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19:43:09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럭비 아메리카스 노스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colbgcolor=#fff> 가이아나 파일:과들루프 로고.svg <colbgcolor=#fff> 과들루프프랑스 파일:마르티니크 기.svg <colbgcolor=#fff> 마르티니크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colbgcolor=#fff> 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프랑스령 기아나 기.svg 프랑스령 기아나프랑스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5개국) | ** 프랑스 : 프랑스 럭비 연맹 산하 단체[1]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1] 물론 그러므로 월드 럭비에 가입할 수 없다
}}}}}}}}} ||

파일:퍼시픽 네이션스 컵(2024~).png
퍼시픽 네이션스 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럭비 사모아.png
파일:Tonga_Rugby_Logo.png
파일:Logo_Fiji_Rugby_2019.png
파일:미국럭비대표팀.png
파일: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캐나다 럭비 대표팀.png
}}}}}}}}} ||
파일:미국럭비대표팀.png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United States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 이글스 (Eagles)
소속단체 USA 럭비 (USARFU)
감독 파일:미국 국기.svg 스콧 로렌스 (Scott Lawrence)
주장 그렉 피터슨 (Greg Peterson)
최다 출전 토드 클레버 (Todd Clever)76회
최다 득점 마이크 허커스 (Mike Hercus)465점
최다 트라이 바에아 아니토니 (Vaea Anitoni)26회
홈 경기장 -
첫 국제경기 vs 호주 (8:12)1912년 11월 16일
최대 승리 vs 바베이도스 (91:0)2006년 7월 1일
최대 패배 vs 잉글랜드 (8:106)1999년 8월 21일
럭비 월드컵 9회 진출
최고 조별리그
세계 랭킹 최고 12위(2019) / 최저 20위(2022)
역대 전적 290전 108승 5무 177패(37.2%)

1. 개요2. 역대 전적
2.1. 감독별 전적2.2. 주요 대회 성적2.3. 국가별 상대전적
3. 개인 기록4. 선수단

1. 개요

미국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1920년, 1924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로 럭비 유니언은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1]

2.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함. 출처

2.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0a3161><rowbgcolor=#0a3161><rowcolor=#fff>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2016년부터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이 개최되며 승률이 올랐다. 맨날 강한 팀만 상대하다가 드디어 비슷한 팀끼리 만나서 그렇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였고, 2019년 이후로 대회가 폐지되며 다시 힘겨운 상대들만 만나고 있다. 물론 미국의 수준이 여전히 지지부진한 건 둘째치고

2.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b31942>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3위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예선 탈락 아메리카 2위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조별리그 조 4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4위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예선 탈락 대륙간 최종전 2위
202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5 럭비 월드컵을 제외하고 2019년까지 개근하였다. 과거에는 캐나다와 함께 가볍게 예선 통과를 했으나 이제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2023 럭비 월드컵 예선 탈락의 과정이 참으로 기가 막히다.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 (2016 ~ 2019)
<rowcolor=#b31942>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XV 2회 20전 17승 2무 1패 8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회 20전 14승 2무 4패 7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0전 13승 7패 6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전 7승 13패 35%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전 6승 14패 30%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20전 1승 19패 5%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2군 대표팀인 USA 셀렉트를 보내 2013, 2014년 준우승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는 최상위 팀의 경기가 아니기 때문에 테스트 매치도 아니고, 무엇보다 "미국 대표팀"의 경기가 아니다.

미국 대표팀은 2016년부터 참가하고 있으며 2016년 준우승, 2017/2018년에 난적 아르헨티나 XV를 누르고 우승한다. 2019년엔 우루과이에 밀려 3위에 머물렀다.
<rowcolor=#fff>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24 ~)
<rowcolor=#b31942> 주요 참가국 우승 준우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대회가 2019년 이후 이어지지 못하여 한동안 정기적으로 참가하는 대회 없이 대표팀의 기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었는데, 마침내 2024년부터 확대 개편된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정식으로 편성되어 매년 3~4경기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거의 방치되다시피 한 북미 지역에 단비같은 소식.

2.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1전 11패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9전 9패 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전 8패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전 8패 0%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7전 7패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5전 5패 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전 4패 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4전 4패 0%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전 1패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전 1승 7패 12.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7전 1승 6패 14.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7전 1승 6패 14.3%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1전 2승 9패 18.2%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8전 2승 6패 2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66전 25승 2무 39패 37.9%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7전 3승 4패 42.9%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8전 4승 4패 5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5전 13승 1무 11패 5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5전 3승 1무 1패 6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1전 8승 3패 %72.7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8전 6승 2패 75%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0전 15승 1무 4패 75%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5전 4승 1패 8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6전 5승 1패 83.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전 1승 100%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전 1승 10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전 1승 100%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전 1승 100%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1전 1승 100%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1전 1승 10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8전 8승 100%
2018년 6월 16일 스코틀랜드를 홈에서 30:29로 이긴 적이 있다. 아무리 스코틀랜드가 힘을 빼고 임했다고 해도 두 팀의 실력 차이를 생각하면 믿기지 않는 일.

3. 개인 기록

현역은 볼드체로 표시.
<rowcolor=#fff>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토드 클레버 플랭커 76회 2003~2017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토드 클레버 플랭커 51회 2008~2017
최다 트라이 바에아 아니토니 26회 1992~2000 경기당 0.57개
최다 득점 마이크 허커스 플라이하프 465점 2002~2009 경기당 9.69점
한 경기 최다 득점 크리스 오브라이언 플라이하프 26점 1989.11.5 vs 우루과이
마이크 허커스 2004.05.30 vs 러시아
마이크 허커스 2006.7.1 vs 바베이도스
한 경기 최다 트라이 리처드 하이랜드 4개 1924.5.11 vs 루마니아
바에아 아니토니 1996.7.6 vs 일본
브라이언 하이타워 1997.6.7 vs 일본
바에아 아니토니 1998.4.8 vs 포르투갈
최연소 출전 티티 라모시텔레 프롭 18세 187일 2013.8.17 vs 캐나다
최고령 출전 마크 윌리엄스 플라이하프 38세 98일 1999.10.2 vs 아일랜드

4. 선수단

80%가량이 메이저 리그 럭비 소속이다. 그리고 세계 최고의 클럽인 스타드 툴루쟁에 소속된 데이비드 아이누우도 있다.

의외로 유럽 1부 리그에서 눈에 띄게 활약했던 경우가 있는데, 2015년까지 대표팀으로 활약한 크리스 와일스가 사라센스 FC 최다 트라이 기록 보유자다(74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미국럭비대표팀.png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31942> 포지션 소속팀 이름 연령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잉글랜드 프리잭스.png 케일럽 가이거
Kaleb Geiger
29세 7회
무소속 션 맥널티
Sean McNulty
30세 5회 잉글랜드인 거주 기간
파일:미국 국기.svg 캘리포니아 리전 마이크 소세네페아가이
Mike Sosene-Feagai
32세 12회 사모아인 거주 기간
프롭
(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데이비드 아이누우
David Ainuʻu
25세 23회
무소속 포노 데이비스
Pono Davis
28세 11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 잭 이스카로
Jack Iscaro
28세 15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 통아 코페
Tonga Kofe
29세 4회
무소속 에제키엘 린든머스
Ezekiel Lindenmuth
28세 4회 사모아인 거주 기간
파일:미국 국기.svg 캘리포니아 리전 말리우 니우아페
Maliu Niuafe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 페이튼 탈레아
Payton Talea
27세 4회

(5)
파일:미국 국기.svg 캘리포니아 리전 제이슨 댐
Jason Damm
30세 12회
무소속 브랜든 하비
Brandon Harvey
23세 -
무소속 빌리 헬루
Vili Helu
29세 20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올드 글로리 DC.png 테비타 낭갈리
Tevita Naqali
29세 6회 피지인 거주 기간
무소속 릭 로즈
Rick Rose
24세 -
백 로우
(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안템 럭비 캐롤라이나.png 매킨 알리칸
Makeen Alikhan
24세 4회 캐나다인 부모/조부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올드 글로리 DC.png 코리 대니얼
Cory Daniel
30세 15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US 몽탈바내즈 로고.png 나피 마아푸
Nafi Ma'afu
27세 -
무소속 크리스천 포이데빈
Christian Poidevin
27세 5회 호주인 거주 기간
무소속 마르노 레델링헤이스
Thomas Tu'avao
32세 6회 남아공인 거주 기간
무소속 패디 라이언
Paddy Ryan
34세 7회 아일랜드 출신
스크럼
하프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시카고 하운즈.png 마이클 바스카
Michael Baska
30세 4회
무소속 루번 드하스
Ruben de Haas
27세 42회 남아공인 거주 기간
무소속 이선 맥비
Ethan McVeigh
25세 6회
플라이
하프

(2)
무소속 루크 카티
Luke Carty
28세 24회 아일랜드인 조부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시카고 하운즈.png 크리스토퍼 힐센베크
Christopher Hilsenbeck
33세 4회
센터
(4)
세인트매리 대학교 도미닉 베사그
Dominic Besag
21세 12회
무소속 톰마소 보니
Tommaso Boni
32세 10회 이탈리아인 조부모
무소속 타비테 로페티
Tavite Lopeti
26세 23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안템 럭비 캐롤라이나.png 에리크 스토르티
Erich Storti
25세 7회

(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시애틀 시울브스.png 멀라키 에스데일
Malacchi Esdale
30세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브리스톨 베어스 로고.png 토비 프리커
Toby Fricker
29세 7회 잉글랜드 출신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시애틀 시울브스.png 라우이나 푸티
Lauina Futi
29세 6회
무소속 루퍼스 매클린
Rufus McLean
25세 4회
풀백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안템 럭비 캐롤라이나.png 미치 윌슨
Mitch Wilson
29세 16회 호주인 거주 기간
2025 가을 투어 선수단 (10월 17일 기준)
감독: 파일:미국 국기.svg 스콧 로렌스 (Scott Lawrence)
홈 경기장: -

}}}}}}}}}}}}

[1] 1900년, 1908년까지 15인제 럭비는 4번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