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2026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0 곽도규 · 4 유지성 · 6 이성원 · 10 김태형 · 11 조상우 · 13 윤영철 · 17 임기영 · 19 윤중현 · 20 이준영 · 21 김사윤 · 25 한재승 · 28 이형범 · 32 김현수 · 33 올러 · 37 강동훈 · 38 장재혁 · 39 최지민 · 40 네일 · 41 황동하 · 43 김건국 · 46 김정엽 · 48 이의리 · 49 김민주 · 50 유승철 · 51 전상현 · 53 김기훈 · 54 양현종 · 59 양수호 · 60 김도현 · 61 김시훈 · 62 정해영 · 63 이호민 · 65 성영탁 · 66 이도현 · 69 김대유 · 02 강이준 · 03 박건우 · 06 장민기 · 014 이승재 · 017 김세일 · 018 김경묵 · 022 오규석 · 028 최건희 · 029 나연우 · 030 임다온 · 045 김양수 · # 김현수 · # 정찬화 · # 지현 · # 최유찬 · # 김상범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5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60번 | ||||
고영창 (2018. 7. 27.~2023) | → | 김도현 (2024. 5. 3.~) | → | 현역 |
| |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60 | |
김도현[1] Kim Dohyun | |
출생 | 2000년 9월 15일 ([age(2000-09-15)]세)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국적 |
|
학력 | 서울길원초(동대문구리틀) - 잠신중 - 신일고[2] - (영남사이버대)[3] |
신체 | 183cm, 87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9년 2차 4라운드 (전체 33번, 한화) |
소속팀 | 한화 이글스 (2019~2022) KIA 타이거즈 (2022~)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제39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4] (2022년 8월 22일~2024년 2월 21일) |
연봉 | 2025 / 9,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등장곡 | Lemaitre - 〈Closer〉 (2024~) |
소속사 | 어썸스포츠 |
|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도현(2000)/선수 경력 |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22 한화 | 22 KIA | 2024년 | 2025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
전광판 154km를 기록한 직구 |
|
슬라이더 |
|
커브 |
선발로 최고 구속 154km/h, 평균 구속으로 144km/h를 기록했다.[5] 자연적으로 테일링이 걸리는 투심성 패스트볼과 반대 방향으로 살짝 휘어지는 컷 패스트볼을 던지는데, 구위 또한 좋은 편이다. 변화구의 퀄리티도 훌륭한데, 평속 142km/h의 고속 슬라이더, 125km/h의 커브, 132km/h의 체인지업을 자유롭게 활용한다. 투구 동작의 디셉션 또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5 시즌 기준으로 투심 패스트볼에 더해 좌타자 상대 체인지업, 우타자 상대 커브를 주무기로 사용하여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테일링이 걸리는 좋은 직구와 종 변화구를 이용하여 타이밍을 빼앗는 유형이다. 이로 인하여 히팅 포인트를 앞으로 당기는 거포형 타자들에게 유독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6]
과거 한화 시절엔 느린 구속이 항상 발목을 잡았다. 당시 최고 구속은 140km대 초반, 평균 구속은 130km대 후반에 제구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었다. 하지만 군대에서 웨이트 트레이닝과 꾸준한 개인 훈련을 통해 10km/h 이상을 증속해오며 전역 후에는 완전히 탈바꿈하였다.
2024 시즌 초중반 기준으로, 구위와 구속은 크게 상승했으나 여전히 아쉬운 제구와 멘탈 면에선 아쉬움이 있었다. 원하는 위치에 공을 넣지 못해 볼넷을 내주거나 장타를 맞는 경우가 종종 보이며, 이로 인해 한번 무너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제구가 흔들렸다. 그날그날의 컨디션에 따른 성적의 기복 또한 꽤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전역 직후 급하게 선발로 투입된 만큼, 여러 면에서 충분히 개선 여지가 있다고 보였다.
2024 시즌 하반기부터는 제구력이 향상되었고 선발 포지션에 적응, 공의 위력이 상승한 덕인지 멘탈 또한 기복이 적어지며 정규 선발진에 안정적으로 안착한 모습을 보였다.
2025 시즌에는 선발 경쟁에서 황동하를 제치고 5선발로 자리매김했다. 구위와 구속은 2024 시즌에 비해 다소 감쇠했으나,[7] 다양한 구종과 변칙적 투구 패턴, 우수한 투구 지능으로 좋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 2025년 7월 기준 사실상 팀 내 토종 1선발 역할을 하고 있다.
2025 시즌 7월 기준 K/9는 5.47로 규정이닝 투수 중 리그 최하위에, 헛스윙률 역시 최하위인 7.2%로 삼진을 잡는 유형은 아니다. 그러나 제구가 2025 시즌에 들어 수준급으로 개선이 되었고, 맞춰 잡는 피칭으로도 준수한 성적을 올리고 있었으나 후반기 들어서는 체력에 부치는지 정타가 늘며 성적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결국 탈삼진 능력 부재로 인해 저점 방어가 잘 안 되고 있으며, 추후에는 제대로 된 결정구를 장착해야 더 위력적인 투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피안타가 많지만, 주무기 투심 특유의 무브먼트와 다양한 변화구를 이용한 피칭으로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난 편이다. 나이에 비해 베테랑에 비견되는 노련한 피칭을 던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풀타임 선발투수로서 시즌을 치른 게 24시즌부터이기에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눈에 띄게 피안타가 늘어나는 편. 한 시즌을 온전하게 소화할 수 있을 만큼의 체력을 키우는 것이 2025년 현 시점 김도현의 가장 큰 숙제로 손꼽힌다.
4. 여담
- 어머니께서 테니스를 치셨었는데, 테니스장에 따라갔다가 야구부 모집 공고가 있어서 야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 입대 전까지는 구속이 워낙 느려서 트레이드 매물로 올라갔을 때 한화 팬덤도 그러려니 했는데, 전역 후 갑자기 구속 150km의 패스트볼을 던지는 파이어볼러가 되어서 돌아왔다. 상무에 입대한 것도 아니고 막군에 가서 취사병으로 복무했는데 환골탈태 수준으로 달라져 정민철 前 단장과 한화 팬덤 모두가 씁쓸해했다. 복무 내내 웨이트 트레이닝을 열심히 했고, 자신과 캐치볼을 해줄 상대를 수소문하여 사회인 야구단에 소속된 비선출 군 간부와 매일 일과시간 후 캐치볼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휴가 때마다 꼭 센터에 가서 개인 훈련을 진행하는 등, 성장을 위한 피나는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문보경과 함께 동대문구 리틀야구단에서 동기로 활약하였다.
- 팀 내에서는 2000년생으로 동갑인 변우혁과 한화 시절부터 가장 친하다고 한다.
- 같은 팀 동료인 정해영, 변우혁과 상당히 닮았다. 김도현과 변우혁이 서로 닮았다기보다는 둘이 정해영을 중심으로(?) 닮아서, 둘을 보고 “정해영 선수 사인해주세요!“ 라고 하는 팬들이 종종 있다고 한다.
- 평소 인터뷰 등에서 겸손한 모습을 자주 보이며, 성격이 착하다는 평이 자주 들린다. 팬서비스도 좋아 야구장에 주로 일찍 나와 팬들에게 오랫동안 사인을 해 준다고 한다. 2025년 4월 어느 출근길에 시간이 부족해, 특정 팬에게 그날 경기 후 함께 셀카를 찍어주기로 약속한 후 퇴근길에 15분간 그 팬을 기다리다 갔다는 미담이 퍼지며 착한 성격이 재조명되었다.
- 성격이 만만한 편이라 이의리, 최지민, 황동하, 윤영철을 비롯한 동생들에게 자주 놀림당하는 모습이 보인다. 마운드에서의 포커페이스와 튼튼한 멘탈과는 달리, MBTI는 F라 마음이 여린 편이고 의외로 굉장히 잘 삐친다(...).[11] 동료들이 툭툭 던지는 말에 가끔씩 상처받는다고 한다.
- 선발날에만 면도를 하는 습관
루틴이 있어서 선발이 아닌 날에는 옷소매로 입을 가리고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모에소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김도현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2024 |
한화 이글스 등번호 45번 | ||||
조지훈 (2018) | → | <colcolor=#fff> 김도현 (2019~2022. 4. 22.) | → | 이진영 (2022. 4. 23.~2024) |
KIA 타이거즈 등번호 11번 | ||||
이민우 (2020~2022. 4. 22.) | → | <colbgcolor=#06141f> 김도현 (2022. 4. 23.~2022. 8. 23.) | → | 송후섭 (2022. 9. 1.~2023) |
KIA 타이거즈 등번호 045번 | ||||
양승철 (2021) | → | 김도현 (2024~2024. 5. 2.) | → | 김양수 (2025~) |
[1] 개명 전 김이환[2] 2학년 도중 장충고에서 전학. 학기 중에 전학한 관계로 2017 시즌 내내 출장 정지에 걸렸다.[3] 호텔외식창업경영학과 전공[4] 대학 전공에 따라 조리병으로 복무했다고 한다.[5] 트랙맨으로는 146km 정도 나온다.[6] 이로 인해 비슷한 스타일인 손주영, 문동주, 오원석과 함께 리그에서 손에 꼽히는 삼나쌩 투수가 되었다.[7] 24시즌처럼 불펜이 아닌 선발로 긴 이닝을 뛰어야 하는 만큼 템포 조절을 하는 듯하다.[8] 한화 시절 사용했던 45번은 이용찬이 두산 시절 사용한 번호이다.[9] 윤석민이 마치 자신의 현역 시절을 보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10] 참고로 한화 시절에는 그리 호투하지 않음에도 시즌마다 득점 지원이 어마어마한 편이었다고 한다. 21시즌에는 9이닝 당 득점 지원이 무려 22점대였다.[11] 윤영철과 변우혁이 자신의 연락처를 저장할 때 성까지 붙여 ‘김도현‘으로 저장한 것을 알게 되자 그만 삐쳐서 자기도 둘의 이름에 성을 붙였다.와중에 애정을 담아 ‘윤영철이‘로 해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