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7:59:33

내일(웹툰)/설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내일(웹툰)
파일:내일 로고 화이트.png
설정 · 등장인물 · 에피소드별 등장인물 · BGM · 평가

1. 개요2. 배경3. 저승4. 저승사자5. 주마등
5.1. 부서
5.1.1. 위기관리팀5.1.2. 인도관리팀
6. 지옥
6.1. 기억의 사막
7. 림보8. 특이 사항
8.1. 레드라이트8.2. 전생, 환생8.3. 인연의 실8.4. 운명8.5. 자살자
9. 장소
9.1. 저승
9.1.1. 주마등
9.1.1.1. 회의실9.1.1.2. 최중길의 집무실9.1.1.3. 옥황의 집무실9.1.1.4. 방국봉의 집무실
9.1.2. 임시 거주 숙소9.1.3. 카페
9.2. 이승
9.2.1. 컨테이너9.2.2. 준웅네 가족의 집9.2.3. 기타
9.3. 과거
9.3.1. 구씨 가문 자택9.3.2. 최중길 자택9.3.3. 임유화 자택
10. 설정 오류?11. 설정 변경12. 기타

1. 개요

네이버 웹툰내일》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2. 배경

3. 저승

4. 저승사자

5. 주마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회장
옥황
대표
염라
비서
양가영, 전현정
부서
마케팅본부 마케팅기획팀 · 고객전담팀 · 브랜드전략팀
경영지원본부 총무팀 · 인사팀 · 회계팀 · 재무팀 · 감사팀
성과관리팀 · 노사협력팀 · 인재경영팀
혼령관리본부
방국봉
명부관리팀 · 인도관리팀 · 환생관리팀
위기관리팀 · 동식물관리팀
영업본부
맹장염
국내영업팀 · 해외영업팀 · 영업지원팀
기술
연구소
연구개발팀 · 기술지원팀
동물
보호소
반려동물관리팀
고객지원본부
지화자
고객서비스팀 · 고객심사팀
빅데이터본부 빅데이터개발팀 · 빅데이터영업팀 · 빅데이터컨설팅팀 ·
저승빅데이터분석팀 · 이승빅데이터분석팀
}}}}}}}}} ||
파일:주마등.jpg

5.1. 부서

5.1.1. 위기관리팀

자살을 할 위험성이 있는 자들을 구해내는 일을 하는 팀이다.

5.1.2. 인도관리팀

이승의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일을 하는 팀이다. 주마등 내 팀 중에서 가장 많은 인원수[10] 자랑하며 인도팀 사원 모두 최중길에 대한 신임과 존경, 믿음으로 이루어진 팀이라고 한다.[11]

여담으로 최중길이 수장이기 이전에는 방국봉이 인도관리부의 수장이었다.

6. 지옥

파일:내일지옥.jpg

6.1. 기억의 사막

파일:기억의 사막.jpg

7. 림보

파일:내일림보.jpg파일:내일림보1.jpg

8. 특이 사항

8.1. 레드라이트

파일:레드라이트.jpg파일:레드라이트1.jpg
로그인 화면 인물 정보
자살 위험자의 기본 정보와 부정 수치를 알려주는 프로그램.

8.2. 전생, 환생

8.3. 인연의 실

파일:인연의실.jpg

8.4. 운명

8.5. 자살자

황당하게도 이 세계관의 자살자는 죄인으로 치부되어 지옥에 가게 된다. 자살을 하게 되면 인연의 실이 끊겨 생전에 함께하였던 이들을 두번 다시 볼 수 없게 되며 지옥에서 벌을 받고 기억의 사막을 걷게 된다. 그러나 옥황이 자살은 죄가 아님을 공표한 뒤로부터는 지옥에 보내지지 않게 되었다.

9. 장소

9.1. 저승

파일:저승현대.jpg

9.1.1. 주마등

파일:주마등본사.jpg파일:주마등입구.jpg
외관 입구
파일:주마등내부.jpg
파일:주마등내부1.jpg
<rowcolor=#fff> 내부
9.1.1.1. 회의실
9.1.1.2. 최중길의 집무실
파일:최중길의 집무실.jpg
9.1.1.3. 옥황의 집무실
9.1.1.4. 방국봉의 집무실
파일:방국봉의 집무실.jpg
<rowcolor=#fff> 시즌 1
파일:방국봉의 집무실4.jpg
파일:방국봉의 집무실3.jpg
<rowcolor=#fff> 시즌 2

9.1.2. 임시 거주 숙소

파일:저승 숙소.jpg
갓 사망한 망자들이 임시로 머무는 숙소이다.

9.1.3. 카페

9.2. 이승

9.2.1. 컨테이너

파일:내일컨테이너.jpg
파일:내일컨테이너1.jpg
<rowcolor=#fff> 외관
파일:내일컨테이너2.jpg
파일:내일컨테이너3.jpg
<rowcolor=#fff> 내부

9.2.2. 준웅네 가족의 집

9.2.3. 기타

9.3. 과거

9.3.1. 구씨 가문 자택

9.3.2. 최중길 자택

9.3.3. 임유화 자택

10. 설정 오류?

11. 설정 변경

연재 도중 변경된 설정
파일:중길눈1.jpg
<rowcolor=#fff> ▲ 초기
파일:중길눈.jpg
<rowcolor=#fff> ▲ 현재
}}}
초기 모습의 최중길은 우안에 얇은 쌍커풀과 좌안에 두꺼운 쌍커풀이 그려져있다. 그러나 중후반 모습에서는 좌안에만 쌍커풀이 그려져있다. 설정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그림체가 바뀌어 이런 현상이 발생한 것인지, 실제로 설정이 변경되었는지는 불명.

공식연재 이전에 변경된 설정[16]

12. 기타



[1] 최준웅이 1991년생의 27세라는 설정이기 때문.[이미지] 파일:내일 세계관1.jpg[3] 주 무대는 이승.[4] 따라서 저승사자들은 스스로 '살아있다'라고 표현하지 않고, '존재한다'라고 표현한다.[5] 감기, 전염병과 같은 내상도 생기지 않는다.[6] 기본적으로 강한 저승사자들을 때려 눕힌 구련은 저승사자가 되기 이전에도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7] 원한다면 더 일하는 것도 가능.[8] 전보윤의 탁월한 업무수행능력 때문이 아닌, 전보윤이 생전에 같이 지내던 언니들을 직접 인도하고 싶다는 바람을 이루어주기 위해 채간 것. 언니들 중 한 명이 죽을 때가 되자 보윤이 직접 인도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 것이었다.[9] 그 인간에게 뛰어난 재능이 있거나,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전제.[10] 최소 5만명.[11] 최중길이 영멸당할 위기에 처하자 인도팀 전원이 보이콧을 한 사례가 있다.[12] 작중에서 공개된 예로는 서쪽하늘 에피소드의 임유화와 바람꽃, 하망연 에피소드의 이도헌, 외딴길에서 에피소드의 최희정등이 있다.[13] 정해진 수명은 인간마다 다르며, 기본 수명이 100년이 넘는 인간이 있는 반면 10년채 안 되는 인간도 존재한다.[14] 인스타 Q&A에서 공식적으로 밝히길 최중길의 키가 186cm라고 밝혔으나, 추후 Q&A에서 187cm라고 정정하였다. 최근화인 354화에 구련과 나란히 서 있는 장면에서 둘의 키차이가 278화에서의 키차이 대비 더 차이 나는 것과, 최희정의 '키가 엄청 컸다'라는 언급을 보아 키가 187cm 이상으로 더 커졌을 가능성이 높다. 과거 전보윤과의 키차이와 현재 키차이를 감안하였을 때 최소 1cm에서 최대 5cm정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기간 연재하며 캐릭터 설정을 자주 바꾸는 작가 특성상(작가가 구성한 전제척인 내용에는 변화가 없으나, 전개내용 혹은 연출, 캐릭터들의 디테일한 요소들에 대한 설정변경을 많이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몇년전 Q&A에서 187cm라고 밝힌 날 이후, 최중길의 키 설정을 변경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혹은 단순 작화 실수일 가능성도 존재한다.[15] 작가가 인스타 무물에서 178cm라고 밝혔으나, 최근화에서의 구련과 나란히 선 장면을 보았을 때 옥황의 키가 180cm는 가뿐히 넘는 것으로 보였다. 육안으로 보기엔 180대 중반은 되어 보인다. 작가 특성상 오랜시간 연재되는 만큼 작품 내 캐릭터의 설정 또한 바뀌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며, (작가가 구성한 전제척인 내용에는 변화가 없으나, 전개내용 혹은 연출, 캐릭터들의 디테일한 요소들에 대한 설정변경을 많이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178cm라고 밝힌 날은 몇년 전으로, 이후 몇년간 옥황의 키 설정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여담으로 작품 초중반에는 옥황이 하이힐을 신고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 구련과의 극명한 키차이가 위화감이 없었으나, 최근화 들어서서는 하이힐을 신지 않고 굽 낮은 신발을 신었음에도 구련과의 키차이가 많이 나기에 하이힐 때문에 커 보이는 것이 아니다.[16] 회차 업로드 이전에 변경된 설정도 포함[17] 둘의 피부색과 눈동자 색이 같은 것도 초기의 남매 설정 때문이라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