U | 1년 | |
우주로테크 | COSMIC | 위성 폐기장치 검증, 우주탐사용 로버 모터드라이버, OBC 등 검증 | 3U | 미정 | |
코스모웍스 | JACK-003 JACK-004 [33] | 해상도 5m 급 가시광선영역 지구관측 | 3U | 미정 |
3.2.3. 5차
5차 발사 |
2026년 6월 |
3.2.4. 6차
6차 발사 |
2027년 9월 |
4. 기타
6차 발사 이후 누리호를 이용한 민간발사서비스를 시작하며,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3기('27, '28, '29), 6G 저궤도 통신위성 3기('29~)[34], 포집위성2호 등이 누리호로 추가발사 예정이다.[2차] 2차시험발사에만 해당하는 절차[2] 완전히 아무 기능도 없는 모형은 아니고 위치 추적용 신호 발신기(비콘)는 탑재되어 있다. # 최종 궤도진입 여부까지 성공 판단에 반영할 수 있었던 건 이 때문이다.[3] 산화제 누설로 인한 3단 엔진의 46초 조기종료로 위성투입 속도부족[4] 성능 검증 위성 및 큐브 위성 세부 정보[5] 4차 발사 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한다.[6] 2022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큐브위성 등[7] 캘리그라피 작가 ‘별하새김’이 제작하였다. #[8] 1단 엔진 점화→이륙→1단 엔진 연소 및 1단 분리→페어링 분리→2단 엔진 점화 및 연소→2단 분리→3단 엔진 점화 및 연소→위성모사체 분리[9] 부력은 B=ρVg로 표현된다. 가속도가 생기면 가속도-질량 등가 원리에 의해 중력가속도가 증가하므로 지구중심방향의 설계는 튼튼하게 했지만, 반대로 부력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지구반대방향의 고정도 튼튼히 해야한다는 점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지상실험에서는 고려하기 힘든 사항이었으며 이론만큼 실제 환경을 재현한 실험이 중요하다는 점을 방증한다.[10] 정확한 발사 시간은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발사 당일 오전 8시에 측정한 우주 기상 정보와 발사 당일 오후 1시에 발사장 인근 위로 풍선 형태의 라디오존데(Radiosonde)를 띄워서 얻은 기상정보 및 공군기상단의 발사 공역에 대한 고층풍 세기 및 각종 기상정보, 우주쓰레기 및 우주정거장의 위치 등을 종합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발사 시간을 최종 결정한다.[11] 산화제 수위 변화에 따른 부표의 움직임을 통해 산화제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해주는 센서.[12] 탑재 위성 세부정보 [13] 발열전지, 제어모멘트자이로, S-band 안테나[14] 930 x 892.3 x 903.4(mm)[15] 1U= 100x100x100(mm), 1.33kg[16] 2019 큐브위성 경연대회 선정 위성. 발사에 성공할 경우 이 위성들을 만든 대학생(학부생보다는 주로 석/박사생이다.)들은 자신들의 위성이 큐브위성들 중 최초로 자국산 발사체에 실려서 우주로 쏘아올려지는 뜻깊은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이 위성들은 누리호에 실린 첫 위성이라는 또 다른 뜻깊은 타이틀도 달게 된다. 그리고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면서 이것이 현실이 되었다.[17] 슬롯을 보면 5개가 가능하지만, 5번째 슬롯(서울대 상단)의 경우는 실제 위성이 아닌 모형(DUMMY)이다.#[18] 위에 보이는 이미지에서 서울대 제작 큐브위성의 상단, 조선대 측 큐브위성의 좌측에 있는 녀석이며, 우측 2기의 연세대/카이스트 위성 중량에 맞추어 무게의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도 보조한다.[19] 위의 이미지에서 중앙의 검은 단추와 같이 보이는 부분이다. AP위성에서 납품할 당시의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위성 개발 기술진이 별도로 장착한 듯 하다.#[20]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된 검증용 탑재체는 향후 한국형 달 착륙선의 주요 탑재체로 장착된다.[21] 본래는 24일이었으나 설비 문제로 인해 연기.[22] 원래 이 3차 발사는 2차 시험 발사까지 실패할 경우 추가적인 시험 발사의 백업 임무로 준비되었다.[23] 이번 3차 발사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기존의 역할인 엔진 조립과 별개로 전체 과정의 참관을 하는 역할을 맡았다[24] 문제가 발생된 시간[25] 4기 탑재[26] 1U= 100x100x100(mm), 1.33kg[27] 당시 연기되어서 실제 발사는 2013년 1월에 성공함.[28] 총 8대의 큐브 위성중 6기와 교신에 성공했고, 2기는 교신 실패했다.[29] 사출관 문 개폐 신호와 3단의 가속도 측정값이 확인되지 않음.[30] 위성사출 장치에서 나오지않음[31] 이러한 누리호의 4차 발사년도 변경에 따라, 당초 계획했던 초소형위성 1호가 주탑재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초소형위성 1호는 2024년 별도의 국외 발사로 진행될 예정이다.[1U] 100x100x100(mm), 1.33kg[33] 2기 동시탑재[34] 페어링 개량형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