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노상연 · 2 윤태원 · 3 정희섭 · 4 최건민 [[주장| C ]]? · 5 정규연 · 6 김선동 9 박규민 · 10 박현민 · 11 노현준 · 12 백건 · 13 김태영 · 14 구교빈 · 15 박도현 · 16 장시우 17 박규민 · 18 김범주 · 19 김지환 · 20 김수형 · 21 이한결 · 22 오준원 · 23 장원석 · 24 이진원 25 이서율 · 26 이정재 · 27 한기주 · 28 김예건 · 29 남건우 · 30 김예건 · 31 한석진 · 32 김동하 33 이은표 · 34 성현욱 · 35 민경민 · 36 한승민 · 37 유경현 · 38 노연우 · 39 배성빈 · 40 서정우 · 41 이종훈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전주영생고등학교 축구부 No. 30 | |||||
김예건 Kim Ye-geon | |||||
출생 | 2008년 8월 7일 ([age(2008-08-07)]세) | ||||
국적 |
| ||||
신체 | 키 170cm[1] / 체중 57kg[2] |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레프트윙 | ||||
소속 |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유스 | 청주FCK (2018~2020) 전북 현대 모터스 (2021~ ) | |||
국가대표 | 21경기 9골 (대한민국 U-17 / 2023~ )[3]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학력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 (졸업) 전주영생고등학교 (재학) |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전북 현대 모터스 산하 전주영생고등학교 축구부 소속 축구 선수. 향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미래로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유망주다.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청주 FCK에서 처음으로 축구를 시작하면서 빠르게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후 국제 대회에 참여하면서 레알 마드리드 CF,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C 바르셀로나 등으로구터 입단 테스트 초청을 받아 테스트도 보고 직접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입단 테스트를 보러가고 전북 현대와 협약 덕에 PSV 에인트호번 교류를 다녀오는등 여러모로 국내 유망주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유럽 구단의 관심을 빠르게 받는 인물이 됐다.[4]이후 같은 청주 FCK 소속이였던 이재현[5]과 함께 전북 현대 산하 유스로 입단하게 되면서 현재는 전북 현대 U18 소속으로 뛰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3.1.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3.1.1.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11월 카타르에서 개최되는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예선을 겸하는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에 참가하는 대표팀에 자연스럽게 이름을 올렸다.1차전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 전반 초반 골대를 맞추는 위협적인 슛팅을 비롯해 감각적인 드리블로 상대 진영을 여러 차례 휘저으며 나쁘지 않은 활약을 해 주었으나 인도네시아의 철옹성 같은 5백에 가로막혀 공격포인트를 기록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2차전 아프가니스탄과의 경기에서는 전반 5분 상대 선수의 볼을 가로챈 뒤 쇄도하던 정희정을 향한 정확한 스루 패스로 패널티킥을 유도했고 이 페널티킥을 김예건 본인이 직접 깔끔하게 차넣으며 대회 첫 골을 기록했다. 경기 내내 수차례 킬패스를 찔러 넣어 주며 중원 사령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냈으며 후반 53분에는 선배 이강인을 연상케하는 마르세유턴을 보여 주기도 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어린 시절부터 미디어에 많이 타 큰 주목을 받았을 정도로 축구를 잘 모르는 사람이 봐도 잘한다는 느낌을 줄 정도의 화려한 발재간과 뛰어난 개인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단순히 학원 축구 시절뿐만 아니라 프로 산하에 입단을 한 후에도 보여주면서 관계자들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다.제2의 이강인이라 해도 될 정도로 꽤나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졌다.[6] 이강인과 마찬가지로 잔발 및 상체 바디 페인팅을 이용한 드리블을 구사하면서 상대와의 1대1에 매우 일가견이 있다. 킥력 또한 괜찮은 편인지라 소속팀이나 대표팀에서는 프리킥 전담 키커를 맡을 정도이기도 하다.
제2의 이강인으로 불리지만 이강인과 다른 점이라면 김예건은 짧은 빌드업을 통해 직접 풀어나오는 것을 즐기는 스타일이다. 활동량을 워낙 넓게 가져가고 수비 가담도 적극적으로 붙어주는 현대적인 유형의 플레이메이커로 후방에서부터 종종 볼을 운반하거나 빌드업 과정에 참여하는등 여러모로 감독들이 빌드업 전술의 중심으로 삼고 신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강인은 왼발 잡이인데 반해 김예건은 오른발잡이지만 왼발도 어느 정도 능숙하게 쓰는 양발잡이에 가깝다.
김예건의 단점으로는 시야가 넓은 편은 아니다. 짧은 빌드업을 선호하고 종종 실수가 나올 때가 있는데 아직까지 선수의 판단력이나 경험이 부족하기에 차후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체격이 작은 것도 단점으로 꼽히는데 현재로서는 김예건 몸의 밸런스가 잘 잡혀 있고 빠른 드리블을 통해 상대 수비수와 경합을 이겨 내기에 거친 몸싸움을 많이 할 여지가 아직까지는 없지만 체격이 더 이상 크지 않거나 경합 능력을 기르지 않을 경우 성인 무대에서는 피지컬적인 단점이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5. 기록
5.1. 통산 기록
5.1.1. 국가대표
- 2024년 4월 1일 기준.[7]
소속 대표팀 | 연령 | 경기 | 득점 | 도움 |
대한민국 | U-17 | 19 | 8 | 0 |
통산 | 19 | 8 | 0 |
6. 여담
- 어렸을때부터 미디어에 워낙 많이 노출되었던지라 어린 선수임에도 청소년 대표팀 발탁을 된 것을 보고 알아보는 팬이 상당히 있었다. 미디어 노출 정도로만 따지면 과거 슛돌이로 이름을 날렸던 이강인보다도 더 많이 출연을 했다.[8]
- 본래 키가 작아서 걱정이 많았으나 전북 현대 유스에 합류한 뒤 1년 만에 키가 무려 13cm나 크면서 키에 대한 걱정은 조금이나마 덜었다고 한다.
- 최근에는 뽈룬티어에도 출연하였는데 설 특집 파일럿 당시에는 상대팀으로 출전했으나 정규 편성에서는 뽈룬티어 팀으로 출전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9d800>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성명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
1 | | GK | 노상연 | Roh Sang-yeon | 주장? | |||
2 | | DF | 윤태원 | Yoon Tae-won | ||||
3 | | DF | 정희섭 | Jeong Hui-seop | ||||
4 | | MF | 최건민 | Choi Gun-min | ||||
5 | | MF | 정규연 | Jeong Gyu-yeon | ||||
6 | | MF | 김선동 | Kim Seon-dong | ||||
7 | | FW | 강진훈 | Kang Jin-hoon | ||||
8 | | FW | 권연우 | Kwon Yeon-woo | ||||
9 | | MF | 박규민 | Park Gyu-min | ||||
10 | | MF | 박현민 | Park Hyun-min | ||||
11 | | MF | 노현준 | Roh Hyun-jun | ||||
12 | | FW | 백건 | Baek Gun | ||||
13 | | FW | 김태영 | Kim Tae-young | ||||
14 | | MF | 구교빈 | Goo Gyo-bin | ||||
15 | | DF | 박도현 | Park Do-hyun | ||||
16 | | FW | 장시우 | Jang Si-woo | ||||
17 | | MF | 문지성 | Moon Ji-sung | ||||
18 | | DF | 김범주 | Kim Beom-ju | ||||
19 | | DF | 김지환 | Kim Ji-hwan | ||||
20 | | DF | 김수형 | Kim Soo-hyung | 2007. 6. 25. | 183cm / 78kg | U-22 | |
21 | | GK | 이한결 | Lee Han-gyeol | 2007. 7. 19. | 188cm / 76kg | U-22 | |
22 | | DF | 오준원 | Oh Jun-won | ||||
23 | | DF | 장원석 | Jang Won-seok | ||||
24 | | MF | 이진원 | Lee Jin-won | ||||
25 | | MF | 이서율 | Lee Seo-yul | ||||
26 | | DF | 이정재 | Lee Jeong-jae | ||||
27 | | GK | 한기주 | Han Gi-ju | ||||
28 | | FW | 김예건 | Kim Ye-geon | ||||
29 | | MF | 남건우 | Nam Geon-woo | ||||
30 | | FW | 김예건 | Kim Ye-geon | 2008. 8. 7. | 170cm / 57kg | ||
31 | | MF | 한석진 | Han Seok-jin | 2007. 12. 19. | 174cm / 70kg | U-22 | |
32 | | DF | 김동하 | Kim Dong-ha | ||||
33 | | DF | 이은표 | Lee Eun-pyo | ||||
34 | | DF | 성현욱 | Sung Hyun-wook | ||||
35 | | DF | 민경민 | Min Gyeong-min | ||||
36 | | DF | 한승민 | Han Seung-min | ||||
37 | | MF | 유경현 | Yoo Gyeong-hyun | ||||
38 | | DF | 노연우 | Roh Yeon-woo | ||||
39 | | GK | 배성빈 | Bae Seong-bin | ||||
40 | | MF | 서정우 | Seo Jeong-woo | ||||
41 | | GK | 이종훈 | Lee Jong-hun | ||||
2025 시즌 구단 기본 정보 | ||||||||
구단주: 정의선 {{{#ffffff /}}} 대표이사: 정유석 {{{#ffffff /}}} 단장: 이도현 {{{#ffffff /}}} 고문: 박지성 {{{#ffffff /}}} 테크니컬 디렉터: 마이클 김 {{{#ffffff /}}} 감독: 이광현 홈구장: 완산생활체육공원 |
[1] 2024년 기준 한 해 동안 13cm가 컸다고 한다.[2] 14세 시절 체중[3] 2025년 4월 9일 기준.[4] 김예건이 프로에 들어갈 경우 국제 이적 조항에 따라 18세가 될 때까지 해외 이적이 불가능하기에 프로 산하 유스로 계약을 하려는 경우가 다수다.[5] 현재는 스페인에 진출했다.[6] 플레이 스타일뿐만 아니라 스페인으로부터 관심을 받았고 어렸을 때부터 미디어에 자주 나와 축구 팬들이 잘 안다는 부분에서도 역시 이강인과 상당히 비슷하다.[7]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참가 이전.[8] 실제로 중학교 시절 뭉쳐야 찬다 시즌 2에도 출연했다.