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제○○대 제2기갑여단 제16전차대대장 김호영 金鎬榮[1] | Kim Ho-young | |||
| |||
출생 | 불명 | ||
사망 | 불명 (향년 불명) | ||
묘소 | 불명 | ||
본관 | 불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임관 | (학교불명)[2](기수불명)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년 ~ ?년 | |||
훈장 | 충무무공훈장 (1980년) | ||
최종 계급 | 불명 (대한민국 육군)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2. 12.12 군사반란
12.12 군사반란 당시 보직은 제2기갑여단 제16전차대대장으로 계급은 중령이었다.13일 새벽 2시 30분 ~ 3시경, 제2기갑여단장이었던 이상규 준장이 제1군단장이자, 반란군들 핵심이었던 황영시에게 출동명령을 받았다. 3군사령관인 이건영 중장의 명령을 어기고, 이상규 여단장의 지시로, 김호영 중령은 35대의 전차를 이끌고 대전차 포탄과 고폭탄을 실고 180여명의 병력을 이끌고 중앙청을 장악한다.
12월 14일, 신군부 단체사진에서 윗줄 왼쪽에서 2번째에서 기갑병 군복을 입고 있으며 남웅종 준장과 신윤희 중령 사이에 있다.
3. 반란 이후
반란 이후 김호영은, 1980년에는 충무무공훈장을 수여했다고 한다."12.12 군사반란 반란군 책임자"리스트에도 올랐으나 자신의 상관인 이상규와 같이 행방불명이라 1980년 이후로 김호영 행적을 아무도 몰라 그의 행방, 묘역을 찾을 수 없으며 김영삼의 하나회 숙청 시절에 처벌을 받았는지 아니면 조홍, 장기오 처럼 처벌을 피하려고 해외로 도피했을 가능성도 있고 아니면 아예 백운택처럼 1980년대에 재직 도중 이미 사망하였을수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다.
12.12 군사반란 가담자 중 가장 미스터리한 인물인 심재국[3]과 함께 생년이 확인되지 않았다.
4. 둘러보기
12.12 군사반란 반란군 가담자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 | |
1979년 12월 14일 12·12 군사반란 성공 기념사진 국군보안사령부 청사 앞 | |
준장 남웅종✞ · 중령 김호영? · 중령 신윤희 · 중령 최석립 · 대령 심재국? · 대령 허삼수 · 대령 김진영 · 대령 허화평 · 대령 이상연✞ · 대령 이차군✞ · 준장 백운택✞ | |
소장 박준병✞ · 대령 이필섭 · 대령 권정달 · 대령 고명승 · 대령 정도영✞ · 준장 장기오 · 준장 우국일※✞ · 준장 최예섭✞ · 대령 조홍✞ · 대령 송응섭✞ · 대령 장세동 · 중령 김택수✞ | |
준장 이상규? · 준장 최세창 · 준장 박희도 · 소장 노태우✞ · 소장 전두환✞ · 중장 차규헌✞ · 중장 유학성✞ · 중장 황영시✞ · 소장 김윤호✞ · 소장 정호용? · 준장 김기택✞ | |
※ 사진 인물 배치 순서상 표기 ✞: 사망 / ?: 신원 및 행방불명 ※ 단, 우국일 준장은 군사반란 가담자로서 사진을 찍은 것이 아니라 국군보안사령부 참모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A] | |
{{{#!folding [ 각주 보기 ] |
[A] 비 하나회였던 우국일 준장이 12.12 군사반란 당시 한 일은 연희동 요정에서 접대업무를 맡았을 뿐 접대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그는 결백한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