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3:25:44

나루토/소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루토
1. 개요2. 목록
2.1. 노벨라이즈2.2. 소설 오리지널2.3. 진전 시리즈2.4. 비전 시리즈2.5. 신전 시리즈2.6. 열전 시리즈
3. 정사 유무

1. 개요

나루토보루토의 소설판 시리즈.

이하의 소설들은 모두 나루토 완결 이후 전개된 나루토 신시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집필된 작품들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과 달리 모든 작품이 정사로 인정받은 작품들이다. 검수와 표지 삽화는 원작자인 키시모토 마사시가 담당. 다만 아무래도 작가가 다들 다르다보니 내용에 일관성이 없고 일부 묘사나 설정에 엇나감이 있다.

2. 목록

범례
신시대 프로젝트

2.1. 노벨라이즈

2.2. 소설 오리지널

2.3. 진전 시리즈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293241><rowbgcolor=#000><width=33.3%> 광명편
光明篇
||<-2><width=33.3%> 암야편
暗夜篇
||
파일:이타치진전 광명편.png 파일:이타치진전 암야편.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타치 진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타치 진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타치 진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비전 시리즈

2.5. 신전 시리즈

2.6. 열전 시리즈

3. 정사 유무

일본에서는 나루토 소설이 슈에이샤의 점프 소설 레이블(JUMP j BOOKS)에서 출판되고 있고, 저자 표기에 「원작:키시모토 마사시」라고 써 있기 때문에 제대로 공식 작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슈에이샤가 내고 있는 이상 키시모토나 편집부의 감수 없이는 발매되지 않는다 여긴다. 실제로 소설이 애니메이션화도 되어 있고, 테레비 도쿄스튜디오 피에로가 공식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로 비공식적일 수 없다. 일본팬들 사이에서는 거의 논란이 되지 않을 정도로 소설 시리즈를 당연히 공식이라고 생각한다.
파일:나루토소설정사.jpg
Q. 편집자와 미팅을 할 때, 오리지널 소설을 집필할 때와 다른 부분이 있나요?
A. 아직 정해지지 않은 설정을 사용할 때 『NARUTO-나루토- 나루토 신전』의 경우 『NARUTO-나루토-』 700화에 등장한 아카마루를 닮은 강아지의 이름이나, 『BORUTO-보루토-』에서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휴대용 게임기의 이름 등, 오리지널 소설이라면 담당 편집자와 둘이서 이름을 정할 수도 있습니다만, 노벨라이즈에서는 그렇게 실례되는 일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원작 측 선생님의 손을 빌릴 수 있습니다.
『NARUTO-나루토- 나루토 신전』에서도 키시모토 선생님을 비롯해, 『BORUTO-보루토-』의 각본을 맡고 있는 코다치 선생님께도 도움을 받았습니다. 간단한 형식이지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8년 레이블 창설로부터 25주년을 기념하여 JUMP j BOOKS 소설상 출신의 선생님들에 대한 인터뷰가 JUMP j BOOKS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그 중 나루토 소설의 집필을 담당한 미야모토 미레이의 인터뷰를 통해 나루토 소설을 키시모토 마사시가 감수했음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노벨라이즈와 오리지널 소설을 확실하게 구분하는 모습이며 모든 것을 작가가 담당하지 않고 원작자가 내용에 깊이 관여한다. 인터뷰
파일:나루토정사1.jpg
여러분, 많은 ‘JC(점프 코믹스) 샀어요‘ 트윗 감사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발매된 소설 「카카시 비전」도 폭발적으로 판매되는 모습. 안에 카드도 들어 있었어요. 이 비전 시리즈는 키시모토 선생님께서도 내용에 깊이 관여해 주신, 더 이상 번외편이 아니라 「본편」인 이야기입니다! 꼭 읽어보세요! ― 나카노[6]
파일:나루토정사2.jpg
덕분에 NARUTO 비전 시리즈 「카카시 비전」에 이어, 바로 「시카마루 비전」도 중판 결정입니다! 4월 2일에 중판분이 서점에 진열됩니다. 그리고 4월 3일에는 「사쿠라 비전」이 발매됩니다. 커버 일러스트는 물론 키시모토 선생님이 혼신의 힘을 다해 그린, 성장한 사쿠라…! 발표를 기대해주세요! ― (소에다[7])
파일:나루토정사3.jpg
내일은 소설 신 시리즈 「이타치 진전」도 발매! 표지 & 핀업 일러스트는 무려 키시모토 선생님이 직접 새로 그린 그림! 띠지도 멋있어~! ― 나카노
공식출판사 측에서는 소설 시리즈를 번외편이 아닌 '본편(정사)'임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이는 보루토 애니메이션 쪽도 마찬가지로, 보루토 애니 역시 원작 외 애니에서만 그려지는 오리지널 내용들을 모두 정사로 인정한다는 움직임을 보였다. 사실상 나루토 원작 이전과 이후 시점을 다룬 작품들은 애니메이션, 소설을 불문하고 모두가 정사라고 봐도 상관없다.
파일:소설타임라인.png
파일:타임라인21).png
파일:나루토연표.png
공식 타임라인 역시 이를 모두 포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일:픽시브나루토소설콘테스트.jpg
2015년에 pixiv는 슈에이샤 JBOOKS 편집부와 공동으로 『NARUTO』비전・진전 소설 시리즈 팬아트 콘테스트를 개최했다. 대상작 상품은 키시모토 마사시 선생님 & 소설 집필 작가들의 공동 사인 색지였고, 당선작들은 점프 페스타 2016 「JBOOKS 부스」에서 전시되었다. # 당선작 전시리포트
파일:나루토소설집필.jpg
Q. 노벨라이즈 작품을 다룰 때, 어떤 점에 주의해서 집필에 임하나요?
A. 무엇보다도 캐릭터가 흔들리지 않도록 신경을 씁니다. 성격은 물론, 말투나 웃는 법 등도 그렇습니다.
『NARUTO-나루토- 나루토 신전』에서는 이름을 부르는 방식에도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예를 들어 부부의 경우, 아이들 앞에서 아내나 남편을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왠지 위화감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호칭에서 가장 고민한 것이 「사라다 앞에서 사스케는 사쿠라를 어떻게 부를까」였습니다. 사라다는 사쿠라를 <마마>라고 부르지만, 사스케까지 그렇게 부르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어떻게 불렀는지는 소설에서 확인해 주시면 기쁘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키시베 로한은 움직이지 않는다』의 노벨라이즈를 담당하게 되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만, 로한 선생님이 〈헤븐즈 도어〉를 사용할 때 외치는 구호를 〈헤븐즈 도아아아앗!〉으로 해야 할지 〈헤븐즈 도아――――앗!〉으로 할지 꽤 고민했습니다. 한 시간 반 정도 고민한 끝에, 결국 〈헤븐즈 도아아아――――앗!〉이 더 잘 어울릴 거 같아서 그쪽을 채용했습니다.
나루토 소설의 집필을 담당한 미야모토 미레이의 인터뷰를 통해, 노벨라이즈 작업에서 작가가 원작의 정서와 캐릭터성을 세심하게 지키는 걸 주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터뷰

다만 작가별로 캐릭터를 묘사하는 방향이 다르고, 어떤 묘사는 원작과 괴리감이 있는 부분도 있다. 나루토 열전에서 오로치마루가 엄마 모임에 나온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렇게까지 자유롭게 마을을 활보해도 되는 건지, 이 역시 본편에서 항상 감시 받고 있다는 설정을 생각하면 이상하다.[8] 게다가 오로치마루는 한때 나뭇잎 부수기를 자행했던 대악죄인으로 엄마 모임에 나가는 나루토 세대의 쿠노이치들이 그 악명을 알고 있을 텐데도 그를 받아줬다는 게 이상하다.[9]

나루토 원작 자체도 번복되는 설정이 많았고, 공식 측에서 소설을 정사로 선언했기 때문에 캐릭터 붕괴에 대해서는 시간이 흘러서 갖게 된 새로운 캐릭터성이라 받아들이면 된다. 제각기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쓰이는 작품들이기 때문에 원작과 충돌되는 캐릭터 붕괴나 설정 붕괴가 있을 수밖에 없다.


[1] 오오츠츠키의 상세한 목적 등이 본래 이 소설에서 다 나왔었다. 대표적으로 차크라의 열매는 DNA의 집합체로, 열매가 된 생명체의 모든 정보가 깃들어 이를 흡수하는 것이라는 설정은 이 소설에서 먼저 나왔고, 후에 보루토 연재분에도 역수입된 것.[2] 원작자나 검수가 아니라 작가로 기재가 되어있다.[3] 뇌절 자체는 발동 가능하지만 사륜안이 없으면 미완성 기술이라 더는 쓸 수 없다고 생각하는 듯하다.[4] 나루토 원작 700화는 2세대 캐릭터에 대한 간략한 묘사와 부모가 된 나루토 세대 캐릭터들의 근황 이야기를 그린 에피소드인데,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는 어차피 그 다음주에 곧바로 보루토가 방영되기 때문에 굳이 애니화 할 필요가 없는 내용이었다. 때문에 차기작으로의 바톤 터치를 보다 스무스하게 넘겨주기 위해 본 에피소드를 이곳에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5] 통칭 사라다 외전.[6] 나루토 편집자[7] JUMP j BOOKS의 편집부[8] 물론 미츠키의 부모로서 아카데미의 학부모 상담에 참석하는 데에는 나루토가 편의를 봐줬다고 하니 넘어가도, 엄마 모임은 말 그대로 공공기관에서 주최하는 것이 아닌 사교 모임이다. 이것이 허용된다는 이야기는 오로치마루는 그냥 마을 내 어디를 싸돌아다녀도 전혀 문제 없다는 의미가 된다.[9] 물론 생각해보면 나루토 세계관 자체가 상당히 작가 편의적으로 돌아가는 세계관이다보니 객관적으로 생각하면 이상해도 나루토 세계관의 원래 분위기를 생각하면 이상한 게 아닐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는 전쟁의 주축이 된 우치하 일족은 종전 후 비난 받아도 이상하지 않은데 비난은 커녕 쵸쵸가 멸족한 일족의 명성을 알고 사라다를 띄워주는 씬이 나오고, 카부토가 고아원을 하고, 감시를 당하는 오로치마루가 산 제물을 쓰지 않았을 뿐 클론을 만들어 계속되는 인체실험을 하고 있음에도 전혀 제지하지 않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