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0:12:50

독립노농당

노농청년연맹에서 넘어옴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파일:1px 투명.svg제2대 국회
원내 구성
''' 1950.5.31. ~ 1954.5.3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 여당
14석
24석
야당
24석
파일:대한청년단 글자.png
10석
3석
파일:일민구락부.png
3석
2석
4석
무소속
126석
재적
210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99석
야당
24석
20석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36석
재적
179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창당) 독립노농당 (해산)
1. 개요2. 활동

1. 개요

1946년, 독립운동가이자 아나키스트였던 유림을 중심으로 조직된 아나키즘 성향의 정당.

2. 활동

광복 이후 아나키즘 성향의 독립운동가들과 시민들은 정치세력을 구축하기 위하여 1946년 7월 7일 서울에서 '독립노농당'을 창당했다. 이 정당의 당수는 유림으로 일제강점기 무장독립투쟁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아나키스트였다. 이러한 배경이었기에 독립노농당은 광복 직후 나름대로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독립노농당에서는 창당 3개월 후 발생한 대구 10.1 사건에 대해 누구보다 상세하고도 중립적인 해석[1]을 내놓았고, 미군정이 실시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또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을 지지하며 단독선거인 5.10 총선거를 보이콧하기도 했으며, 1947년에는 '노농청년총연맹'이라는 청년단체를 조직하기도 했다.

6.25 전쟁이 터지자 독립노농당은 대구광역시부산광역시 등지로 피난을 가 정치활동을 계속했고, 그곳에서 이승만이 저지른 부산정치파동에 대항하였다. 이후 4.19 혁명이 터지고 이승만이 하야하자 옛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들을 모아 '혁신동지총연맹'을 만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5.16 군사정변이 터지고 모든 정당과 사회단체들이 해산되면서, 독립노농당 또한 강제로 해산당하고 만다.

장태화나 남상옥 국제약품 회장과 같이 독립노농당에 참여했던 전직 아나키스트들이 꽤 5.16 정변 핵심에 참여했다. 군정 시절 통화개혁을 주도했던 유원식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위원 역시 이 당의 당수인 유림의 아들이었다. 해방 이후 한국 아나키즘이 반공, 반이승만 성향을 띄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독립협회 황국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제1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48 ~ 199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 수립 이전
독립노농당 사회당 사회민주당 민주주의독립전선 민주독립당 민족자주연맹
와해 및 소멸 (6.25 전쟁)
진보당 민주혁신당
등록취소
사회대중당
사회대중당 혁신당 통일사회당*
강제해산 (5.16 군사정변)
대중당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10월 유신)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5.17 내란)
사회당 신정당 민주사회당
신정사회당
사회민주당
정당등록취소 민중의 당
민중당
*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다수파가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셨으나 곧 해산됨.
노태우 정부 이후 }}}}}}}}}




[1] 박헌영계는 사건을 지나치게 칭찬했고, 우익과 경찰에서는 사건을 지나치게 폄훼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독립노농당은 이 사건의 원인이 '① 독립이 지연되는 데 대한 민중의 반발심, ② 저질의 경찰관과 악질적 모리배의 횡행에 대한 반발, ③ 양곡수집에 있어서 졸렬한 방법에 대한 반발, ④ 수집된 양곡의 처리에 대한 의혹, ⑤ 공산당 계열의 선동'에 있다고 보았으며, 그에 대한 대책도 상세하게 내놓았다. 한편 김규식여운형 등의 좌우합작세력도 독립노농당과 비슷한 견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