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0.5.31. ~ 1954.5.3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립 여당 | ||||||||||
14석 | 24석 | ||||||||||
야당 | |||||||||||
24석 | |||||||||||
10석 | 3석 | ||||||||||
3석 | 2석 | ||||||||||
4석 | |||||||||||
무소속 126석 | |||||||||||
재적 210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99석 | |||||||||||
야당 | |||||||||||
24석 | 20석 | ||||||||||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36석 | |||||||||||
재적 179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창당) | → | 독립노농당 | → | (해산) |
1. 개요
1946년, 독립운동가이자 아나키스트였던 유림을 중심으로 조직된 아나키즘 성향의 정당.2. 활동
광복 이후 아나키즘 성향의 독립운동가들과 시민들은 정치세력을 구축하기 위하여 1946년 7월 7일 서울에서 '독립노농당'을 창당했다. 이 정당의 당수는 유림으로 일제강점기 무장독립투쟁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아나키스트였다. 이러한 배경이었기에 독립노농당은 광복 직후 나름대로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독립노농당에서는 창당 3개월 후 발생한 대구 10.1 사건에 대해 누구보다 상세하고도 중립적인 해석[1]을 내놓았고, 미군정이 실시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또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을 지지하며 단독선거인 5.10 총선거를 보이콧하기도 했으며, 1947년에는 '노농청년총연맹'이라는 청년단체를 조직하기도 했다.6.25 전쟁이 터지자 독립노농당은 대구광역시와 부산광역시 등지로 피난을 가 정치활동을 계속했고, 그곳에서 이승만이 저지른 부산정치파동에 대항하였다. 이후 4.19 혁명이 터지고 이승만이 하야하자 옛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들을 모아 '혁신동지총연맹'을 만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5.16 군사정변이 터지고 모든 정당과 사회단체들이 해산되면서, 독립노농당 또한 강제로 해산당하고 만다.
장태화나 남상옥 국제약품 회장과 같이 독립노농당에 참여했던 전직 아나키스트들이 꽤 5.16 정변 핵심에 참여했다. 군정 시절 통화개혁을 주도했던 유원식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위원 역시 이 당의 당수인 유림의 아들이었다. 해방 이후 한국 아나키즘이 반공, 반이승만 성향을 띄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 |||||||||||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 공산정당 | ▲ 조선의 붕당 | |||||||||
독립협회 | 황국협회 | ||||||||||
신민회 | |||||||||||
대한민국 임시정부 | |||||||||||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 의열단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 | 한국독립당 | 대한인국민회 | ||||||
한국혁명당 | 한국독립당 | 대한인동지회 | 흥사단 | ||||||||
신한독립당 | 신간회 | ||||||||||
민족혁명당 | 한국국민당 | 흥업구락부 | 수양동우회 | ||||||||
경성 콤그룹 | 조선건국동맹 | 조선민족혁명당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 | |||||||
전국평의회 |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독립동맹 | 한국독립당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조선민족당 | ||||||
조선공산당 | 조선인민당 | 남조선신민당 | 한국민주당 |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 |||||||
독립노농당 | 남조선로동당 | 대동청년단 | 조선민족청년단 | 청년조선총동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서북청년회 | |||||
남조선로동당 | 사회노동당 | ||||||||||
근로인민당 | |||||||||||
▼ 진보정당 | ▼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 ▼ 진보정당 | ▼ 조선로동당 (연안파) | ▼ 보수정당 / ▼ 민주당계 / ▼ 진보정당 | }}}}}}}}}}}}}}}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
제1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48 ~ 199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정부 수립 이전 | |||||
독립노농당 | 사회당 | 사회민주당 | 민주주의독립전선 | 민주독립당 | 민족자주연맹 | |
와해 및 소멸 (6.25 전쟁) | ||||||
진보당 | 민주혁신당 | |||||
등록취소 | ||||||
사회대중당 | ||||||
사회대중당 | 혁신당 | 통일사회당* | ||||
강제해산 (5.16 군사정변) | ||||||
대중당 | 통일사회당 | |||||
정당활동 금지 (10월 유신) | ||||||
통일사회당 | ||||||
정당활동 금지 (5.17 내란) | ||||||
사회당 | 신정당 | 민주사회당 | ||||
신정사회당 | ||||||
사회민주당 | ||||||
정당등록취소 | 민중의 당 | |||||
민중당 | ||||||
*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다수파가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셨으나 곧 해산됨. | ||||||
▼ 노태우 정부 이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