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1 13:10:58

Realtek

꽃게텍에서 넘어옴
주요 ARM SoC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Application Processor
파일:미디어텍 로고.svg 파일:Qualcomm_Snapdragon-logo.svg 파일:Apple 로고.svg파일:Apple 로고 화이트.svg 파일:UNISOC 로고(1).svg 파일:삼성 엑시노스 로고.svg 파일:하이실리콘 로고.svg
MediaTek Qualcomm
Snapdragon
Apple Silicon UNISOC Samsung
Exynos
HiSilicon
Kirin
파일:Allwinner 로고.svg 파일:Amlogic 로고.svg 파일:Ampere Computing 로고.svg 파일:브로드컴 로고.svg파일:브로드컴 로고 화이트.svg 파일:Marvell 로고.svg 파일:NXP반도체 로고.svg
Allwinner Amlogic Ampere
Computing
Broadcom Marvell
ARMADA
NXP i.MX AP
파일:realtek.svg 파일:Rockchip 로고.svg 파일:external/www.nvidia.com/Badge_Tegra_3D_large.jpg 파일:구글 로고.svg 파일:텔레칩스_로고_배경투명.png
Realtek Rockchip NVIDIA Tegra Google
Tensor
Telechips
Micro Controller Unit
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svg 파일:NXP반도체 로고.svg 파일:Atmel2.png 파일:르네사스 로고.svg
STMicroelectronics
STM32
NXP i.MX MCU Atmel SAM Renesas RA series
}}}}}}}}} ||
<colbgcolor=#164f9a><colcolor=#fff> 리얼텍
Realtek Semiconductor Corp.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1]
파일:realtek.svg
창립 1987년 ([age(1987-01-01)]주년)
국가
[[대만|]][[틀:국기|]][[틀:국기|]]
매출액 1,117억 8,979만 TWD (2022년)
영업이익 157억 2,400만 TWD (2022년)
종목코드 TWSE : 2379
시가총액 1,597억 5,700만 TWD[2]
종업원 5,155명 (2022년)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제품
2.1. 통신 칩셋
2.1.1. SoC 종류
2.2. 사운드 칩셋2.3. 디지털 방송 칩셋
3. 장점4. 단점
4.1. 네트워크 칩셋4.2. 드라이버의 문제점4.3. 호환성 문제4.4. 잡음 문제
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만의 반도체 회사.

주로 메인보드의 내장 사운드 칩셋이나 유/무선 네트워크 칩셋을 만든다. 1990년대 초반까지는 그래픽 카드 칩셋(RTG31XX 계열)도 만들었다.

보통 이 두 가지가 유명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제품들이 가까운 곳에서 눈으로 볼 수 있어 유명할 뿐 실제로 만드는 물건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통신 분야에서는 ADSL이나 사물인터넷 컨트롤러도 만들며 글로나스 리시버도 만들고 있다. PC용 제품도 USB 컨트롤러, 메모리카드 리더 컨트롤러, 클럭 제너레이터 분야에서도 꽃게표를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셋톱박스DivX 플레이어용 SoC, 그리고 SSD 컨트롤러도 제조하고 있다.

시가총액이 약 11조원으로 대만 상장사중 40위 정도의 기업이다.

드라이버 다운로드는 이 링크에 들어가서 Product Line을 선택하면 된다. 메인 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코너 링크는 하단이나 햄버거 메뉴에서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 다운로드 직전에 물어 보는 CAPTCHA만 통과하면 된다.

2. 제품

이 회사의 사운드 칩셋은 거의 모든 메인보드와 노트북 컴퓨터의 내장 사운드 칩셋으로 채택되어 있고, 네트워크 칩셋도 대부분의 메인보드에 사용되고 있다. 그나마 인텔, 퀄컴, 브로드컴 등의 경쟁사들이 있는 네트워크 칩셋과는 달리, 사운드 칩셋은 VIA, Analog Devices(SoundMAX), SigmaTel 등의 경쟁사들이 망해 버리거나 사운드 칩셋 사업을 접으면서 사실상 독과점 수준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경쟁자라면 범용 VGA 업체였으나 인수되면서 애플맥북 시리즈에나 들어가는 Cirrus Logic, C-Media 그리고 Creative 정도 뿐이다. 멀티미디어가 중요치 않은 분야에서의 독점으로 1위를 유지하는 특성상 사운드카드계의 인텔 HD 그래픽스쯤의 포지션으로 이해하면 된다. 아니, 정말 사무용 컴퓨터의 절대 다수가 인텔 HD 그래픽스 + 리얼텍 랜 + 리얼텍 내장사운드 조합이다.

2.1. 통신 칩셋

유선 랜카드용 칩으로 10Mbps 시기의 RTL8029, 100Mbps 시기의 RTL8139 및 그 리비전, 1Gbps 시기의 RTL8111/8168, 2.5Gbps 시기의 RTL8125B 등이 있다. 여기에 세세한 칩셋 리비전까지 따지기 시작하면 종류가 더 많아진다. 무선 랜 칩셋 종류들도 다양하고, 드라이버 또한 다양해서 혼란이 벌어진다.

리눅스의 경우는 일부 무선 칩의 드라이버가 기본 제공되지 않기도 하고, 몇몇 공식 드라이버는 커널 패닉을 일으키기도 한다. 유선과는 다르게 무선 쪽 드라이버는 한동안 칩셋별로 다 따로 존재하던 혼파망 시절이 있었고, 드라이버 종류가 정리된 지도 얼마 되지 않았다. 게다가 공식 드라이버의 불안정성 때문에 패치된 드라이버들을 찾다 보면 어느새 또 다른 혼란이 기다리고 있다. 리눅스에서 리얼텍 무선랜 칩셋의 드라이버를 사용하느니 차라리 리얼텍이 아닌 USB/PCIe 무선 랜카드,[3] 예를 들면 인텔 무선랜을 사서 사용하자. 그게 정신 건강에 훨씬 덜 해롭다.[4]

또한 안드로이드 장비의 Wi-Fi 무선 칩도 저가형 위주로 이 회사의 제품이 채용되고 있기도 하다. 이 분야는 고가형, 저가형 가리지 않고 AP 제조 업체들이 Wi-Fi, 블루투스, 2/3/4G까지 합쳐서 나오는 마당이라서 경쟁자가 많다.

2.1.1. SoC 종류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현재 무선공유기에 주로 쓰이는 제품 위주로 작성하였다.

2.2. 사운드 칩셋

2000년 Avance Logic[6]을 인수한 후 사운드 칩셋 제조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초기 리얼텍 사운드 칩인 ALC201, 202는 Avance Logic 시절에 개발된 것을 리얼텍 상표로 내놓은 것이었고 이후로도 리얼텍 사운드 칩셋은 리얼텍을 뜻하는 RTL 대신에 Avance Logic의 이니셜이 포함된 ALC라는 네이밍으로 시작하고 있다.

경쟁사 대비 가성비가 매우 우수한 사운드 코덱 칩셋을 시장에 내놓았다. 일반적인 용도의 사운드 출력에는 문제가 없지만 고급 성능 지원은 거의 없다. 하지만 가격이 깡패라 할 정도로 극히 저렴하다.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시장에서 ADI(SoundMAX)나 SigmaTel(IDT)같은 중급 사운드 칩셋은 물론, 같은 대만계 경쟁사인 C-Media나 VIA 등 다른 저가 사운드 칩셋을 밀어내고 사실상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저가 칩셋 시장의 최종 승자가 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 VIA와 ADI(SoundMAX)는 사운드 칩셋 제작을 중단했으며, SigmaTel(IDT)은 HP 컴퓨터에 OEM으로만 들어가는 상황이다. 2000년대까지는 Dell 컴퓨터에도 들어갔으나, DELL에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못 쓰게 막아둔 탓에 말이 많았다. 2010년에 Realtek 칩셋으로 바뀌었다. ECS에서 제작한 메인보드 중 일부에도 이 회사의 칩셋이 들어갔다. C-Media는 내장 사운드 칩셋을 생산하지 않고 있지만, 일부 ASUS 사운드 카드에 이 회사의 칩셋이 들어간다.


리얼텍 사운드 관리자의 테스트 음악인 루피 뮤직. Windows Vista부터는 지원하지 않는다.

파일:attachment/realtek.png
오디오 코덱들의 넘버링이 꽤나 혼란스러운데 대략적인 스펙은 위 표와 같다. 100% 맞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숫자가 클수록 좋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실 칩셋 스펙이 좋아도 메인보드 내부 설계가 좋지 않으면 성능을 다 깎아 먹는다. 메인보드를 제대로 설계했으면 뒷면에서 나오는 음질은 괜찮겠지만, 전면 포트를 통해 나오는 음질은 역시 설계 문제 내지는 간섭 등으로 인해 음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사운드 카드 제조사들이 전면 포트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온 지 좀 된 사진이라 ALC1150, ALC1220, ALC4080 칩셋이 누락되어 있다. 1000번대가 넘어가는 사운드 칩은 리얼텍의 최상위 사운드 칩셋으로, 이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사운드 쪽에 신경을 꽤 썼다고 보면 된다. 이정도만 되도 중저가형 사운드 카드나 2010년 이전 나온 오래된 고급형 사운드 카드들은 대부분 이 양산형 리얼텍 칩도 상대하기 어렵다. 사실 어느 음향기기들이 다 그렇듯 음향 감상의 대부분은 스피커가 지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컴퓨터 사운드에 대충 20만원 정도 할당한다고 치면 어쭙지 않은 중저가 사운드 카드나 옛날 중고 고급형 사운드 카드 사서 저가형 스피커에 연결할 바엔 ALC1220 이상 사운드 칩 달린 메인보드에 남는 돈은 몽땅 스피커에 투자하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이다.

물론 요즘 나오는 상위 사운드 카드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이런 고급형 내장 사운드칩은 내장 사운드의 고질병인 노이즈 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저음부도 크게 향상되었다. 물론 컴퓨터에 접지가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반면 DAC, 특히 소위 꼬다리 DAC가 저가형에서 위협적으로 성장했으니 음감만을 위해서라면 차라리 고급 메인보드를 사는 것보다 싸게 먹힐 수도 있겠다.

광출력 단자인 SPDIF 출력을 쓴다면 이런 내장형 사운드 칩의 고질적인 음질 문제가 없다. 이 쪽은 애초부터 디지털 전송 규격이기 때문에, 내장 사운드라도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전달해서 출력해주기만하면 할 일이 끝이므로 음향기기 쪽 리시버가 지원만 한다면 손실 없이 제대로 들을 수 있다. 즉, 내장이든 외장이든 원본 소스(디지털)을 광출력(디지털)로 전달만 하면 임무는 끝이고, 디지털에서 아날로그(소리)로의 변환은 음향기기의 DAC 쪽에서 다 할 것이므로, 광출력 단자를 쓰면 DAC와 음향기기 리시버에서 음질이 결정된다.

파일:698951db10958cbe7032e0bbc6f20537.jpg
이 때문에 ALC4080 부터는 USB 출력까지 추가되었다. 좌측이 ALC4080 회로도, 우측이 기존 아날로그 출력식 ALC1220

사운드 드라이버도 문제가 많다. Creative처럼 대놓고 문제를 일으켜서 욕먹은 일은 없지만, 자체 기술력은 많이 부족한 회사로서 윈도우즈에서 지원해주는 기능들을 뺀 고유의 고급 기능을 지원하는 것들은 대개 제대로 사용하기에 많이 부족한 것들이다. EAX가 고급 3D 게이밍 사운드에서 자주 쓰였음에도 제대로 지원하지 못 했으며, EQ는 사블 등에서 제공했던 것에 비하면 많이 부족했던 데다가[7], 또 외장 사운드 카드를(특히 사블)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 리얼텍 드라이버와의 문제로 게임 프레임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칩셋의 가격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으나 드라이버의 업데이트도 빨리 해주는 편이 아니고, 해줬다고 하더라도 시스템 문제가 아닌 기능적인 문제는 잘 고쳐지지 않는 편이라 개선이 필요하다.

다행히(?) 다른 내장 코덱들은 더욱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비스타 이후 WaveRT 체계로 사운드칩셋 HW가 우수할 필요가 없어진 시류(두 번째 폴딩 참조)[8]에 잘 올라타 윈도우즈에 잘 적응한데다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크게 성공할 수 있었다. 리얼텍 사운드 드라이버에서 음장 효과를 잘 살펴보면, 룸 코렉션[9] 등의 고급 음장 효과가 아무 문제없이 잘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비스타부터 기본 제공하는 것을 가져와 쓰기 때문이다.[10] 이것이 자체 기술 보다는 윈도우 자체 기능에 의존하는 저가 모듈의 한계로 사실상 윈도우 이외의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사용하기 힘든 이유가 된다.

2.3. 디지털 방송 칩셋

유럽을 포합한 몇몇 국가들의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DVB-T 칩셋을 제조한다. 이 중 RTL2832U 칩셋은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적당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SDR 수신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른바 RTL-SDR. SDR 전용 장비에 비해 매우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3. 장점

이 회사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단가가 싸다는 점이다. 동급의 Atheros 칩이나 인텔 무선 칩보다 매우 싸다. 이베이에서 802.11n 지원 무선카드를 검색해 보면 인텔Atheros 고급형의 값은 각각 20달러 정도 되는데, 이 회사의 RTL8723 칩은 2015년 11월 기준으로 1/10 수준인 2달러 정도밖에 안 한다. 당연하지만 싼 게 비지떡이다. RTL8723 계열은 AE든 BS든 뭐든 전통적으로 문제가 많았다.

사운드 칩셋이나 유선 랜의 경우 드라이버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Windows 버전에 따른 특성을 잘 타지 않는다. 기본 오디오 드라이버로도 문제가 없어서 그런지 리눅스에서도 잘 돌아간다. 그래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다. 어디까지나 사운드 칩셋 및 유선 랜에 한정된 이야기이며, 무선 랜의 경우에는 드라이버가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잦으며, 일부 리얼텍제 SD 카드 리더기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 적도 있었다.

4. 단점

4.1. 네트워크 칩셋

네트워크 칩셋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 현상은 무선랜에서 특히 심하여 연결이 잘 되다가 갑자기 끊어져서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가 취소된다거나, 온라인 게임이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Windows 10으로 오면서 이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고 상술하듯 리눅스에선 더 심각하다.

유선의 경우 드라이버 버전을 많이 타는 편이라 궁합이 잘 맞지 않는 드라이버 버전을 설치할 경우에는 핑이 막 튄다. 이건 구버전이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도 이렇다. 그나마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로 설치할 경우에는 이런 현상은 많이 줄어든다. 또한 리얼텍은 하드웨어 처리기가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CPU 점유율이 높고 안정성이 떨어진다. 기가인터넷 사용자 또는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리얼텍 랜이 달린 메인보드나 노트북은 구매를 재고해보는 것이 좋다. 아니면 무선랜카드를 따로 구하던가

리얼텍 무선랜카드 드라이버 설치 시 자체 소프트웨어가 하나 딸려오는데, 이것의 안정성이 좋지 않아서 툭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끊어버린다. 그래서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로 삭제하거나, 다른 무선랜카드로 교체해야 한다.

이 때문에 고급형 메인보드들은 대부분 인텔 랜을 장착하고 출시된다. 다만 2.5Gbps 시절 리얼텍 RTL8125B과 인텔 I225-V[11] 당시에 둘다 인터넷 끊김이 발생했는데 RTL8125B는 개판으로 만든 드라이버 문제라 몇년뒤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해결되었지만 I225-V는 국내 ISP와 호환성 문제[12]라 드라이버나 리버전들로는 해결되지 않아서 잠깐 리얼텍 랜이 반짝 뜨는 시기가 있었다.

4.2. 드라이버의 문제점

ATI가 HDMI 오디오 드라이버를 이 회사에 의뢰했을 때, 여기에 외부 사운드카드를 연결 시 성능을 떨어뜨리도록 설계했다고 하는 헛소문이 돌았으나 실제는 리얼텍 드라이버의 문제로 인한 것이었다. 현재는 AMD 그래픽 드라이버에 HDMI Audio 출력 기능이 내장되어 나오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없다.

Bluetooth 4.0 지원 무선칩인 RTL8723AE의 경우,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이 윈도우의 기본 언어설정을 건드리는 버그가 있었다.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더럽게 오래 걸린다

윈업데이트에 포함되어 오는 6.0.1.7841버전은 로그온시의 드라이버 로딩시간이 무려 1분이 걸리는 경우도 있었다 (어떠한 수단을 써 봐도 개선은 불가능하다)

4.3. 호환성 문제

현재 리얼텍 제품에서 호환성 문제를 겪는 품목은 사실상 무선랜 분야 뿐이며 오디오와 유선랜 칩셋 분야는 사실상 표준급으로 점유율을 확보했기 때문에 거의 호환성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오히려 상술하듯 2.5기가 랜 분야에서는 인텔쪽이 호환성 문제를 겪을 정도로 최근에는 굉장히 발전했다.

문제는 무선랜 호환성으로 구형 칩셋의 악명은 그야말로 엄청났고 지금도 유명 무선랜 제조사 중에서 가장 불안정한걸로 유명하다. 노트북이나 공유기나 리얼텍 칩셋이 들어가 있으면 속도와 안정성이 떨어진다. 공유기와 노트북이 둘 다 리얼텍 칩셋이라도 노트북 쪽 무선랜 드라이버 자체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끊기는 건 똑같다. 그나마 요즘은 인텔, 퀄컴, 미디어텍제[13] 칩셋이 광범위하게 들어가고 있다. 리얼텍 무선랜이 들어 있다면 가급적이면 인텔이나 퀄컴 등에서 나오는 고급 칩셋으로 바꾸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고급형 칩셋 중에서 가장 구하기 쉬운 것은 인텔 제품이다. 노트북 사용자라 해도 이런 식으로 칩셋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단 HP나 레노보는 바이오스 화이트리스트를 가장 좋아하는 회사라서 교체를 했는데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4]

4.4. 잡음 문제

일부 리얼텍 무선랜 사용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사용 시 잡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있다. 당연히 노트북 제조사들은 아무 문제 없다고 발뺌하는 중이다. 노트북의 설계 미스와 맞물려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런 경우에는 A/S를 포기하더라도 무선랜카드를 교체하는 것이 좋다. 무선랜카드만 바꿔도 귀신같이 잡음이 사라진다. 노트북이 잘 설계되었다면 이런 잡음 문제는 존재하지 않지만, 속도 및 안정성 문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바꾸는 것을 고려할 수는 있다.

가급적이면 802.11ac와 MIMO를 지원하는 인텔 Wireless-AC 7260 이상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자신의 노트북이 M.2 NGFF인지 Mini-PCIe인지도 잘 확인해봐야 하는데, Mini-PCIe 규격은 Wireless-AC 7260 카드가 최고한계선이다. 상술했듯, 일부 노트북 제조사들은 화이트리스트 방식으로 부품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5. 기타

저 특유의 마스코트 때문에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꽃게칩' 혹은 '꽃게텍'으로 통하고 있다. 대만 사람들도 비슷하게 리얼텍 제품들을 螃蟹卡(게 카드)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 시설을 타겟으로 하여 배포한 악성코드인 스턱스넷은 이 회사의 전자 서명을 위조하여 배포되었다.

오디오칩부터 무선랜까지 만드는데다가 오디오칩 분야에서는 사실상 윈도우 PC 시장에서는 경쟁사가 없는지라 악성코드를 퍼뜨리기는 좋기는 하다.


[1] 한국 한자음 그대로 읽으면 서욱반도체고분유한공사가 된다.[2] 2022년 12월 6일 기준, 한화 6조 8,264억원. 보기[3] USB 무선 랜카드는 대다수가 리얼텍 칩셋이며, 미디어텍 칩셋도 일부 있기는하나 이 쪽 역시 안정성 면에서 혹평이 많은 편이다.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USB 무선 랜카드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4] 실제로 누군가 2박 3일 동안 개고생해서 핑이 튀는 문제를 해결했지만, 그래도 불안정해서 열받은 끝에 그냥 무선 랜카드를 갈아치운 사람도 있다.#[5] 다만 기기에 따라서는 미디어텍 칩셋과도 극악의 상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피하려면 무조건 브로드컴 혹은 퀄컴 칩셋이 탑재된 제품을 찾아야 한다. 참고로 미디어텍 칩셋 역시 브로드컴 및 퀄컴 칩셋 대비 안정성이 그리 좋지 않은 편이다.[6] 이 회사 역시 과거에는 그래픽 카드 칩셋도 만들었으나 1990년대 중후반 그래픽 카드 칩셋 사업을 접었다.[7] 물론 곰플이나 팟플을 포함한 상당수 유명 동영상 재생기도 EQ가 좋지 못했던 걸로 봐서 리얼텍만 까일 일은 아니기는 하다.[8] 비스타부터는 EAX와 같은 독점 기능을 아예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운드 API 역시 DirectSound에서 WASAPI로 변경되면서 하드웨어 가속도 의미가 없어졌다.[9] 공간의 문제로 스피커를 최적으로 배치하지 못한 경우에도 이를 보완해서 음질이나 공간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X-Fi의 THX 콘솔을 이용한 룸 코렉션의 예[10] X-Fi 등의 사운드 카드는 이런 걸 잘 안 쓰는데, 이미 XP나 그 이전 시절부터 구축해놓은 기술이 뛰어나고 또 자신들의 특허를 위해 다른 방식으로 바꿀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THX에 막대한 로열티를 내는 대가로 잘 쓰고 있는 THX 콘솔을 버리고 다른 기술로 갈아탈 이유가 없는 것이다. 다만 높은 로얄티 등을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므로 가격이 높아진다.[11] I226-V도 포함된다. 둘다 코드네임은 폭스빌로 I225-V의 리네이밍 칩셋이기 때문이다.[12] LG U+랑 조합이 제일 안 좋았으며, 해결 방법은 V3 리비전 모델로 사거나 아니면 LG U+에서 임대해준 라우터에 연결하지 말고, 외부 공유기로 연결해주면 된다.[13] 상술했듯 미디어텍 칩셋 역시 안정성 문제가 있어서 교체 후기가 적잖게 보이는 편이다.[14] 특히 레노버의 경우 'FRU No.'라는 부속별 일련번호 같은 개념이 있는데 동일 칩셋이더라도 해당 번호가 맞지 않으면 작동을 거부한다. 최근 기종들은 (상위 제품군들 한정으로) 아예 메인보드에 납땜되어있기도 하여 교체 시도 자체를 틀어막아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