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5:55:14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3831 3%, #fff 3%, #fff 4%, #007a4d 4%, #007a4d 10%, #ffb612 10%, #ffb612 11%, #000 11%, #000 89%, #ffb612 89%, #ffb612 90%, #007a4d 90%, #007a4d 96%, #fff 96%, #fff 97%, #002395 97%, #00239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b612><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 스프링복
역사 역사 전반 · 줄루 왕국 · 보어 공화국(오라녜 자유국 · 트란스발 공화국) · 오렌지 강 식민지 · 남아프리카 연방 · 아파르트헤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헌법
외교 외교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권 · 영연방 · 영미권 · 아프리카 연합 · G20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 Vodacom · Naspers · 요하네스버그 증권거래소
국방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사회 남아프리카 우정국 · 요하네스버그 가이드라인 · 센테크 타워 · 남아프리카항공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 로벤 섬 · 마일 트레인 · 케이프타운 대학교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루이보스차 · 남아프리카 방송공사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켓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SA20 · 영어(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 아프리칸스어 · 나마어
인물 샤카 · 넬슨 만델라 · 데스몬드 투투
지리 희망봉 · 로벤 섬 · 드라켄즈버그 산맥 · 칼라하리 사막 · 테이블 산
민족 보어인 · 줄루족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케이프 컬러드 · 케이프 말레이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bdb76b> 파일:럭비 아프리카.png럭비 아프리카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가나 국기.svg <colbgcolor=#fff>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colbgcolor=#fff>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colbgcolor=#fff> 기니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colbgcolor=#fff> 나미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11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파일:럭비 챔피언십(투명 배경).png
럭비 챔피언십
{{{#!wiki style="padding: 7.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368, #213a4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
파일:올 블랙스.png
파일:2023아르헨티나럭비대표팀.png
파일:Wallabies.png
}}}}}}}}}}}} ||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 스프링복스 (Springboks)
소속단체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SARU)
감독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시 에라스머스 (Rassie Erasmus)
주장 시야 콜리시 (Siya Kolisi)
최다 출전 이븐 에체베스 (Eben Etzebeth)133회
최다 득점 퍼시 몽고메리 (Percy Montgomery)893점
최다 트라이 브라이언 하바나 (Bryan Habana)67회
홈 경기장 -
첫 국제경기 vs 브리티시 아일스 (0:4)1891년 7월 30일
최대 승리 vs 우루과이 (134:3)2005년 6월 11일
최대 패배 vs 뉴질랜드 (0:57)2017년 9월 16일
럭비 월드컵 9회 진출
우승 4회(1995, 2007, 2019, 2023)
세계 랭킹 최고 1위(현재) / 최저 7위(2018)
역대 전적 558전 356승 24무 178패(63.8%)

1. 개요2. 상세3. 역대 전적
3.1. 감독별 전적3.2. 주요 대회 성적3.3.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5. 유니폼6. 선수단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전통적으로 올블랙스에 이어 가장 성공한 팀으로 여겨지며, 현 시점 세계 최강의 팀이다. 남아공에 서식하는 동물인 스프링복이 상징물로, 팀의 별명 스프링복스도 여기에서 따왔다.


2. 상세

소위 1티어라고 여겨지는 국가들[1] 중 총전적 승률이 6할대인 유일한 팀이며[2] 상대전적으로 올블랙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앞선다. 심지어 B&I 라이언스에게도. 뉴질랜드와 호주를 제외한 모든 1티어 국가를 상대로 60% 이상의 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럭비 월드컵에서도 4번의 결승전과 2번의 3/4위전에서 모두 승리했으며, 2회 이상의 최종전에서 진 적이 없는 유일무이한 팀이다. 뉴질랜드와 유일하게 라이벌 구도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는 팀으로, 2005년 최초의 카파 오 팡오[3]를 목격한 팀이다. 럭비 월드컵 4회 우승을 한 뒤로 럭비 강국들 사이에서 뉴질랜드에 이은 압도적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21세기 우승 경력 한정 뉴질랜드와 비슷하다. [4]

2003년 세계 랭킹이 집계된 이후 743주간 1위를 유지한 뉴질랜드에 이어 245주로 두번째로 오랜 기간 1위를 유지한 팀이다.

3.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3.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154535><rowbgcolor=#154535><rowcolor=#ffb302,#ffb302>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2004년부터 한 명 빼고 모든 감독이 6할대의 승률을 기록했다. 뉴질랜드 이외에 이렇게 긴 시간 일관성 있게 상대팀을 가리지 않고 높은 승률을 보이는 팀은 없다.

3.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154535>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rowcolor=#000> 198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참가 제한 아파르트헤이트
<rowcolor=#000>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참가 제한 아파르트헤이트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우승 조별리그 3전 전승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위 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호주(21:27)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강 8강전 vs 뉴질랜드(9:29)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우승 조별리그 4전 전승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호주(9:11)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위 4강전 vs 뉴질랜드(18:20)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우승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우승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87,1991년 대회는 아파르트헤이트로 출전을 거부당했다.
이렇게 보니 토너먼트에서 호주, 뉴질랜드 이외에 그 누구도 막지 못했다. 이젠 뉴질랜드마저 뛰어넘으며 토너먼트의 최강자가 되었다.
트라이 네이션스 (1996 ~ 2011)
<rowcolor=#154535>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72전 50승 22패 69.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회 72전 29승 1무 42패 40.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회 72전 28승 1무 43패 38.9%
<rowcolor=#ffb302,#ffb302> 럭비 챔피언십 (2012 ~ )
<rowcolor=#154535>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67전 53승 2무 12패 79.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회 63전 33승 4무 26패 52.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회 67전 27승 5무 35패 40.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67전 12승 3무 52패 17.9%
더블 라운드 로빈인 럭비 챔피언십에서는 확연히 뉴질랜드에 밀린다. 2023년에도 20:35로 지긴 했는데, 대회 종료 후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뉴질랜드에 35:7이라는 패배를 안겨 주었고, 2023 럭비 월드컵 결승전 이후 2024 럭비 챔피언십에서도 뉴질랜드에 2연승을 거두며 우승, 상대전적 4연승을 기록하며 확실하게 서열정리를 마쳤다.

3.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b302,#ffb302>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8전 42승 4무 62패 38.9%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49전 25승 6무 18패 <colcolor=green> 51.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5전 52승 3무 40패 54.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6전 28승 6무 12패 60.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47전 29승 2무 16패 61.7%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30전 19승 1무 10패 63.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전 2승 1패 66.7%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43전 35승 1무 7패 81.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30전 25승 5패 83.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38전 33승 1무 4패 86.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8전 17승 1패 94.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전 1승 10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전 1승 10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2전 2승 100%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전 3승 100%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전 3승 100%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3전 3승 10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3전 3승 10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3전 3승 10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3전 3승 1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전 4승 100%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9전 9승 100%

4. 개인 기록

<rowcolor=#ffb302,#ffb302>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이븐 에체베스 133회 2012~
최다 출전 주장 존 스미트 후커 83회 2003~2011
최다 트라이 브라이언 하바나 67회 2004~2017 경기당 0.54개
최다 득점 퍼시 몽고메리 플라이하프 893점 1997~2008 경기당 8.75점
한 경기 최다 득점 퍼시 몽고메리 플라이하프 35점 2007 vs 나미비아
한 경기 최다 트라이 톤데라이 차방가 6개 2005 vs 우루과이

5. 유니폼

전통적으로 녹색 상의와 양말, 흰색 바지에 금색 글씨를 사용한다. 교체 유니폼은 반대로 흰 상의와 양말, 녹색 바지에 금색 글씨를 사용한다. 특별한 무늬를 넣지 않고 최대한 원형에 가까운 선에서 조금씩 디자인이나 색이 바뀐다.

2023년엔 월드컵 개막 전 처음으로 민트색 교체 유니폼을 전격 공개하여 사람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rowcolor=#ffb302,#ffb302> 연도 장비 제작 유니폼 스폰서
1970~1991 맥스모어 -
1992~199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튼 트레이더스 라이언 라거
1996~1999 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키 -
2000~2003 캐슬 라거
200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2005~2010 사솔[5]
2011~2013 Absa
2014~2015 파일:일본 국기.svg 아식스
2016 블루 라벨 텔레콤즈
2017~ MTN

6.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b302,#ffb3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54535> 포지션 소속팀 이름 연령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말컴 막스
Malcolm Marx
31세 78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봉기 음보남비
Bongi Mbonambi
34세 79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스칼렛츠 로고.png 마너스 판데르메르버
Marnus van der Merwe
28세 1회
프롭
(6)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빈센트 코흐
Vincent Koch
35세 63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빌코 로우
Wilco Louw
31세 18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옥스 은체
Ox Nché
30세 41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이언스 럭비 로고.png 아네사티 은틀라바카녜
Asenathi Ntlabakanye
26세 1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에든버러 럭비.png 보언 벤터
Boan Venter
28세 1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얀헨드릭 베슬스
Jan-Hendrik Wessels
24세 5회

(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루어드 드야허
Lood de Jager
32세 67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 장룩 두프리어
Jean-Luc du Preez
30세 14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이븐 에체베스
Eben Etzebeth
33세 133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에 혼다 히트 엠블럼.svg 프랑코 모스터
Franco Mostert
34세 79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루안 노르키어
Ruan Nortjé
27세 8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에르히어 스나이만
RG Snyman
30세 42회
백 로우
(5)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피터스테프 두토이
Pieter-Steph du Toit
32세 88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시야 콜리시
Siya Kolisi
34세 93회 주장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엠블럼.svg 콰하 스미스
Kwagga Smith
32세 53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마르코 판스타덴
Marco van Staden
29세 27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코버스 비서
Cobus Wiese
28세 2회
스크럼
하프

(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토머스(2025).png 코버스 레이나흐
Cobus Reinach
35세 4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이언스 럭비 로고.png 모르네 판덴베르흐
Morné van den Berg
27세 3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그란트 윌리엄스
Grant Williams
29세 19회
플라이
하프

(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토머스(2025).png 사차 페인버그음고메줄루
Sacha Feinberg-Mngomezulu
23세 1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토머스(2025).png 마니 리복
Manie Libbok
28세 2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한드레 폴라드
Handré Pollard
31세 82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토머스(2025).png 데미언 빌렘서
Damian Willemse
27세 41회
센터
(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데미언 드알렌데
Damian de Allende
33세 89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안드레 에스터헤이젠
André Esterhuizen
31세 2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이선 후커
Ethan Hooker
22세 1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엠블럼.svg 제시 크릴
Jesse Kriel
31세 80회

(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커트리 아렌서
Kurt-Lee Arendse
29세 26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쿄 산토리 선골리앗 엠블럼.svg 체슬린 콜비
Cheslin Kolbe
31세 41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케이넌 무디
Canan Moodie
22세 14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이언스 럭비 로고.png 에드윌 판데르메르버
Edwill van der Merwe
29세 3회
풀백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아펠렐레 파시
Aphelele Fassi
27세 12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빌리 르루
Willie le Roux
35세 100회
2025 럭비 챔피언십 선수단 (7월 23일 기준)
감독: 라시 에라스머스 (Rassie Erasmus)
홈 경기장: -

}}}}}}}}}}}}

[1] 식스 네이션스럭비 챔피언십 참가국, 그리고 일본[2] 가장 승률이 높은 뉴질랜드가 76%, 세번째로 높은 잉글랜드가 59%.[3] 올 블랙스가 카 마테와 다르게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에서만 보여주는 특별한 하카다.[4] 다만 뉴질랜드의 역사적 위상, 그리고 전체 승률과 상대 전적을 고려하면 아직 따라갈 길이 멀다.[5] 남아공의 에너지/화학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